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f ASD Students’ Social Relations Literatur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47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육학 분야에서 사회연결망 분석은 비장애 학생의 우정 관계, 또래관계, 학업성취, 상호작용 형태 등...

      최근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육학 분야에서 사회연결망 분석은 비장애 학생의 우정 관계, 또래관계, 학업성취, 상호작용 형태 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 분석 연구방법을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중재에 있어 활용을 모색하고자 기초연구로써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사회성관계를 연구한 선행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연구에 활용되는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특성 및 내용을 살펴보았다. 체계적 문헌 선정과정을 통하여 18편의 관련 논문을 선정하였고,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와 관련된 사회연결망 분석 연구의 연구방법(연도, 지역, 학교급, 연구 참여자, 측정방법, 분석종류 등)과 연구 결과의 내용적 특성(주제, 결과)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2007년도 이후 18편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최근 11년 동안 지속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국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이 가장 높은 빈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모든 학교급에 걸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성 관계 연구를 위한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의 잠재적 적절성과 활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odology. In the education fiel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have been used to identify friendship, peer-interactions, peer relationships, academic achievement, etc. Thu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ent social network a...

      thodology. In the education fiel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have been used to identify friendship, peer-interactions, peer relationships, academic achievement, etc. Thu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ent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characteristics related to ASD students’ social relations, so that more researchers would be able to emplo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for autistic students’ improvement in their peer relations. We searched 18 related research literatures through the systematic process. The se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i.e., publication years, countries, grade levels, types of participants, measurement methods, etc.) and the research results (i.e., purposes, etc.).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18 papers were published since 2007 and the number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consistently increased in the last 11 years. The most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Most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 used surveys on students.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analyze soci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with ASD across all grade levels. We discussed that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for the research the ASD students’ social rel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애진, "학습부진 아동의 기초학습능력과 초기 또래관계의 관계 특성: 사회망분석을 활용하여"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57-171, 2015

      2 송소현, "특수학교 기반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 지원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3 김남진, "특수교육 학술지를 통해 본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15-234, 2007

      4 김동현, "초등학생의 또래지위와 공격성과의 관계 : 선호도, 인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75-194, 2010

      5 최지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 (41): 199-210, 2003

      6 양종훈,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 및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9) : 343-350, 2010

      7 김채희, "청소년의 스포츠참가와 학급사회연결망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45-67, 2010

      8 이인원, "정책학방법론 동향 :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론의 최근동향" 28 : 32-37, 2012

      9 고길곤, "정책네트워크 연구의 유용성과 사회연결망 이론 활용 방법의 고찰" 한국행정연구소 45 (45): 138-164, 2007

      10 신효순, "일반아동 참여의 과정중심 역할놀이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303-326, 2013

      1 이애진, "학습부진 아동의 기초학습능력과 초기 또래관계의 관계 특성: 사회망분석을 활용하여"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57-171, 2015

      2 송소현, "특수학교 기반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 지원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3 김남진, "특수교육 학술지를 통해 본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15-234, 2007

      4 김동현, "초등학생의 또래지위와 공격성과의 관계 : 선호도, 인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75-194, 2010

      5 최지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 (41): 199-210, 2003

      6 양종훈,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 및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9) : 343-350, 2010

      7 김채희, "청소년의 스포츠참가와 학급사회연결망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45-67, 2010

      8 이인원, "정책학방법론 동향 :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론의 최근동향" 28 : 32-37, 2012

      9 고길곤, "정책네트워크 연구의 유용성과 사회연결망 이론 활용 방법의 고찰" 한국행정연구소 45 (45): 138-164, 2007

      10 신효순, "일반아동 참여의 과정중심 역할놀이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303-326, 2013

      11 최연철,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교육연구원 28 (28): 159-174, 2012

      12 김대룡, "역할부여와 또래지원이 발달장애 대학생의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4 (14): 163-192, 2015

      13 권민혁, "아동의 운동능력과 또래지위의 관계" 14 (14): 669-678, 2001

      14 임번장, "스포츠클럽 참가 아동의 또래관계 연결망 구조와 또래지위 결정 요인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4 (24): 41-62, 2011

      15 강순원, "서울형 장애성인 평생교육 운영모형 개발" 서울특별시교육청 2011

      16 최연철,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유아 또래관계 유형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91-209, 2012

      17 김대룡, "발달장애 대학생의 직업전환을 위한 진로태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33-152, 2011

      18 김대룡, "또래지명법 및 사회연결망을 활용한 발달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7-54, 2012

      19 최연철, "또래관계 분석방법 비교: 또래지명법, 또래평정법과 사회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91-317, 2012

      20 현영섭, "교육학 분야 사회연결망분석 방법의 적용 동향" 한국교육학회 55 (55): 1-32, 2017

      21 채현우, "교육지원청, 시청, 단위학교의 정보교환 네트워크 특성 탐색"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103-126, 2016

      22 우영희, "교육공학연구에서의 내용분석 적용 동향: 분석 내용 및 모델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8 (8): 131-155, 2012

      23 Pijl, S. J., "The social position of pupils with special needs in regular schools" 52 (52): 387-405, 2008

      24 Boer, A., "The acceptance and rejection of peers with ADHD and ASD in general secondary education" 109 (109): 325-332, 2016

      25 Ferraioli, S. J., "Teaching joint attention to children with autism through a sibling‐mediated behavioral intervention" 26 (26): 261-281, 2011

      26 Pijl, S. J.,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secondary education: are they intending to learn or to leave?" 29 : 16-28, 2014

      27 Bossaert, G.,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34 (34): 43-54, 2015

      28 Kasari, C., "Social networks and friendships at school : Comparing children with and without ASD" 41 (41): 533-544, 2011

      29 Vu, J. A., "Social network profiles of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28 (28): 69-84, 2014

      30 Farmer, T. W., "Social network placement of rural second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 Affiliation and centrality" 78 (78): 24-38, 2011

      31 Locke, J., "Social network changes over the school year among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with and without an autism spectrum disorder" 5 (5): 38-47, 2013

      32 Anderson,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predictors of fragmentation and connectivity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20 (20): 700-709, 2016

      33 Rotheram-Fuller, E., "Social involv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51 (51): 1227-1234, 2010

      34 Eisenman, L. T., "Rethinking social network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in postsecondary education" 26 (26): 367-384, 2013

      35 Carter, E. W., "Promoting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using peer support strategies" 31 (31): 292-, 2006

      36 Mu, K., "Peer interactions and sociometric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oderate or severe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25 (25): 142-152, 2000

      37 Hughes, C., "Peer buddy programs for successful secondary school inclusion" Brookes 2008

      38 Kasari, C., "Making the connection :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ocial skills at school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53 (53): 431-439, 2012

      39 Locke, J., "Loneliness, friendship quality and the social networks of adolescen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in an inclusive school setting" 10 (10): 74-81, 2010

      40 Bauminger, N., "Loneliness and friendship in high‐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71 (71): 447-456, 2000

      41 Chamberlain, B., "Involvement or isolation? The social networks of children with autism in regular classrooms" 37 (37): 230-242, 2007

      42 Carter, E. W.,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among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general education peers : Effective interventions" 30 (30): 179-193, 2005

      43 최진혁, "ICF Core Set 연구 동향 분석: 2012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51-82, 2018

      44 Giletta, M., "Friendship context matters : Examining the domain specificity of alcohol and depression socialization among adolescents" 40 (40): 1027-1043, 2012

      45 Locke, J., "Exploring the social impact of being a typical peer model for includ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42 (42): 1895-1905, 2012

      46 van Asselt-Goverts, A. E., "Do social networks differ? Comparison of the social network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oth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45 (45): 1191-1203, 2015

      47 Monchy, M. D., "Discrepancies in judging social inclusion and bullying of pupils with behaviour problems" 19 (19): 317-330, 2004

      4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2013

      49 Corsello, C. M.,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2‐year‐olds : a study of community practice" 54 (54): 178-185, 2013

      50 Van den Berg, Y. H. M., "Changing peer perceptions and victimization through classroom arrangements : A field experiment" 40 (40): 403-412, 2012

      51 Soresi, S., "A social skill training for persons with Down's syndrome" 5 (5): 34-, 2000

      52 Moolenaar, N.,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on Teacher Collaboration in Schools : Theory, Methodology, and Applications" 119 (119): 7-39, 2012

      53 교육부, "2018 특수교육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