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 An Analysis of Nature of Science Reflected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4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에 과학의 본성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으며, 그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3학년 과학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에 과학의 본성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으며, 그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 4종을 선정하였다.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은 4가지 범주(이영희, 2013)로 분류하였고, 과학의 본성 수준은 4가지 수준(김영선, 2013)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전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은 범주 ‘Ⅰ. 과학 지식의 본성’ 51.2%, 범주 ‘Ⅱ. 과학적 탐구의 본성’ 28.6%, 범주 ‘Ⅲ. 과학적 사고의 본성’ 7.6%, 범주 ‘Ⅳ.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관계의 본성’ 12.6%로 불균형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하위 요소 분포에서도 일부 하위 요소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단원별 분석에서는 1~7단원까지는 교과서 전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의 4가지 범주의 분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8단원에서는 범주 Ⅰ이 가장 낮고 범주 Ⅳ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임으로써 상반된 분포가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 전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수준은 ‘세련된 관점의 암시적 표현’이 8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순수한 관점의 명시적 표현’이 0.2%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그러나 각 하위 요소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Ⅳ-1)에서 명시적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Ⅱ-2, Ⅲ-1), Ⅳ-1)은 세련된 관점보다 순수한 관점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교과서 단원별 분석에서는 8단원에서 명시적 표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7단원에서는 명시적 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NOS) reflected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follow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e study, the four kinds of textbooks were selected. The analysis frame propo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NOS) reflected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follow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e study, the four kinds of textbooks were selected. The analysis frame proposed by Lee(2013) is used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 into four categories. Also, for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nature of science(Kim, 2013), classify for four lev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on the textbooks showed that ‘Ⅰ.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51.2%, ‘Ⅱ.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28.6%, ‘Ⅳ. nature of interaction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12.6%, and ‘Ⅲ.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7.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unevenly for each category, and focused on the specific sub-categories. In the analysis of the chapter, chapters 1~7 shows similar tendencies, on the other hand chapter 8 shows conflicting resul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nature of science showed that ‘informed view and implicit’ accounted for 88.8%, on the contrary ‘naive view and explicit’ accounted for 0.2%. Informed view showed much more than naive view, implicit expression showed more than explicit expression. In the analysis of themes, explicit express showed the most at the sub-themes Ⅳ-1), but Ⅱ-2), Ⅲ-1), Ⅳ-1) showed more informed view than naive view. Also,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hapter, chapter 8 shows the most percentage on explicit, while other chapters show little explicit expre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혜,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619-644, 2013

      2 문현숙,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반영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문서영,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 NOS) 분석 - 초등학교 3, 4, 5, 6학년 지구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과학교육연구소 38 (38): 625-640, 2014

      4 김명호, "초등 교사의 과학 교육 과정의 구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과의 상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243-251, 2010

      5 이영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73-197, 2013

      6 김경순,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ㆍ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89-99, 2008

      7 곽재진, "중학교 1학년 과학과 평가 문항에 대한 영역 및 단원별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18 (18): 1-16, 2016

      8 한지숙,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17 (17): 119-125, 1997

      9 박국태*,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 단원의 STS 교육 내용 분석과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대한화학회 50 (50): 153-162, 2006

      10 최윤희, "제 7차 초·중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 김지혜,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619-644, 2013

      2 문현숙,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반영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문서영,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 NOS) 분석 - 초등학교 3, 4, 5, 6학년 지구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과학교육연구소 38 (38): 625-640, 2014

      4 김명호, "초등 교사의 과학 교육 과정의 구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과의 상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243-251, 2010

      5 이영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73-197, 2013

      6 김경순,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ㆍ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89-99, 2008

      7 곽재진, "중학교 1학년 과학과 평가 문항에 대한 영역 및 단원별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18 (18): 1-16, 2016

      8 한지숙,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17 (17): 119-125, 1997

      9 박국태*,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 단원의 STS 교육 내용 분석과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대한화학회 50 (50): 153-162, 2006

      10 최윤희, "제 7차 초·중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1 김현진, "제 7차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1 교과서의 영역별 체제 분석" 23 : 113-128, 2011

      12 이선경,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 26 (26): 376-386, 2005

      13 이미경,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82-1193, 2004

      14 김희정,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266-283, 2013

      15 남정희,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53-262, 2007

      16 서현숙, "대학수학능력시험 생물 문항에 나타난 과학적 소양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4 (14): 601-620, 2010

      17 김선영,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계열별 및 성별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239-256, 2013

      18 이정원,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정도 탐색: 7차 및 2009 개정교육과정사례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9 (9): 217-232, 2016

      19 위은희, "과학의 본성을 명시적으로 반영한 진화수업이 진화개념과 진화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0 노태희,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882-891, 2002

      21 박창동,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학습관에 따른 초등교사의 발문 유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2 김영선,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백성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인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철학회 13 (13): 83-106, 2010

      24 최준환,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221-239, 2009

      25 류호창,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2006

      26 조희형,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9

      27 김지나, "과학교과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28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교육부"

      29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30 McComas, W. 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Kluwer 3-39, 1998

      31 Abd-El-Khalick, F.,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VNOS) :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39 (39): 497-521, 2002

      32 Lederman, N. G.,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 A review of the research" 29 : 331-359, 1992

      33 McComas, W. F., "Seeking NOS standard: What content consensus exists in popular books on the nature of science?" 2005

      34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NSTA), "Science-Technology-Society : Science education for the 1980s (An NSTA position statement)" 1982

      35 Collette, A.,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Times Millor/Mosby 1984

      36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37 Ackerson, V. L., "One course is not enough :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tention of improved views of nature of science" 43 : 194-213, 2006

      38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1996

      39 Meichtry, Y. J.,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29 (29): 389-407, 1992

      40 Khishfe, R.,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39 (39): 551-578, 2002

      41 Leite, L.,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ecklist for analysing the historical content of science textbook" 11 (11): 333-359, 2002

      42 이영희,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Korea and 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07-212, 2014

      4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44 Lederman, N. G., "Assessing the un-assessable: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VNOS)" 2001

      45 Chiappetta, E. L., "Analysis of fiv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for inclusion of the nature of science" 29 (29): 1847-1868, 2007

      46 Chiappetta, E. L., "A method to quantify major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in science textbooks" 28 : 713-725, 1991

      47 Ramnarain, U., "A comparative analysis of African life sciences and biology textbooks for inclusion of the nature of science" 35 (35): 1-8, 2015

      48 문공주, "21세기 과학적 소양 평가기준 개발 및 교과서 내용 분석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789-804, 2012

      49 박상우,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내용과 과학의 본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9 (39): 221-238, 2015

      50 정고은,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9 (19): 389-405, 2015

      51 김지혜,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명과학 단원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4 (44): 25-34, 2016

      52 김지혜,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명 영역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3 박율리, "2009 개정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21 (21): 225-239, 2017

      54 양찬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융합형 과학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과 STS에 대한 견해, 과학에 대한 흥미 및 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549-555, 2015

      55 전 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II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 분석: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대한화학회 60 (60): 59-68, 2016

      56 정나라, "2009 개정 고등학교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57 김주연, "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과학 1 물리영역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의 명시적 반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