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中國’의 티베트 정책 = General Policy for Tibet in "New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37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ibetan uprising happened around Tibetan region in march 2008. It suggests the policies for Tibet of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have the characteristics and weaknesses. In fact, all concerned including PRC and the Tibetan government in exile have...

      Tibetan uprising happened around Tibetan region in march 2008. It suggests the policies for Tibet of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have the characteristics and weaknesses. In fact, all concerned including PRC and the Tibetan government in exile have the very different point of views about Tibetan problems. Also, General Policy for Tibet in "New China" was comprehended in different ways, for example, success and failure.
      General Policy for Tibet in "New China" is divided in two periods, that is, first period(l949~1979) and second period(l980~). General Policy of a basic framework is the policy as a regional autonomy of minority nationalities. On the this framework, General Policy for Tibet in first period is almost the adaptation to circumstances, but the ruling power had the strong ideolgy. This situation made the fatal conflicts. General Policy in first period is more military policy than the political one.
      Policies for Tibet is almost one of the proper nouns like the Northest Project and The Western Great Development Strategy. There is no Autonomous Province that the forum like the forum on Tibetan work is held. General Policy for Tibet of the counterparts is mainly the Tibetan people and the 14th Dalai Lama's Tibetan government in exil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e also need more the 'seeking truth grounded on concrete evidence' about the subj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문화대혁명 이전의 티베트 귀속 정책
      • Ⅲ. 개혁개방 시기의 티베트 귀속정책
      • Ⅳ.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문화대혁명 이전의 티베트 귀속 정책
      • Ⅲ. 개혁개방 시기의 티베트 귀속정책
      •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혁주, "티베트 천장, 하늘로 가는 길" 책세상 2008

      2 폴 인그램, "티베트 말하지 못한 진실" 파주 : 알마 -48, 2008

      3 이동률, "중국 정부의 티베트에 대한 ‘중국화’ 전략 ; 현황과 함의" (13) : 2006

      4 박상수, "중국 근대 네이션(nation) 개념의 수용과 변용-블룬츨리, 양계초, 왕정위를 중심으로-"

      5 유장근,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모" 혜안 -47, 2002

      6 李富春,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제1차 5개년 계획에 관한 보고"

      7 前華北人民政府敎育部敎科書編審委員會, "고급중학 중국역사 하책" 인민교육출판사 288-304, 1951

      8 邱漢生, "고급중학 중국역사 제2책" 인민교육출판사 155-156, 1956

      9 宋雲彬, "高級中學本國近代史課本 上"

      10 毛澤東, "關于西藏民主改革"

      1 심혁주, "티베트 천장, 하늘로 가는 길" 책세상 2008

      2 폴 인그램, "티베트 말하지 못한 진실" 파주 : 알마 -48, 2008

      3 이동률, "중국 정부의 티베트에 대한 ‘중국화’ 전략 ; 현황과 함의" (13) : 2006

      4 박상수, "중국 근대 네이션(nation) 개념의 수용과 변용-블룬츨리, 양계초, 왕정위를 중심으로-"

      5 유장근,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모" 혜안 -47, 2002

      6 李富春, "국민경제 발전을 위한 제1차 5개년 계획에 관한 보고"

      7 前華北人民政府敎育部敎科書編審委員會, "고급중학 중국역사 하책" 인민교육출판사 288-304, 1951

      8 邱漢生, "고급중학 중국역사 제2책" 인민교육출판사 155-156, 1956

      9 宋雲彬, "高級中學本國近代史課本 上"

      10 毛澤東, "關于西藏民主改革"

      11 毛澤東, "關于西藏平叛"

      12 鄧小平, "關于西南少數民族問題"

      13 劉少奇, "關于民族自治問題"

      14 周恩來, "關于民族政策問題"

      15 "關于我國社會主義時期宗敎問題的基本觀點和基本政策"

      16 胡錦濤, "進一步提高對培養少數民族幹部重要性和緊迫性的認識"

      17 徐中林, "試論南京國民政府初期十年的西藏政策" 21 (21): 2008

      18 王貴, "西藏歷史地位辨" 北京: 民族出版社 1995

      19 中共中央文獻硏究室, "西藏工作文獻選編(1949-2005)" 北京: 中央文獻出版社 -2, 2005

      20 江澤民, "西藏人民的前途和命運始終是同祖國的前途和命運緊密聯系在一起的"

      21 "胡喬木的信"

      22 "社會科學輯刊" 4 : 1981

      23 "爲建設社會主義的新西藏而奮鬪"

      24 江澤民, "爲建設團結, 富裕, 文明的社會主義新西藏而奮鬪"

      25 江澤民, "爲建設團結, 富裕, 文明的社會主義新西藏而奮鬪"

      26 江澤民, "爲建設團結, 富裕, 文明的社會主義新西藏而奮鬪"

      27 毛澤東, "爭取群衆, 鍛煉軍隊"

      28 毛澤東, "漢族和少數民族的關係"

      29 韓錦春, "漢文“民族”一詞考源資料"

      30 박장배, "淸末 民國時代 中國의 변경 지배와 동부 티베트[Khams]-西康省 창건 과정(1903-1939)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31 金天明, "民族理論和民族政策論文選" 北京: 中央民族學院出版社 -63, 1986

      32 "民族政策"

      33 "民族團結(京)"

      34 중국공산당 중앙문헌편집위, "本本主義에 반대함(1930.5)"

      35 "接見西藏國慶觀禮團, 參觀團代表的談話"

      36 中共中央對西藏工委《關于農村中若干具體政策的規定(草稿)》的批復, "工作選編"

      37 "工作選編"

      38 "學術動態: 中國科學院民族硏究所在京成立" 1 : -45, 1958

      39 陳毅, "在西藏自治區籌備委員會成立大會上的講話"

      40 朱德, "在歡迎達賴喇嘛和班禪額爾德尼宴會上的講話"

      41 毛澤東, "同藏族人士的的談話"

      42 毛澤東, "同班禪額爾德尼的談話"

      43 毛澤東, "同班禪額爾德尼的談話"

      44 周恩來, "同班禪額爾德尼的談話"

      45 周恩來, "同班禪額爾德尼的談話"

      46 최희재, "光緖初 淸朝의 만주개발과 中韓關係의 재조정" 동양학연구소 35 (35): 12-12, 2004

      47 "中華人民共和國民族區域自治法"

      48 松本眞澄, "中國民族政策之硏究-以淸末至1945年的“民族論”爲中心" 北京: 民族出版社 136-226, 2003

      49 降邊嘉措, "中國史詩硏究: 格薩爾論" 呼和浩特; 內蒙古大學出版社 54-60, 1999

      50 王小彬, "中國共産黨西藏政策的歷史考察" 中共中央黨校 2003

      51 "中共中央關于轉發《西藏工作座談會紀要》的通知"

      52 "中共中央關于西藏工作的方針"

      53 毛澤東, "中共中央關于西藏工作方針的指示"

      54 심혁주, "‘티벳지위’에 관한 중국정부와 달라이 라마의 태도 분석과 전망, 1950-2020 : 티벳독립운동을 중심으로" 6 (6): 2003

      55 陳謙平, "‘熱振事件’與戰後國民政府的西藏政策"

      56 滕紹箴, "‘滿洲’名稱考述" 70-72, 1996

      57 金炳鎬, "‘少數民族’一詞在我國何時出現"

      58 崔熙在, "1874-5年 海防․陸防論의 性格" 22 :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87 2.00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