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426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스마트폰의 초기 확산이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속변수는 정보이용능력이...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스마트폰의 초기 확산이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속변수는 정보이용능력이며, 주요 변수로 스마트 기기의 보유 여부,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서 성별, 연령, 교육, 소득 등을 사용하였다. 특히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정보격차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보유여부를 조절변수로 하여 성별, 연령, 교육,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 기기의 보유는 정보리터러시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었다. 둘째, 스마트시대에도 성별, 교육, 소득이 정보격차에 영향을 주지만, 연령별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스마트폰의 보유 여부는 교육수준에 따른 정보리터러시의 격차 정도를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devices on the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divide issues. The dependent variable is digital literac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access to smart devices, demographic factors suc...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devices on the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divide issues. The dependent variable is digital literac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access to smart device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age, and socio-economic factors including education, income, occupation, and area of resid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used the retention of smartphone for interaction term. The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smart devices have a positive impact on information literacy and also negate the effects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digital divi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상기, "한국 정보격차의 시계열 변화 분석:정보격차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6 (16): 147-174, 2013

      2 민인식,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STATA학회 2010

      3 최연태,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이용한 전자정부 이용자 특성 분석" 한국정책학회 20 (20): 47-80, 2011

      4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격차해소 인식 제고를 위한 초중등 교육과정" 2007

      5 이명진, "정보격차 연구의 쟁점 변화와 그 함의" 한국정보화진흥원 16 (16): 3-17, 2009

      6 최연태, "전자정부 웹사이트 이용 상의 정치적 선택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20 (20): 231-262, 2011

      7 최연태,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이 정책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행정학회 21 (21): 73-98, 2011

      8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50-187, 2011

      9 이윤식, "신행정정보체계론" 대영문화사 2009

      10 강월석, "스마트융합시대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29-38, 2012

      1 진상기, "한국 정보격차의 시계열 변화 분석:정보격차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6 (16): 147-174, 2013

      2 민인식,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STATA학회 2010

      3 최연태,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이용한 전자정부 이용자 특성 분석" 한국정책학회 20 (20): 47-80, 2011

      4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격차해소 인식 제고를 위한 초중등 교육과정" 2007

      5 이명진, "정보격차 연구의 쟁점 변화와 그 함의" 한국정보화진흥원 16 (16): 3-17, 2009

      6 최연태, "전자정부 웹사이트 이용 상의 정치적 선택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20 (20): 231-262, 2011

      7 최연태,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이 정책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행정학회 21 (21): 73-98, 2011

      8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50-187, 2011

      9 이윤식, "신행정정보체계론" 대영문화사 2009

      10 강월석, "스마트융합시대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29-38, 2012

      11 한은영, "미국의 스마트폰 보급과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동향" 2012

      12 최연태, "마이크로블로그의 정치적 이용이 참여적 사회자본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297-329, 2012

      13 Negroponte, N., "디지털이다" 커뮤니케이션북스 1996

      14 이원태,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 정보격차 해소 및 미디어 리터러시 제고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15 고삼석, "디지털 전환에 따른 방송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 접근격차, 이용격차, 성과격차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5 (25): 46-91, 2011

      16 황용석,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98-225, 2012

      17 김기태, "디지털 격차해소와 미디어 리터러시" 37-57, 2008

      18 이수상, "다문화사회의 이주노동자의 정보리터러시 격차"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1 (41): 391-419, 2010

      19 김봉섭, "노년층의 정보격차 결정요인 연구 -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원 35 (35): 193-222, 2009

      20 "국가법률정보센터"

      21 서진완, "‘정보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의 개념을 이용한 지역주민의 정보화수준 측정" 34 (34): 309-325, 2000

      22 "e-나라지표"

      23 Gottfredson. L. S., "Why g Matters: the Complexity of Everyday Life" 24 : 79-32, 1997

      24 OECD,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2001

      25 Toffler, Alvin, "The Third Wave" Bantam Books 1980

      26 Demo. William, "The Idea of 'Tnformation Literacy" Ín the Age of High-Tech" Tompkins Cortland Community College 1986

      27 Naisbitt, J., "Ten New Directions Transforming Our Lives" Warner Books 1982

      28 Ofcom., "Strategies and priorities for the promotion of media literacy: a statement" Ofcom. Pew Research Center 2004

      29 Ofcom., "Strategies and priorities for the promotion of media literacy : a statement" Ofcom 2004

      30 Toffler, Alvin, "Powershift : Knowledge, Wealth, and Violence at the Edge of the 21st Century" Bantam 1991

      31 OECD & Statistics Canada, "Literacy in the Age of information Age. Final Report of the international AduJt Literocy Suroey" OECD 2000

      32 Tyner. K, "Literacy in a digjtal in a Digital world" Lawrence, Erlbum Associates 1998

      33 Scribner, S., "Literacy in Three Metaphors" 93 : 6-21, 1984

      34 Freire, P., "Literacy : Reading the word and the world" Bergin &Garvey 1987

      35 Bawden. D.,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 a review of concept" 57 (57): 218-259, 2001

      36 Schiller, H, "Information Inequality; the Deeping Social Crisis in America" Routledge 1996

      37 Gilster, P., "Digital literacy" Wiley 1997

      38 Ofcom, "Digital differences"

      39 Jan A.G.M. van Dijk, "Digital Divide research, archivements and shortcomings" 34 (34): 221-235, 2006

      40 정충식, "2012 전자정부론" 서울경제경영 2012

      4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신 디지털 격차 현황 분석 및 제언: 2012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 요약 보고서" 2013

      42 서이종, ""정보격차란?"정보화로 가는 길" 한국정보화진흥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8 1.41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