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증거 압수ㆍ수색에서 참여권 보장을 통한 개인정보통제권 구현 방안 =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by guaranteeing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evid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80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is to guarantee an active legal right for individuals to manage, decide and control their own information. If you can directly control your own information, you will not only block in ...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is to guarantee an active legal right for individuals to manage, decide and control their own information. If you can directly control your own information, you will not only block in advance any falsification or leakage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processing, but will also greatly reduce anxiety and distrust of investigative agencie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discuss how to implement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in the current seizure and search procedures. First, for a theoretical review of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in Chapter 2,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will be explored. In Chapter 3, we will look for examples of the rea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s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t home and abroad, and in Chapter 4 we will look at foreign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laws and cases. Lastly, in Chapter 5, after accessing the existing integrated digital evidence management system in 'participant mode' to realize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confiscating and searching digital evidence, We would like to propose a self-directed participation system that allows viewing, inquiry, and even confirmation of dele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정보를 관리ㆍ결정ㆍ통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법적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다. 자신의 정보를 직접 통제할...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정보를 관리ㆍ결정ㆍ통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법적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다. 자신의 정보를 직접 통제할 수 있게 되면 정보처리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변조나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은 물론, 수사기관에 대한 불안과 불신도 훨씬 줄어들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압수ㆍ수색 절차에 개인정보통제권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제2장에서 개인정보통제권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를 위해 개인정보의 개념, 개인정보통제권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제3장에서는 국내외 민간·공공 부문의 개인정보통제권 구현 사례를 찾아보고, 제4장에서 외국의 개인정보 관련 법제 및 사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디지털증거 압수ㆍ수색 절차에서 개인정보통제권 구현을 위하여 기존 디지털증거 통합관리시스템에 ‘참여인 모드’로 접속 후, 정보주체 여부에 따라 사전에 허용된 범위의 증거들에 대해 열람 및 조회, 삭제 확인까지 하는 자기통제형 참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기범, "형사사법정보의 이용 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16 (16): 121-142, 2016

      2 손형섭, "일본 개정 개인정보보호법과 우리법의 나아갈 방향" 한국공법학회 46 (46): 295-329, 2017

      3 오승한, "빅데이터 산업의 활성화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의 연구" 법학연구소 11 (11): 369-412, 2018

      4 정형상 ; 이상진, "디지털 증거의 정보 유출 실태 및 방지방안" 치안정책연구소 35 (35): 103-131, 2021

      5 김태오, "데이터 주도 혁신 시대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 정보통신망법과 EU GDPR의 동의 제도 비교를 통한 규제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55) : 29-56, 2018

      6 이대희,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방안으로서의 가명⋅비식별정보 개념의 연구" 한국정보법학회 21 (21): 217-251, 2017

      7 Ju-Young Kim, "Understanding privacy laws" Bobmunsa 97-, 2012

      8 Young-Hoa Jung, "The Research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Dispute Resolution in the Internet" 1 : 22-, 2002

      9 Inho Le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fingerprint seal" 8 : 50-, 2001

      10 Jong Cheol Kim, "Public opin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s a constitutional basic right" 4 : 29-30, 2001

      1 김기범, "형사사법정보의 이용 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16 (16): 121-142, 2016

      2 손형섭, "일본 개정 개인정보보호법과 우리법의 나아갈 방향" 한국공법학회 46 (46): 295-329, 2017

      3 오승한, "빅데이터 산업의 활성화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의 연구" 법학연구소 11 (11): 369-412, 2018

      4 정형상 ; 이상진, "디지털 증거의 정보 유출 실태 및 방지방안" 치안정책연구소 35 (35): 103-131, 2021

      5 김태오, "데이터 주도 혁신 시대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 정보통신망법과 EU GDPR의 동의 제도 비교를 통한 규제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55) : 29-56, 2018

      6 이대희,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방안으로서의 가명⋅비식별정보 개념의 연구" 한국정보법학회 21 (21): 217-251, 2017

      7 Ju-Young Kim, "Understanding privacy laws" Bobmunsa 97-, 2012

      8 Young-Hoa Jung, "The Research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Dispute Resolution in the Internet" 1 : 22-, 2002

      9 Inho Le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fingerprint seal" 8 : 50-, 2001

      10 Jong Cheol Kim, "Public opin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s a constitutional basic right" 4 : 29-30, 2001

      11 Hun-Yonung Kw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12 (12): 38-, 2005

      12 Kyung-Keun Kang, "Privacy on the Ineternet" 4 : 8-9, 2001

      13 Kyoungjin Choi, "Privacy laws and policies Revision-Improvement trend of personal information regulation system in EU and US" Parkyoungsa 588-612, 2016

      14 GeonBo Kw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self-information control right" Kyoungin Publishing 217-, 2005

      15 Other than Haksoo Ko, "Personal Information De-identification Methodology: Focusing on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Parkyoungsa 55-, 2017

      16 OECD, "OECD Guidelines on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ransborder Flows of Pers onal Data"

      17 "NICE INFORMATION SERVICE"

      18 "NAVER Privacy Center"

      19 Facebook, "My Information Download"

      20 Devin W. Ness, "Information Overload: Why Omnipresent Technology and the Rise of Big Data Shouldn’t Spell the End for Privacy as We Know It" 31 : 48-, 2013

      21 "Google Takeout Site"

      22 함인선, "EU개인정보보호법제에 관한 연구 - ‘2012년 개인정보보호규칙안’을 중심으로 하여 -" 한국법학원 (133) : 5-38, 2012

      23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Directive of the European Parliament of individuals with regard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n d on the free movement of such data, 95/46/EC"

      24 Council of Europe,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with regard to the Automatic Processing of Personal Data (ETS No. 108: CoE 108)"

      25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2005. 5. 26. 99헌마 513"

      26 Yong-Sup Kim, "Conflict and Harmony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29 (29): 182-, 2001

      27 "Banksalad"

      28 Moon-Ho Joo, "A study on ways to secure the information subject's self-information control right" Korea University 2020

      29 Minhyung Lee, "A study on personal data protection in criminal trial precedure" Judicial Policy Research Institute 50-51, 2021

      30 Eilkwon Kim,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Digital Evidence Transmission SystemBetween Criminal Justice Agencies" Korea University 2017

      31 Sungmin Jeong, "A Study on the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Electronic Criminal Litigation in Korea" Judicial Policy Research Institute 89-180, 2020

      32 Kyungsung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 Study on the Analysis of Japan'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and Policie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ttee 1-, 2017

      33 Dongguk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 Study on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the Legislative trend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Major countries following the entry into Force of GDP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ttee 119-120, 2017

      34 Young-Chul Kim, "60th Anniversary of Kyoung-sik Jeong Dr. Commemorative Papers" 440-, 1997

      35 권헌영 ; 윤상필 ; 전승재,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한국법학원 158 (158): 7-4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