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미법계의 무과실책임에 관한 연구 - 인도불법행위법상의 절대책임론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703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남방정책에 의하여, 인도와의 교류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적교류가 증대하는 만큼, 아직까지 인도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크지 않다. 최근 2020년 5월 인도의 LG화학공...

      신남방정책에 의하여, 인도와의 교류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적교류가 증대하는 만큼, 아직까지 인도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크지 않다. 최근 2020년 5월 인도의 LG화학공장에서 독성가스누출로 인하여 수백명이 가스에 누출되고 최소 13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인도측에서는 LG화학에 불법행위법상의 절대책임을 부과하여야 한다는 여론이 있었다. 이 같은 논의는 우리민법의 입장에서는 생소한 법리이기에 소개하는 바이다.
      위에 언급한 LG화학의 가스누출사고와 유사한 사고가1984년의 보팔가스누출사고와 1985년의 델리가스누출사고 (M.C. Mehta 사례)가 있었다. 보팔사고에서만 37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후에 M.C. Mehta 사례에서 절대책임론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였다.
      인도는 영미법계에 속하여 영국의 엄격책임론을 계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987년 인도대법은 M.C. Mehta 사례에서 인도만의 특수한 사회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새로운 법리인 절대책임론을 도입하였다. 대규모의 피해로 인하여 다수의 사상자를 양산하는 ‘지극히 위험하고 내재적 위험성을 내포한 활동을 허가하는 조건으로 해당 활동에 의한 손해의 발생시에는 절대적인 책임을 부과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기존의 엄격책임론에서 요구하는 ‘피고측의 토지내의 위험한 물질이 누출되어 피해자에게 손해를 가하여야 한다’는 구성요건과 5가지의 면책사유를 둔 것과는 명백한 차이를 두고 있다. 그러나, 절대책임론에서는 ‘지극히 위해하고 내재적으로 위험한 활동에 의한 피해’라는 명확하지 않는 구성요건과 면책사유를 전혀 두지 않아 적용상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New Southern Policy, the volume of trade between Korea and India was increased. However, Korean, especially related businessmen, do not have a deep understanding to India’s leg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In May 2020, LG Chemical ...

      According to the New Southern Policy, the volume of trade between Korea and India was increased. However, Korean, especially related businessmen, do not have a deep understanding to India’s leg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In May 2020, LG Chemical was involved a gas leakage accident in India caused at least 13 deaths. In India, there are a strong opinion to apply the rule of Absolute Liability into the gas leakage accident caused by LG Chemical.
      Based on Bhopal gas leakage accident, this disaster resulted in the death of at least 3700 death and serious injuries. In M.C. Mehta v. Union of India, the India Supreme Court developed the Absolute Liability theory even though the India judiciary have adopted the rule of Strict Liability originally came from U.K.
      The India Supreme Court evolved the rule of Absolute Liability because the rule Strict Liability from Rylands v. Fletcher came from the 19th Century and it could not be applicable in a totally different kind of economy of India. The Indian judiciary devolve that an enterprise should be absolutely liable for a potential threat to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persons who work or reside around it that is engaged in a hazardous or inherently dangerous industry poses. However, some criticized that the rule of Absolute Liability does not provide a clear and definite terms of ‘hazardous or inherently dangerous activity’ even though the rule of Strict Liability provides the elements and exception as defen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영미법계의 엄격책임론
      • Ⅲ. 인도 불법행위론하에서의 절대책임론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영미법계의 엄격책임론
      • Ⅲ. 인도 불법행위론하에서의 절대책임론
      • Ⅳ.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덕수, "신민법강의" 2018

      2 문상혁, "불법행위법상 위험책임 일반규정의 입법화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0 (30): 109-142, 2014

      3 지원림, "민법강의" 2013

      4 이정선, "미국의 엄격책임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5 신봉근, "미국 불법행위법의 엄격책임" 한국법학회 19 (19): 237-262, 2019

      6 김영희, "미국 불법행위법의 기본 구조에 관한 연구 - 불법행위의 유형과 성립요건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1 (21): 35-81, 2011

      7 가정준, "미국 불법행위법 발전의 이론적 고찰" 한국비교사법학회 (28) : 2005

      8 "https://www.yna.co.kr/view/AKR20200708066051077?section=search"

      9 "https://www.yna.co.kr/view/AKR20200508082400077?input=1179m"

      10 "https://www.thehindu.com/news/national/andhra-pradesh/lg-polymers-india-has-absolute-liability-for-gas-leak-ngt/article31737142.ece#:~:text=The%20National%20Green%20Tribunal%20(NGT,to%20prepare%20a%20restoration%20plan"

      1 송덕수, "신민법강의" 2018

      2 문상혁, "불법행위법상 위험책임 일반규정의 입법화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0 (30): 109-142, 2014

      3 지원림, "민법강의" 2013

      4 이정선, "미국의 엄격책임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5 신봉근, "미국 불법행위법의 엄격책임" 한국법학회 19 (19): 237-262, 2019

      6 김영희, "미국 불법행위법의 기본 구조에 관한 연구 - 불법행위의 유형과 성립요건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21 (21): 35-81, 2011

      7 가정준, "미국 불법행위법 발전의 이론적 고찰" 한국비교사법학회 (28) : 2005

      8 "https://www.yna.co.kr/view/AKR20200708066051077?section=search"

      9 "https://www.yna.co.kr/view/AKR20200508082400077?input=1179m"

      10 "https://www.thehindu.com/news/national/andhra-pradesh/lg-polymers-india-has-absolute-liability-for-gas-leak-ngt/article31737142.ece#:~:text=The%20National%20Green%20Tribunal%20(NGT,to%20prepare%20a%20restoration%20plan"

      11 "https://www.indiatoday.in/india/north/story/bhopal-gas-tragedy-warren-anderson-union-carbide-dow-chemicals-rajiv-gandhi-congress-arjun-singh-225398-2014-11-01"

      12 "https://economictimes.indiatimes.com/news/politics-and-nation/33-yrs-ongas-tragedy-survivors-still-await-adequate-payout/articleshow/61901569.cms?from=mdr"

      13 W.E. Peel, "Winfiled & Jolowicz Tort" 2015

      14 "Varghese v. kerala State Electricity Board, AIR 2013 Ker. 135"

      15 Upendra Baxi, "Valiant Victims and Lethal Litigation, The Bhopal Case" 1990

      16 "Union of India v. Prabhakaran Vijay Kumar (2008) 9 SCC 527"

      17 "Rylands v. Fletcher, (1868) L.R. 3 H.L. 330"

      18 "Public Liability Insurance Act of 1991"

      19 Victor Schwartz, "Prosser, Wade, and Achwartz’s Torts" 2015

      20 "Policy Resolution (Development and Regulation) Act of 1951"

      21 Upendra Baxi, "Mass Torts, Multinational Enterprise Liability and Private International Law" 2000

      22 Arpita Gupta, "Mass Tort Jurisprudence and Critical Epistemologies of Risk: Dissolution of Public-Private Divide in the Indian Mass Tort Law" 40 : 227-, 2019

      23 "M.C. Mehta v. Union of India, AIR 1987, S.C. 1086"

      24 R.K. Bangia, "Law of Torts" 2018

      25 "Klaus Mittelbachert v. East India Hotels Ltd., AIR 1997 Delhi 201"

      26 "K. Nagi Reddy v. Got. Of A.P. AIR 1982 AP 119"

      27 Tomas Mac Sheoin, "Introduction: Bhopal and After" 41 (41): 1-, 2014

      28 정용환,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Public Policy in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in India: Comparis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Public Policy under the Civil Procedure Act" 법학연구소 (30) : 263-286, 2020

      29 "Environment Protection Act of 1986"

      30 Jayanth K. Krishnan, "Bhopal in the Federal Court: How Indian Victims Failed to Get Justice in the United States" 72 : 101-,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w Dong-A University -> 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Dong-A University KCI등재
      2020-04-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ONG-A LAW REVIEW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7 0.84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