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교육기관 홈페이지 구축과 활용의 구조에 관한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63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es non-structural interviews with the principals of preschool institutes, teac, and parents to analyze the building and using process of preschool institute homepage. Based on that, it intends to find the poten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es.
      It uses non-directional interviews with, subjects of this study, 29 principals, 35 teachers and 25 parents, of the total 30 institutes which consists of 5 private kindergartens, 2 public kindergartens, 5 private nurseries and 3 national/public nurseries that have built homepage of their own, and as many institutes as the above that does not have homepage.
      Besides non-directional interviews, reporting and recording is used for what interviewees provide. For institutes with homepage, it searches the homepage to get information prior to visiting them. Then, it analyzes the poten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t through interviews with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As a results, it finds two contrary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mepage of preschool institutes, namely building voluntarily to use and building by social demand.
      From the two aspects of it, it finds the depths of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that is potential and does not constructed in the actual field and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a principals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homepage voluntarily, ⓛ cope actively with the flow of the information age ② apply efficiently to connection to the home using inter-conversation ③ advertise and improve the image of the institute ④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to other institutes ⑤ use actively common information. For teacher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re to ① consult with parents swiftly ② activate education on the internet using homepage ③ activate parents education through homepage ④ share with and correspond to information, while for parents, it is to ① consult mutually with institute swiftly ② observe preschoolers lives ③ make fathers participate highly in institutes ④ share and correspond information.
      In case of building homepage by social demand, for principal,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① coping with the flow of the information age ② demand of parents ③ demand of teachers ④ demand of community, etc. Whereas for teachers, it is as follows; ① demand of principal ② demand of children ③ demand of parents, for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position of parents, ① learning connected to institute and home ② childrens positive interests ③ demand for observing preschoolers lives.
      Focusing on the findings, we can discuss as belows. The core issues of the argument related to the findings is to enhance education and efficiency in building and using homepage accordingly.
      In the general aspects of building and using homepage, it has been fulfilled under what it should be educative timely, namely education information. Now that preschool institutes homepages should be used toward more educative and efficient directions, beyond building itself for advertisement, it will require the cooperation among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Therefore, it can suggest research and practical task belows, that be done by principal of preschool institutes,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as well as the government supporting them, research institutes and related groups.
      First, it needs the development and enforcement of alternative policy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which can support the information of preschool institutes financially.
      Second, in principals aspect, a principal should have information mind to help homepage build and use efficiently.
      Third, in teachers aspects, teachers are in important position for using homepage. To consider more efficient plans, ①it need to give teachers incentive and practical training. ② it requires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In other words, it need to arrange measures institutionally that teachers can finish in the process of in-service training, study, promotion, etc. ④ it can be useful for developing application capacity through assessment after information training.
      Fourth, in parents aspects, it can help the information of institutes advance through the help using parents resources.
      Fifth, in childrens aspects, it need to study, develop and apply program for childrens easy use.
      Further, it will lead advanced education for the globalization for the 21st century by setting up sisterhood relationship to abroad preschool institutes via homepage on the internet, reflecting globalization trend.
      번역하기

      This study uses non-structural interviews with the principals of preschool institutes, teac, and parents to analyze the building and using process of preschool institute homepage. Based on that, it intends to find the potential structure and character...

      This study uses non-structural interviews with the principals of preschool institutes, teac, and parents to analyze the building and using process of preschool institute homepage. Based on that, it intends to find the poten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es.
      It uses non-directional interviews with, subjects of this study, 29 principals, 35 teachers and 25 parents, of the total 30 institutes which consists of 5 private kindergartens, 2 public kindergartens, 5 private nurseries and 3 national/public nurseries that have built homepage of their own, and as many institutes as the above that does not have homepage.
      Besides non-directional interviews, reporting and recording is used for what interviewees provide. For institutes with homepage, it searches the homepage to get information prior to visiting them. Then, it analyzes the poten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t through interviews with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As a results, it finds two contrary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mepage of preschool institutes, namely building voluntarily to use and building by social demand.
      From the two aspects of it, it finds the depths of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that is potential and does not constructed in the actual field and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a principals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homepage voluntarily, ⓛ cope actively with the flow of the information age ② apply efficiently to connection to the home using inter-conversation ③ advertise and improve the image of the institute ④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to other institutes ⑤ use actively common information. For teacher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re to ① consult with parents swiftly ② activate education on the internet using homepage ③ activate parents education through homepage ④ share with and correspond to information, while for parents, it is to ① consult mutually with institute swiftly ② observe preschoolers lives ③ make fathers participate highly in institutes ④ share and correspond information.
      In case of building homepage by social demand, for principal,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① coping with the flow of the information age ② demand of parents ③ demand of teachers ④ demand of community, etc. Whereas for teachers, it is as follows; ① demand of principal ② demand of children ③ demand of parents, for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position of parents, ① learning connected to institute and home ② childrens positive interests ③ demand for observing preschoolers lives.
      Focusing on the findings, we can discuss as belows. The core issues of the argument related to the findings is to enhance education and efficiency in building and using homepage accordingly.
      In the general aspects of building and using homepage, it has been fulfilled under what it should be educative timely, namely education information. Now that preschool institutes homepages should be used toward more educative and efficient directions, beyond building itself for advertisement, it will require the cooperation among principals, teachers, and parents.
      Therefore, it can suggest research and practical task belows, that be done by principal of preschool institutes,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as well as the government supporting them, research institutes and related groups.
      First, it needs the development and enforcement of alternative policy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which can support the information of preschool institutes financially.
      Second, in principals aspect, a principal should have information mind to help homepage build and use efficiently.
      Third, in teachers aspects, teachers are in important position for using homepage. To consider more efficient plans, ①it need to give teachers incentive and practical training. ② it requires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In other words, it need to arrange measures institutionally that teachers can finish in the process of in-service training, study, promotion, etc. ④ it can be useful for developing application capacity through assessment after information training.
      Fourth, in parents aspects, it can help the information of institutes advance through the help using parents resources.
      Fifth, in childrens aspects, it need to study, develop and apply program for childrens easy use.
      Further, it will lead advanced education for the globalization for the 21st century by setting up sisterhood relationship to abroad preschool institutes via homepage on the internet, reflecting globalization tre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비구조적인 면접방법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홈페이지 구축과 활용과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홈페이지의 구축과 활용에 내재된 잠재적 구조와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및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중 홈페이지 구축 활용기관 사립유치원 5개소, 공립유치원 2개소, 민간어린이집 5개소, 국공립어린이집 3개소와, 홈페이지 미구축 기관인 사립유치원 5개소, 공립유치원 2개소, 민간어린이집 5개소, 국공립어린이집 3개소로, 총30개소의 원장 28명, 교사 35명, 학부모 25명을 대상으로 비지시적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또 비지시적 면접방법 외에 피면접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록하고 녹음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홈페이지가 구축된 기관은 미리 홈페이지를 탐색하여 사전 정보를 확보한 다음 기관을 방문하여 인터뷰하여 얻은 자료를 통하여 원장, 교사, 학부모들의 잠재적 구조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기관의 홈페이지가 스스로 자발에 의한 구축활용과 사회적 요구에 의한 구축활용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구조와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측면으로 실제 현장에서 원장, 교사, 학부모에게서 나타난 잠재적이고 구조화되지 않은 심층적인 부분을 파악하여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스스로 자발에 의한 구축활용에서 원장의 입장에서 본 특성은 ⓛ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처 ② 쌍방향 대화를 이용한 가정과의 연계에서의 효율적 활용 ③ 원 홍보 및 이미지 향상 ④ 타 기관과의 경쟁력 강화 ⑤ 정보의 공유를 적극적 활용한다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입장에서 본 구조와 특성은 ① 학부모와의 신속한 상담 ② 홈페이지를
      활용한 인터넷 교육의 활성화 ③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활성화 ④ 정보의 공유와 대응이 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학부모의 입장에서 본 구조와 특성은 ① 기관과 신속한 쌍방향 상담 ② 원아 생활을 관찰 ③ 아버지의 높은 기관 참여도 ④ 정보의 공유와 정보화의 대응을 원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사회적 요구에 의한 홈페이지 구축활용에서의 원장의 입장에서 본 구조와 특성을 보면 ① 정보화 시대에 흐름의 대처 ② 학부모의 요구 ③ 교사의 요구 ④ 지역사회의 요구 등을 볼 수 있으며, 교사의 입장에서 본 구조와 특성은 ① 원장의 요구 ② 유아의 요구 ③ 학부모의 요구이며, 학부모의 입장에서 본 요구와 특성을 보면 ① 기관과 가정과의 연계학습 ②
      유아의 적극적인 관심 ③ 원아 생활 관찰을 위한 요구에 의해 구축 활용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와 관련한 논의의 핵심적인 문제는 교육성의 제고 및 이와 관련한 홈페이지의 구축과 활용에서의 효율성 제고라고 할 수 있다.
      홈페이지 구축활용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보면, 이제까지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육정보화라는 시대적 교육적 당위성에 홈페이지가 떠밀려가듯이 흘러 왔지만, 이제는 유아교육기관의 홈페이지가 홍보차원에서의 구축을 뛰어넘어 더 교육적 효율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이에 원장, 교사, 학부모가 힘을 합쳐 헤쳐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 기관장, 교사, 학부모, 유아 및 이를 지원하는 정부와 연구기관 및 관련단체들이 수행해야 할 연구 및 실천적 과제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정보화를 위해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정책대안을 개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원장의 측면에서 볼 때, 홈페이지가 효율적으로 구축되고 활용되기 위해 기관장의 정보화 마인드가 있어야한다.
      셋째, 교사의 측면에서 보면, 홈페이지의 활용에 있어 교사는 매우 중요한데 더 효율적인 방안을 검토하면, ① 교사에
      게 동기부여와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② 실재적인 교사 재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곧 재교육, 연수, 승급, 등의 과정에
      서 필수적으로 이수 할 수 있는 제도적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④ 정보화 교육과정 수행 후에 평가로 인하여 활용능력을 기를 수 있다.
      넷째, 학부모의 측면에서 보면, 학부모자원을 활용한 도우미 역할을 통하여 기관의 정보화를 앞당길 수 있겠다.
      다섯째, 유아의 측면에서 보면, 유아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되어 활용되어져야한다.
      나아가 세계화의 추세에 반영하여 인터넷을 통한 외국의 유아교육기관과의 홈페이지를 통한 자매 결연으로 세계화로 나아가는 21세기의 앞선 교육을 실천하는데 앞장 설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비구조적인 면접방법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홈페이지 구축과 활용과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홈페이지의 구축과 활용에 내재된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비구조적인 면접방법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의 홈페이지 구축과 활용과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홈페이지의 구축과 활용에 내재된 잠재적 구조와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및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중 홈페이지 구축 활용기관 사립유치원 5개소, 공립유치원 2개소, 민간어린이집 5개소, 국공립어린이집 3개소와, 홈페이지 미구축 기관인 사립유치원 5개소, 공립유치원 2개소, 민간어린이집 5개소, 국공립어린이집 3개소로, 총30개소의 원장 28명, 교사 35명, 학부모 25명을 대상으로 비지시적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또 비지시적 면접방법 외에 피면접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록하고 녹음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홈페이지가 구축된 기관은 미리 홈페이지를 탐색하여 사전 정보를 확보한 다음 기관을 방문하여 인터뷰하여 얻은 자료를 통하여 원장, 교사, 학부모들의 잠재적 구조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기관의 홈페이지가 스스로 자발에 의한 구축활용과 사회적 요구에 의한 구축활용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구조와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측면으로 실제 현장에서 원장, 교사, 학부모에게서 나타난 잠재적이고 구조화되지 않은 심층적인 부분을 파악하여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스스로 자발에 의한 구축활용에서 원장의 입장에서 본 특성은 ⓛ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처 ② 쌍방향 대화를 이용한 가정과의 연계에서의 효율적 활용 ③ 원 홍보 및 이미지 향상 ④ 타 기관과의 경쟁력 강화 ⑤ 정보의 공유를 적극적 활용한다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입장에서 본 구조와 특성은 ① 학부모와의 신속한 상담 ② 홈페이지를
      활용한 인터넷 교육의 활성화 ③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활성화 ④ 정보의 공유와 대응이 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학부모의 입장에서 본 구조와 특성은 ① 기관과 신속한 쌍방향 상담 ② 원아 생활을 관찰 ③ 아버지의 높은 기관 참여도 ④ 정보의 공유와 정보화의 대응을 원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사회적 요구에 의한 홈페이지 구축활용에서의 원장의 입장에서 본 구조와 특성을 보면 ① 정보화 시대에 흐름의 대처 ② 학부모의 요구 ③ 교사의 요구 ④ 지역사회의 요구 등을 볼 수 있으며, 교사의 입장에서 본 구조와 특성은 ① 원장의 요구 ② 유아의 요구 ③ 학부모의 요구이며, 학부모의 입장에서 본 요구와 특성을 보면 ① 기관과 가정과의 연계학습 ②
      유아의 적극적인 관심 ③ 원아 생활 관찰을 위한 요구에 의해 구축 활용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와 관련한 논의의 핵심적인 문제는 교육성의 제고 및 이와 관련한 홈페이지의 구축과 활용에서의 효율성 제고라고 할 수 있다.
      홈페이지 구축활용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보면, 이제까지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육정보화라는 시대적 교육적 당위성에 홈페이지가 떠밀려가듯이 흘러 왔지만, 이제는 유아교육기관의 홈페이지가 홍보차원에서의 구축을 뛰어넘어 더 교육적 효율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이에 원장, 교사, 학부모가 힘을 합쳐 헤쳐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 기관장, 교사, 학부모, 유아 및 이를 지원하는 정부와 연구기관 및 관련단체들이 수행해야 할 연구 및 실천적 과제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정보화를 위해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정책대안을 개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원장의 측면에서 볼 때, 홈페이지가 효율적으로 구축되고 활용되기 위해 기관장의 정보화 마인드가 있어야한다.
      셋째, 교사의 측면에서 보면, 홈페이지의 활용에 있어 교사는 매우 중요한데 더 효율적인 방안을 검토하면, ① 교사에
      게 동기부여와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② 실재적인 교사 재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곧 재교육, 연수, 승급, 등의 과정에
      서 필수적으로 이수 할 수 있는 제도적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④ 정보화 교육과정 수행 후에 평가로 인하여 활용능력을 기를 수 있다.
      넷째, 학부모의 측면에서 보면, 학부모자원을 활용한 도우미 역할을 통하여 기관의 정보화를 앞당길 수 있겠다.
      다섯째, 유아의 측면에서 보면, 유아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되어 활용되어져야한다.
      나아가 세계화의 추세에 반영하여 인터넷을 통한 외국의 유아교육기관과의 홈페이지를 통한 자매 결연으로 세계화로 나아가는 21세기의 앞선 교육을 실천하는데 앞장 설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