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소에 의한 아동의 지적기능 예측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093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인이 아동의 지적기능을 유의미하게 분류하고 예측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제10차 데이터인 2017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는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인이 아동의 지적기능을 유의미하게 분류하고 예측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제10차 데이터인 2017년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서포트벡터머신, 랜덤포레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서포트벡터머신 분석 결과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소는 아동의 지적기능에 유의미한 요소로 분류예측되었다. 둘째,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아동의 지적기능을 예측하는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추출한 결과 부동산 변수가 예측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금융자산, 지역시설만족도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을 둘러싼 가족의 부와 지역사회 요소가 아동의 지적기능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요인임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서 공간 불평등은 지적기능이라는 개인 고유의 형질에 침투하여 결과적으로 발달의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 가족의 부에 의해 아동의 지적기능이 예측된다는 점이 가지는 발달격차에 대한 함의와 추후연구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amily wealth and community factors would significantly classify and predict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For this purpose, the 10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llected in 2017, was utilized, and descriptive 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amily wealth and community factors would significantly classify and predict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For this purpose, the 10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llected in 2017, was utiliz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support vector machine, and random forest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vector machine analysis showed that family wealth and community factors were significant classification variables for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Second, when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ables in predicting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was examined, using the random forest analysis, the real estate variable showed the greatest predictive power, followed by financial assets and satisfaction with local facilities. This study showed that family wealth and community factors surrounding children were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patial inequality penetrates into individual traits of intellectual functions and consequently leads to developmental inequality. This study also provid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al gap in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s was predicted by family weal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조사설계
      • Ⅳ. 분석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조사설계
      • Ⅳ. 분석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혁, "한국 아동의 생존권:빈곤 및 가족, 주거 환경, 안전, 건강 및 의료의 실태 및 변화 추이" 한국아동권리학회 14 (14): 1-39, 2010

      2 박희진, "학업성취 변동 종단 분석: 교육격차 완화 요인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9 (29): 65-88, 2019

      3 이동형, "집행기능의 이해: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관"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123-147, 2009

      4 윤우석, "지역사회해체 인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검증: 무질서, 사회유대, 비공식적 사회통제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3 (13): 117-146, 2014

      5 홍승애,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아동・청소년의 인식"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303-330, 2014

      6 김세원, "지역사회 간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아동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39) : 127-150, 2012

      7 임세희,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노혜진, "제도별 복지인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기초연금, 청년배당, 무상급식, 보육료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34 (34): 79-105, 2018

      9 곽은순, "저소득층 아동의 주거환경"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8 (18): 493-505, 2007

      10 홍인옥, "저소득 아동, 청소년의 주거실태 조사결과 및 주거빈곤 유형구분" 79 : 55-83, 2006

      1 김광혁, "한국 아동의 생존권:빈곤 및 가족, 주거 환경, 안전, 건강 및 의료의 실태 및 변화 추이" 한국아동권리학회 14 (14): 1-39, 2010

      2 박희진, "학업성취 변동 종단 분석: 교육격차 완화 요인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9 (29): 65-88, 2019

      3 이동형, "집행기능의 이해: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관"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123-147, 2009

      4 윤우석, "지역사회해체 인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검증: 무질서, 사회유대, 비공식적 사회통제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3 (13): 117-146, 2014

      5 홍승애,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아동・청소년의 인식"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303-330, 2014

      6 김세원, "지역사회 간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아동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39) : 127-150, 2012

      7 임세희,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8 노혜진, "제도별 복지인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기초연금, 청년배당, 무상급식, 보육료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34 (34): 79-105, 2018

      9 곽은순, "저소득층 아동의 주거환경"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8 (18): 493-505, 2007

      10 홍인옥, "저소득 아동, 청소년의 주거실태 조사결과 및 주거빈곤 유형구분" 79 : 55-83, 2006

      11 최병두, "자본의 도시 :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도시정책" 한울 2012

      12 김현주,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 영향" 30 (30): 125-148, 2007

      13 김현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지역사회요인 조절효과의 소득 양극집단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21) : 91-124, 2020

      14 Gelezeau, V, "아파트공화국" 후마니타스 2007

      15 최지은,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버지의 신체적 ‧ 정신적 적응: 생활시간조사와 한국아동패널을 이용한 시대, 연령, 코호트 간 차이 분석" 한국사회학회 53 (53): 1-41, 2019

      16 유희정, "아동친화도 지표를 통해서 본 O시 아동친화도시 구축 방향성"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2 (12): 159-192, 2017

      17 홍현미라, "아동중심의 지역사회개발 실천연구 - ‘포괄적 지역사회 계획(CCIs)’관점 적용 -" 한국아동복지학회 (55) : 57-86, 2016

      18 권희경, "아동의 심리적 요인, 부모의 양육 행동, 부모의 심리적 요인과 아동 집행기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143-162, 2020

      19 홍승애, "아동 친화적인 도시에 대한 아동․청소년의 인식" 한국아동학회 32 (32): 53-70, 2011

      20 Harvey, D,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 지리적 불균등 발전론" 문화과학사 2005

      21 권승, "소득, 포부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매개변수 검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3-42, 2008

      22 Bloom, P, "선악의 진화심리학" 인벤션 2013

      23 김현옥, "빈곤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자-가족요인에 관한 지역사회 지지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31-54, 2018

      24 김수영, "빈곤가정 아동의 관점에서 탐색한 “우리 동네” 연구: 아동은 어떤 동네에서 살기를 꿈꾸는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2) : 287-319, 2018

      25 Stiglitz, J, "불평등의 대가" 열린책들 2012

      26 이영수, "부모의 자산이 아동·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자산 항목별, 시기별 장·단기적 효과 분석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121-133, 2016

      27 Solomon, A, "부모와 다른 아이들" 열린책들 2010

      28 한수진, "부동산 보유규모에 따른 가계 소비지출분석" 한국소비문화학회 10 (10): 105-128, 2007

      29 손낙구, "부동산 격차와 교육격차" 63 : 66-86, 2010

      30 Ridley, M, "본성과 양육" 김영사 2003

      31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보통사람금융생활보고서" 2020

      32 Pinker, S,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동녘 사이언스 2003

      33 신정엽, "도시지리학 관점에서 아동친화도시(child-friendly city)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리학회 7 (7): 399-413, 2018

      34 Knox, P. L., "도시사회지리학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2001

      35 박귀만, "다양한 종류의 예측에서 머신러닝 성능 비교" 한국전자통신학회 14 (14): 169-178, 2019

      36 Bourdieu, P, "구별짓기 上" 새물결 1979

      37 박주호, "교육격차 실증연구의 체계적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7 (37): 213-238, 2019

      38 박세경, "건강한 아동 발달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과 책임" 283 : 43-57, 2020

      39 McMichael, P, "거대한 역설. 왜 개발할수록 불평등해지는가" 교양인 2012

      40 박인권, "‘부분’ 대 ‘전체’: 사회적 약자와 전체 인구의 삶의 질 지역격차의 비교" 한국지역학회 36 (36): 17-36, 2020

      41 Ridge, T., "‘We are all in this together’? The hidden costs of poverty, r ecession a nd austerity policies on Britain’s poorest children" 27 (27): 406-417, 2013

      42 Fagereng, A., "Why Do Wealthy Parents Have Wealthy Children?" Center for Economic Studies and ifo Institute(CESifo) 2018

      43 Easton-Brooks, D., "Wealth, traditional socioeconomic indicators and the achievement debt" 76 (76): 530-541, 2007

      44 Malone. K., "UNICEF`s Child Friendly Cities Initiative: a historical and critical review of a global program to support children in a urbanizing world" Griffith University 28-29, 2004

      45 Dietz, R. D., "The social and private micro-level consequences of homeownership" 54 (54): 401-450, 2003

      46 Mayer, S, "The influence of parental income on children’s outcomes: A review report" New Zealand Ministry of Social Development 2002

      47 Shanks, T. R. W, "The impacts of household wealth on child development" 11 (11): 93-116, 2007

      48 Brock. L. L., "The contributions of ‘hot’ and ‘cool’ executive function to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related behaviors and engagement in kindergarten" 24 (24): 337-349, 2009

      49 Goethem, A., "The Role of Reflection in the Effects of Community Service on Adolescent Development : A Meta-Analysis" 85 (85): 214-213, 2014

      50 Montgomery, J., "The Inheritance of Inequality : Hukou and related Barriers to Compulsory Education for China’s Migrant Children" 21 (21): 591-622, 2012

      51 Lipman, P, "Spatial theories of education: Policy and geography matters(Vol.9)" Routledge 165-184, 2007

      52 Ursache, A, "Socioeconomic status, white matter, and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6 (6): 1-13, 2016

      53 Bradley, R. H.,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53 : 371-399, 2002

      54 Duncan, R. J., "Relations between executive function, behavioral regulation and achievement : Moderation by family income" 49 : 21-30, 2017

      55 나종화, "R 데이터마이닝" 자유아카데미 2017

      56 Okur, S, "Predictors Of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Urban And Rural Poverty"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2020

      57 Bolton, R, "Place prosperity vs people prosperity-revisited : an old issue with a new angle" 29 (29): 185-203, 1992

      58 Guagliardo, M. F., "Physician Accessibility : an Urban Case Study of Pediatric Providers" 10 (10): 273-283, 2004

      59 Ursache, A., "Neurocognitive development in socioeconomic context : Multiple me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measuring socioeconomic status" 53 (53): 71-82, 2016

      60 John, A. M., "Neighbourhood chaos moderates the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executive functioning" 29 (29): 1-19, 2020

      61 Sampson, R. J.,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 :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27 : 918-924, 1997

      62 Bartlett, S, "Integrating children’s rights in to municipal action: A review of progress and lessons learned?" 15 (15): 18-40, 2005

      63 Jencks, C., "Inner City Poverty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Academy Press 1990

      64 Carlson, M.,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ing and theory of mind : An investigation of inhibitory control and planing ability" 87 (87): 299-319, 2004

      65 Coulton, C. J., "How neighborhoods influence child maltreat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lternative pathways" 31 (31): 1117-1142, 2007

      66 Yeung, W. J., "How money matters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 Parental investment and family processes" 73 : 1861-1879, 2002

      67 Hällsten, M., "Grand advantage : Family wealth and grand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in Sweden" 82 (82): 328-360, 2017

      68 He, Z. H., "Family environment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affective state and stress" 177 (177): 143-155, 2016

      69 Wexler, B., "Executive Function Deficits mediate Poverty’s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 Target for Intervention in At-Risk Children" 11 : 406-419, 2020

      70 Eamon, M. K, "Effects of poverty on mathematics and reading achievement of young adolescents" 22 (22): 49-74, 2002

      71 Anger, S., "Do smart parents raise smart childre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ognitive abilities" 23 (23): 1105-1132, 2010

      72 Kim, Y., "Do p arental assets matter f or c hil dren’s e ducational a ttainment? : Evidence from mediation tests" 33 (33): 969-979, 2011

      73 Cai, Y., "Deep and Extreme Child Poverty in Rich and Poor Nations:Lessons from Atkinson for the Fight Against Child Poverty" Luxembourg Income Study (LIS) 1-27, 2019

      74 Horelli, L, "Construct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nvironmental child-friendliness" 17 (17): 267-292, 2007

      75 Bush, G., "Cognitive and emotional influences in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4 (4): 215-222, 2000

      76 Evans, G. W., "Childhood Poverty, Chronic Stress, Self-Regulation and Coping" 7 (7): 43-48, 2013

      77 Bywaters, P., "Child welfare inequalities: new evidence, further questions" (21) : 369-380, 2016

      78 Gordon, J, "Child Protection at the Community Level" 13 : 368-383, 2004

      79 Yeung, W. J., "Black-white achievement gap and family wealth" 79 (79): 303-324, 2008

      80 McCloskey, 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Routledge 2009

      81 Gamoran, A., "American Schooling and Educational Inequality: A Forecast for the 21st Century" 135-153, 2001

      82 박지현, "ADHD 성향 초등학교 고학년의 계획 및 조직화 중심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23 (23): 159-171, 2016

      83 Becker, G. S,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84 통계청,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보고서"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5 2.11 2.512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