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退溪의 『天命新圖』와 人學 = Chon - myung - sin - do and In h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11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퇴계학은 敬學이며, 敬學은 퇴계 人學의 근본이다. 孔子가 '修己以敬'이라고 하듯 자기완성은 敬으로 한다. "오직 평소에 莊敬하여 涵養의 공부가 지극하여 人慾의 거짓으로 마음을 혼란케...

      퇴계학은 敬學이며, 敬學은 퇴계 人學의 근본이다. 孔子가 '修己以敬'이라고 하듯 자기완성은 敬으로 한다. "오직 평소에 莊敬하여 涵養의 공부가 지극하여 人慾의 거짓으로 마음을 혼란케함이 없다면 마음이 未發할 때는 거울이 밝고 물이 고요한 것과 같고, 마음이 발함에 中節하지 아니함이 없다."고 한 것으로 보면 理性의 涵養이 사람다운 사람이 되는 평소의 莊敬공부라고 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Ⅰ. 머리말
      • Ⅱ. 『天命新圖』의 渾淪說과 『太極圖』의 分開說 및 周悉無偏의 논리
      • Ⅲ. 사람이란 무엇인가?
      • 1. 『平正直立』의 人體
      • 目次
      • Ⅰ. 머리말
      • Ⅱ. 『天命新圖』의 渾淪說과 『太極圖』의 分開說 및 周悉無偏의 논리
      • Ⅲ. 사람이란 무엇인가?
      • 1. 『平正直立』의 人體
      • 2. 人性과 四七說
      • Ⅳ. 修養說
      • 1. 心與理一
      • 2. 居敬·窮理와 「人極」
      • 3. 經學의 體用
      • Ⅴ. 맺음말
      • <論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