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訪韓 臺灣觀光客의 訪問動機와 觀光 商品 屬性이 滿足 및 再訪問에 미치는 影響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57814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38.479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effects on the motivation of taiwan tourists and travel products attributes for thei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 형태사항

        v, 96장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춘곤
        참고문헌 : 75-78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관광행동연구는 연구에 따라 서로 상이한 기준으로 선정된 여러 가지 접근법과 다양한 변수들에 의하여 연구되어 졌으며, 이러한 접근법은 관광객의 심리상태를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한계...

      관광행동연구는 연구에 따라 서로 상이한 기준으로 선정된 여러 가지 접근법과 다양한 변수들에 의하여 연구되어 졌으며, 이러한 접근법은 관광객의 심리상태를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객에게 방문동기를 부여하고 관광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가치와 관광 상품 속성 선택이 관광객 만족과 재방문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관광행동연구와 대만 관광객들을 위한 마케팅적 측면에서 이론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추출을 위한 설문조사는 한국을 방문한 대만관광객을 상대로 한국관광지를 경험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관광객 만족, 재방문 의도, 방문 동기, 관광행동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 5개 영역으로 구성했다.
      방문 동기는 관광객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은 검증 결과 방문동기와 관광객만족도간에는 경험과 가장 강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관광객은 경험적인 동기가 높을수록 관광객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문 동기와 관광객 만족에 관한 영향의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 1은 채택 되었다.
      관광 상품 속성요인에 따라 관광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은 검증 결과 관광 상품 속성요인과 관광객만족도간에는 관광지에 대한 요인이 가장 관광객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이 높으며, 다음으로 숙박, 쇼핑의 순이었다. 모형은 통계적으로 상당히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를 제외한 관광 상품 속성에서 관광만족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 2는 채택 되었다.
      관광만족도에 따라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3은 연구결과 관광객만족도와 재방문의도간에는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만족의 하위요인 중 한국관광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상당히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 3은 채택 되었다.
      본 연구의 향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절별로 관광객의 표준모델과 개별모델의 관광형태와 만족에 대한 체계화된 이론이 정립되어 관광객들의 특성을 종합비교 분석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는 수도권 일부 지역의 대만 관광객만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으나 위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하여 다른 지역의 연구와 함께 대만관광객 뿐만 아니라 각국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국가별 관광객의 특성을 종합 분석 할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ies of tourism behavior have been researched by various approaches selected by different levels and various variables, and those approaches have the limitations that do not grasp the mental states of tourists.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

      The studies of tourism behavior have been researched by various approaches selected by different levels and various variables, and those approaches have the limitations that do not grasp the mental states of tourists.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ur products motivating the tourists and affecting on their decision making and the influence swhich havean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opportunities and to indicate the theory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aspects of tourism behavior studies and marketing for the Taiwanese tourists.
      The questionnaires for sampling were carried out targeting at the tourists who visited and experienced the sight seeing place in Korea, and the questions for the survey are composed of5 realms of the tourists’ satisfaction, the motives of visit, the intention of revisit,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behavior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ypothesis 1 that the motive of visit would a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turned out that there is strong interrelation between the motive of visit and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by experiences. That is to say, we can see that the higher the empirical motive is, the higher the tourist satisfaction it. The model of the influence on the motives of visit and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is statistically reasonable and Hypothesis 1 was adapted.
      Hypothesis 2 that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our products would affect on the tourist satisfaction turned out that the factor of sight seeing place has the highest relation swith the tourist satisfaction, followed by accommodations and shopping. The model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reasonab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ur products except service have an influence on the tourist satisfaction, and Hypothesis 2 was adapted.
      Hypthesis 3 that the tourist satisfaction would affe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 turned out that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tourist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of revisit is pretty high. Among the low ranked factors of the tourism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n Korean tourism has the most effects on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it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reasonable and Hypothesis 3 was adapted.
      The future plans of the studies are as below;
      First, The systematic theory concerning the form of tourism and it satisfaction of the standard model and individual model of tourists by season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follow-up research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s would be necessary.
      Second, as this research analyzed only Taiwanese tourists who visited several parts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ts by countries regarding other areas and the tourists from various countries would be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2.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3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2
      • 2.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3
      • 1) 연구의 범위 3
      • 2) 연구의 방법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방문동기 5
      • 1) 방문동기의 개념 5
      • 2) 방문동기의 역할 7
      • 3) 방문동기의 유형 7
      • 2. 여행 상품의 속성 9
      • 1) 여행 상품 개념 9
      • 2) 여행 상품의 특성 9
      • 3) 여행 상품의 선택 속성 12
      • 4) 여행 상품의 구성 요소 14
      • 3. 관광객 만족 14
      • 1) 관광객 만족의 개념 14
      • 2) 관광객 만족의 구성요소 17
      • 3) 관광객 만족의 결정요인 19
      • 4. 재방문 20
      • 1) 재방문의 개념 20
      • 2) 재방문의도 21
      • 5. 선행연구 22
      • 1) 관광객 만족에 대한 선행연구 22
      • 2) 관광객 재방문에 대한 선행연구 23
      • Ⅲ. 연구의 설계 및 조사방법 24
      • 1. 연구모형 및 가설 24
      • 1) 연구의 모형 24
      • 2) 가설의 설정 25
      •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25
      • 2. 조사의 설계 27
      • 1) 조사의 목적 27
      • 2) 조사대상자의 선정 28
      • 3) 조사방법과 조사기간 28
      • 3. 설문지의 구성 29
      • 1) 방문동기에 관한 질문 29
      • 2) 관광 상품 속성에 관한 질문 29
      • 3) 관광객 만족에 관한 질문 29
      • 4) 재방문에 관한 질문 29
      • 5)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질문 30
      • 4.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32
      • 1) 자료의 수집 32
      • 2) 분석의 방법 32
      • Ⅳ. 실증연구의 분석 33
      • 1. 조사 자료의 분석 33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33
      • 2) 측정도구의 신뢰도 35
      • 3)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관광 상품 속성 37
      • 4)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관광만족 47
      • 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재방문의도 53
      • 6)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재방문의도 54
      • 2. 가설의 검증 및 결과의 해석 60
      • 1) 가설의 검증 61
      • 3. 결과의 해석 71
      • Ⅴ. 결론 73
      •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73
      •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73
      •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74
      • 참고문헌 75
      • 부록 82
      • 영문요약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