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 시나리오 구축을 통한 낙동강유역 수자원시설물 및 용수공급 네트워크의 기후변화 영향 평가 = Evaluation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ources Facility and Water Supply Network of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Future Scenario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53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에는 심한 가뭄으로 인해 안정적인 물 공급이 곤란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 공급의 어려움은 기후변화로 인해 더욱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안정적인 ...

      최근 국내에는 심한 가뭄으로 인해 안정적인 물 공급이 곤란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 공급의 어려움은 기후변화로 인해 더욱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건설된 수자원시설물들은 설계 및 계획 당시의 여러 상황 등을 고려하여 운영방식과 공급량이 설정되었으나 향후 기후변화 등 다양한 조건의 변화로 인해 수자원시설물 및 용수공급 네트워크의 재평가가 절실하다. 하지만 기후변화가 용수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많지 않아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권역을 대상으로 유역에 위치한 수자원시설물의 용수공급능력 및 용수공급 네트워크의 취약성이 기후변화에 의해 받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장래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을 시나리오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물 수급 전망을 통해 이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supply stable water due to severe drought in Korea. The difficulty of supplying water is expected to become more serious under climate change. The operation rules and supply amount of water resou...

      Recently,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supply stable water due to severe drought in Korea. The difficulty of supplying water is expected to become more serious under climate change. The operation rules and supply amount of water resources facilities constructed to provide stable water supply have been set up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ituations at the time of designing and planning. Re-evaluation of water supply facilities and water supply network is urgent due to future changes in various conditions such as climate change.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supply, so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the water resource facilities and the vulnerability of the water supply network locat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We set various scenario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and tried to quantitatively present them through the water supply and demand forecast for scenario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미래 시나리오 구성
      • 3. 기후변화 영향 평가 방법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미래 시나리오 구성
      • 3. 기후변화 영향 평가 방법
      • 4. 기후변화 영향 평가 결과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률,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에 의한 다목적댐 물 공급의 안정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7 (47): 195-206, 2014

      2 지용근,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 농업용수 영향 분석" 한국농공학회 54 (54): 149-157, 2012

      3 황준식,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월 물수지모형의 적용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 40 (40): 147-158, 2007

      4 전상묵,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위한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의 개발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46 (46): 897-907, 2013

      5 "http://www.tradingeconomics.com/south-korea/forecast"

      6 Sandobal-Solis, S., "Sustainability Index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37 (137): 381-390, 2011

      7 Kang D. S., "Scenario-based Multistage Construction of Water Supply Infrastructure" 3265-3274, 2012

      8 노선희,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금강유역의 미래 용수공급 변화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6 (46): 505-517, 2013

      9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11∼2020)"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10 Purkey D. R., "Integrating a climate change assessment tool into stakeholder-driven water management decision-making processes in California" 21 : 315-329, 2007

      1 이동률, "물 부족량 공급 운영 방식에 의한 다목적댐 물 공급의 안정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7 (47): 195-206, 2014

      2 지용근,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 농업용수 영향 분석" 한국농공학회 54 (54): 149-157, 2012

      3 황준식,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월 물수지모형의 적용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 40 (40): 147-158, 2007

      4 전상묵,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위한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의 개발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46 (46): 897-907, 2013

      5 "http://www.tradingeconomics.com/south-korea/forecast"

      6 Sandobal-Solis, S., "Sustainability Index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37 (137): 381-390, 2011

      7 Kang D. S., "Scenario-based Multistage Construction of Water Supply Infrastructure" 3265-3274, 2012

      8 노선희,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금강유역의 미래 용수공급 변화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6 (46): 505-517, 2013

      9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11∼2020)"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10 Purkey D. R., "Integrating a climate change assessment tool into stakeholder-driven water management decision-making processes in California" 21 : 315-329, 2007

      11 Choi, S. 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ater Resources System Assessment Methodology based on Scenarios and Energy Efficiency" Korea University 2015

      12 "DWR(California 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California Water Plan Update"

      13 Rowland, E. L., "Considering Multiple Futures: Scenario Planning To Address Uncertainty in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4

      14 Pica, J., "Climate Impacts on Municipal Water Supplies in New England: A Comparison of Two Systems" 3361-3365, 2012

      15 EPA(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limate Change Handbook for Regional Water Planning"

      16 Yilmaz, B., "An Indicator Based Assessment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Gediz River Basin, Turkey" 24 : 4359-4379, 2010

      17 "Agricultural Outlook 2016"

      18 Medellin-Azuara, J., "Adaptability and adaptations of California’s water supply system to dry climate warming" 87 : 75-90, 2008

      19 박진혁, "A1B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 RCM과 SWAT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및 용담댐 유역 유출량 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4 (44): 929-940, 2011

      20 Timper, C., "A look into the future: scenarios for distributed generation in Europe" Sustelnet, European Connission 1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