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단보 : 효율적 하천구역관리를 위한 고해상 영상의 활용 방안 연구 = Utilization Plan Research of High Resolution Images for Efficient River Zone Manag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9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까지 우리나라 하천관리는 기존의 도면관리 및 현장조사를 통한 정보관리에서 벗어나 WAMIS, RIMGIS와 같은 물 관련 하천기본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 구축된...

      현재까지 우리나라 하천관리는 기존의 도면관리 및 현장조사를 통한 정보관리에서 벗어나 WAMIS, RIMGIS와 같은 물 관련 하천기본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 구축된 시스템들은 선(線) 중심의 2차원 하천 공간자료로 관리되어 실무자 중심의 친환경적 하천관리업무 지원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면(面) 중심의 입체적인 3차원 하천공간정보 구현과 체계적인 하천관리업무가 가능하도록 항공사진(아날로그, 디지털) 및 다양한 위성영상에 대한 해상도 비교와 시설물 판독 분석을 통한 하천 적용여부 분석을 수행하였다. 하천 적용성 분석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판단되는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하천관리 및 활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효율적인 하천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ver management in Korea had been focused on line based 2D spatial data for the developing river management applic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polygon based 3D spatial data such as aerial photos and satellite images were selected and used thr...

      The river management in Korea had been focused on line based 2D spatial data for the developing river management applic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polygon based 3D spatial data such as aerial photos and satellite images were selected and used through comparing their resolution levels for the river environment management. In addition, 1m detailed DEM (Digital Elev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implement the real topography information around river so that the damage area scale could be extracted for flood disaster. Also, the social environment thematic maps such as a cadastral map or land cover map could be used to verify the real damage area scale by overlay analysis on aerial photos or satellite images. The construction of these spatial data makes possible to present the real surface information and extract quantitative analysis to support the scientific decision making for establishing the river management policy. For the further study, the lidar surveying data will be considered as the very useful data by offering the real height information of riverbed as the depth of river so that flood simulation can give more re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기개발연구원, "효율적인 하천 유지관리 방안 연구 보고서" 2005

      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항공기 탑재 센서를 활용한 환경부분의 원격탐사기법 개발 연구보고서" 2002

      3 김재연, "항공 영상과 위성영상 지형지물 비교 분석" 2003

      4 건설교통부, "하천주제도 시범구축 사업 보고서" 2004

      5 건설교통부, "하천의 유지관리방안연구 보고서" 2004

      6 건설교통부,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GIS) 유지관리 보고서" 2005

      7 조명희, "연위험취약지역 관리를 위한 3D Web GIS 시스템 개발”" 337-345, 2005

      8 건설교통부, "N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홍수지도 제작 보고서" 2004

      9 Jensen J. R.,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Prentice Hall" 55-58, 1996

      10 Myung-Hee Jo, "Construct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ast disaster area management using 3D web GIS technolog" 318-332, 2004

      1 경기개발연구원, "효율적인 하천 유지관리 방안 연구 보고서" 2005

      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항공기 탑재 센서를 활용한 환경부분의 원격탐사기법 개발 연구보고서" 2002

      3 김재연, "항공 영상과 위성영상 지형지물 비교 분석" 2003

      4 건설교통부, "하천주제도 시범구축 사업 보고서" 2004

      5 건설교통부, "하천의 유지관리방안연구 보고서" 2004

      6 건설교통부,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GIS) 유지관리 보고서" 2005

      7 조명희, "연위험취약지역 관리를 위한 3D Web GIS 시스템 개발”" 337-345, 2005

      8 건설교통부, "N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홍수지도 제작 보고서" 2004

      9 Jensen J. R.,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Prentice Hall" 55-58, 1996

      10 Myung-Hee Jo, "Construct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ast disaster area management using 3D web GIS technolog" 318-332, 2004

      11 건설교통부, "3차원 하천정보시스템 구축연구보고서" 2006

      12 건설교통부, "3차원 공간정보구축 시범사업 보고서"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4 0.72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