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기술보고 : 강원도 탄산염지역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특성 = Technical Report : Characteristics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Carbonate Aquifers in Gangwon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79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영월과 정선 내 탄산염암지역 지하수의 수리전도도를 이용하여 탄산염암지역 지하수의 유동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영월과 정선 내 탄산염암지역에서 ...

      이 연구는 영월과 정선 내 탄산염암지역 지하수의 수리전도도를 이용하여 탄산염암지역 지하수의 유동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영월과 정선 내 탄산염암지역에서 개발된 46개 관정의 수리전도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 관정들은 주로 연구지역을 북동-남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골지천, 조양강 및 동강 주변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들의 수리전도도는 0.004-1.1 m/day의 범위를 보였다. 수리전도도는 관정의 심도가 깊어질수록 점차 줄어드는 경향(y = -0.003x- 0.927, r2 = 0.129)을 보였다. 연구지역은 수리전도도에 따라 A(< 0.1 m/day), B(0.1-1 m/day) 및 C(> 1 m/day) 구역으로 구분하였다. A, B 및 C 구역은 각각 연구지역의 87%(n = 40), 11%(n = 5) 및 2%(n = 1)에 해당되었다. A 구역은 단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고 B 구역은 단열의 영향을 조금 받았으며 C 구역은 단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연구 결과는 탄산염지역 지하수의 유동이 주로 단열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flow properties of groundwater in areas of carbonate rocks at Yeongwol and Jeongseon, Gangwon Province, based on measurements of hydraulic conductivity. Existing hydraulic conductivity data were compiled from 46 wells in the study ...

      We investigated the flow properties of groundwater in areas of carbonate rocks at Yeongwol and Jeongseon, Gangwon Province, based on measurements of hydraulic conductivity. Existing hydraulic conductivity data were compiled from 46 wells in the study area. These wells were sunk close to Golji stream and the Joyang and Dong rivers, which flow through the study area.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range from 0.004 to 1.1 m/day, and show a gradually decreasing trend with decreasing well depth (y = -0.003x - 0.927, r2 = 0.129).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zone A (< 0.1 m/day), zone B (0.1-1.0 m/day), and zone C (> 1 m/day) according to hydraulic conductivity. Zones A, B, and C make up 87% (n = 40), 11% (n = 5), and 2% (n = 2) of the surface of the study area,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zones, zone A contains few fractures whereas zone C contains many fractu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oundwater flow in carbonate regions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fracture networ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