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행복과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했던 문명과 과학의 발전은 처음에 의도하지 않았던 자연환경의 파괴를 가져왔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순환과 자정능력이 점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173237
춘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학위논문(석사) --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초등윤리교육 , 2002
2002
한국어
539.98072
경기도
vii,71p.: 삽도; 26cm.
참고문헌 : p.63-6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의 행복과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했던 문명과 과학의 발전은 처음에 의도하지 않았던 자연환경의 파괴를 가져왔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순환과 자정능력이 점차 ...
인간의 행복과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했던 문명과 과학의 발전은 처음에 의도하지 않았던 자연환경의 파괴를 가져왔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순환과 자정능력이 점차 소멸되어 인류의 생존자체를 위협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함으로써 환경문제의 해결은 사후 처방적인 노력보다는 환경을 파괴시킨 인간의 자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견해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 교육은 지식보다는 가치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하며 환경문제에 관련된 가치를 분석·비교하고 결과적으로 이와 관련된 쟁점에 대해 합리적인 해결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하여 가르치고 있는 환경에 대한 가치들과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가치관을 알아보고 VTR자료를 활용한 토의수업을 통하여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가치 교육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새롭고 획기적인 방향의 제시보다는 기존의 학교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방법과 개선할 점들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과서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에 비해 자연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 생기는 문제점들을 강조하고 개발의 관점뿐만 아니라 보존의 관점에 대한 입장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종래의 인간 중심적인 관점에서 벗어나려는 시도가 보이지만 아직은 부족한 편이다. 셋째, 환경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인간중심주의나 경제 지상주의의 구체적인 설명이 결여되어 있으며 자연을 바라보는 윤리적 가치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다. 넷째, 환경문제의 원인이나 해결방법에 대한 내용이 교과마다 중복되어 있다. 다섯째, 환경문제의 해결방법에 있어서 인간의 실천적인 면만을 강조하고 탈 인간중심적 가치관이나 생태학적인 가치관에 대한 내용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여섯째, 가치를 논의함에 있어 중심이 되어야 할 도덕과는 사회과나 자연(과학과)보다 환경가치 교육에 대한 내용이 미흡하다.
설문지로 알아본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환경 가치관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과학적·경제적인 방법보다 사람들의 실천에 의한 방법이 더 좋다고 대답하였다. 이는 학교나 가정에서 이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고 국가에서도 적극적인 홍보를 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둘째, 먹기 위해서 기르는 가축과 애완동물 그리고 야생동물의 가치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제일 많았지만 애완동물이 더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도 많았다. 애완동물은 정신적인 교감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더 높게 두고 있었으나 먹기 위해서 기르는 가축은 인간을 위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가치를 낮게 두고 있었다. 육식에 대해서는 인간중심적인 관점에서 정당화시키는 의견이 많았으며 채식에 대한 생각은 높지 않았다. 셋째, 자연을 보존하여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개발된 자연을 복구하여 돌려주어야 한다는 보존의 입장과 후손들이 쓸 만큼의 자원은 남겨두고 개발하여야 한다는 개발의 입장이 서로 맞섰다. 넷째, 자연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되도록 많은 사람이 이용해야 한다는 공리주의적인 의견과 최대한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개발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환경가치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비디오 자료를 시청한 후 토의와 가치지 기입을 실행한 수업은 첫째, 환경가치에 대해 학생들이 알지 못했던 사실과 사건 그리고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접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는 교과서의 내용만이 정답이라는 위험성을 배제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도움이 되었다. 둘째, 환경가치에 대한 내용을 초등학교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주었다. 기존의 교과서만을 가지고는 환경가치에 대한 수업을 하기 힘들었으나 자료의 내용과 교사의 질문은 학생들이 환경가치에 대해 적어도 한 번쯤은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었다. 셋째, 환경문제의 쟁점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확실히 하는 과정을 경험시킬 수 있었다. 미래에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환경 쟁점에 대한 비디오 내용을 보고 토의하고 자신의 입장을 글로 쓰는 활동은 교육이 미래에 대한 준비를 시켜야 한다는 입장에서 볼 때 효과가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science in search of the happiness and comfort of human beings has done unexpected damage to nature. The natural circle and self-purifying abilities of the ecosystem has gradually vanished to threaten the very exist...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science in search of the happiness and comfort of human beings has done unexpected damage to nature. The natural circle and self-purifying abilities of the ecosystem has gradually vanished to threaten the very existence of humanity.
Continu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work out environmental problems only to fail. Some have come to see that changes should be made in views on nature so a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stead of making belated adjustment. Therefor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a new angle; it is not related to knowledge but to value. Therefor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to make a selection of rational solutions on the basis of comparative analyses of value rela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look at environmental value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ews on environment and to present innovations for the education of environmental value at elementary schools through discussion classes based on VTR. This study is not aimed at coming up with new and reformative measures but at measures available within the establihshed curriculum of schools.
First, the survey shows that the seventh curriculum not only highlights problems incurred from the exploitation of nature but also include the view points of nature conservation. Second, attempts at breaking away from anthropocentrism leave something to be desired. Third, the textbooks stop short of dwelling on the causes of natural problems, anthropocentrism and mammonism and have to highlight ethical value on nature. Fourth, contents on the cause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solutions overlap. Fifth, the methods of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put much emphasis on human practices but fail to deal with non-anthropocentrism or views on the ecosystem. Sixth, good citizenship class is less sufficient than social studies or natural science.
The survey working with the fourth to sixth elementary school graders reveals the following findings in relation to their environmental views. First, the subjects responded that it is better to depend on human practices than to rely on scientific and economic methods so a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This may result from the education of schools or homes and from the positive publicity of the government. Second,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thought that domestic animals, pets and wild life were similar in terms of their value, but some thought that pets were more valuable. They put high value in the pets because of spiritual rapport but put low value in pets despite the fact that they exist for humanity. Many subjects justified meat diets from an angle of anthropocentrism and didn't think much of vegetable diets. Third, although a lot of subjects thought that they had to 11ass nature as it is on to the next generation, some subjects thought that they had only to pass the exact portion of nature that will be needed on to the next generation. Fourth, many subjects thought that nature should be utilized by as many people as possible but some thought that development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greatest damage.
The VTR materials on environmental value and post discussion and worksheets brought the following results to classes. First, They enabled the subjects to have access to unknown facts, events, and expertise. The activities prevented students from thinking that the contents of their textbooks were the only right answers. Second, they provid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hances for accessing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value. It was hard to teach environmental value with the help of the established textbooks only, but the ac5vities provided the subjects with time to reflect on the value of environment. Third, the activities enabled the subjects to confirm their own views on ale problems of environment. The activities providing students with VTR viewing, discussion and composition were effectiv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education should get students ready for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