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관측자료를 이용한 응답스펙트럼의 수직/수평비 특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7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20개의 중규모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진동 파형을 이용하여 수직 대 수평 응답스펙트럼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지반진동은 수평성분 260개, 수직성분...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20개의 중규모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진동 파형을 이용하여 수직 대 수평 응답스펙트럼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지반진동은 수평성분 260개, 수직성분은 130개이며 고유진동수별 지반응답을 구하고 최대 지반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정규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관측된 지반진동을 이용한 수직 대 수평성분 응답스펙트럼 비율의 특성은 민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진앙거리 및 고유진동수에 의한 영향이 뚜렷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0-50㎞ 진앙거리 그룹의 수직 대 수평 응답스펙트럼 비율은 고유진동수 약 7-8㎐ 이상 부터 2/3를 초과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50-100㎞, 100-150㎞ 및 150-200㎞의 진앙거리 그룹은 보다 높은 약 15㎐ 이상부터 3 그룹 모두 2/3를 초과하고 있으며 또한 약 8-10㎐ 보다 낮은 고유진동수에서 역시 2/3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다시 초과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내진설계 대상인 구조물로부터 약 200km 이내 지진유발단층이 존재하는 경우 진앙거리마다 고유진동수값에 약간 차이가 존재하나 높은 및 낮은 고유진동수 영역에서 기존의 2/3값을 초과하기 때문에 수직성분의 보수성을 보다 심각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해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to horizontal ratio of response spectrum from 20 recent earthquakes were analysed. Response spectrum of 260 horizontal and 130 vertical ground motions were normalized by peak ground acceleration at each resonance fr...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to horizontal ratio of response spectrum from 20 recent earthquakes were analysed.
      Response spectrum of 260 horizontal and 130 vertical ground motions were normalized by peak ground acceleration at each resonance
      frequency from 0.1 to 50㎐.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ratio of vertical to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has strong dependancy
      on epicentral distance and resonance frequency. The ratio of vertical to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for the 0-50㎞ epicentral
      distance group are larger than 2/3 values, which is a standard engineering rule-of-thumb V/H=2/3, at resonance frequency above
      7-8㎐. All the 3 groups such as 50-100, 100-150- and 150-200㎞ epicentral distance have shown larger values of vertical to horizontal
      ratio than 2/3 at resonance frequency above 15㎐ and also are larger than 2/3 at resonance frequency below 8-10㎐.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specific resonance frequency values which depend on the epicentral distance group, we should be careful of
      seismic design of vertical component of the structures winch are located within the range of about 200km distance. form the
      potentially seismic causative fa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지반진동 자료
      • 3. 지반진동 응답스펙트럼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지반진동 자료
      • 3. 지반진동 응답스펙트럼
      • 4. 연구방법
      • 5. 연구 결과
      • 6. 결론
      • 감사의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균, "한반도 지진특성을 고려하여 모사된 강진동에 대한 가속도 응답스펙트럼" 한국지구과학회 28 (28): 179-186, 2007

      2 김준경, "최근 발생지진 관측자료를 이용한 응답스펙트럼 분석" 한국암반공학회 19 (19): 490-497, 2009

      3 선창국, "역사 지진 피해 발생 읍성 지역에 대한 부지 고유의 지진 응답 특성 평가" 대한지질공학회 17 (17): 1-13, 2007

      4 김준경, "발파에 의한 지반진동의 응답스펙트럼 분석" 한국암반공학회 15 (15): 338-343, 2005

      5 건설교통부, "내진설계기준개발 2단계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125-128, 1997

      6 김준경, "국내 지진의 응답스펙트럼 특성 분석" 한국원자력안전연구원 152-, 2003

      7 윤종구,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 국내 내진설계기준의 문제점 분석" 한국지진공학회 10 (10): 39-50, 2006

      8 김준경, "국내 관측자료를 이용한 수직 응답스펙트럼 특성 분석"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13 (13): 227-234, 2010

      9 Elgamal, A, "Vertical Earthquake Ground Motion Records: an Overview" 8 (8): 663-697, 2004

      10 Bozorgnia, Y., "The Vertical-to-horizontal Response Spectral Ratio and Tentative Procedures for Developing Simplified v/h and Vertical Design Spectra,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Vol.8,No.2,pp" 8 (8): 175-207, 2004

      1 김성균, "한반도 지진특성을 고려하여 모사된 강진동에 대한 가속도 응답스펙트럼" 한국지구과학회 28 (28): 179-186, 2007

      2 김준경, "최근 발생지진 관측자료를 이용한 응답스펙트럼 분석" 한국암반공학회 19 (19): 490-497, 2009

      3 선창국, "역사 지진 피해 발생 읍성 지역에 대한 부지 고유의 지진 응답 특성 평가" 대한지질공학회 17 (17): 1-13, 2007

      4 김준경, "발파에 의한 지반진동의 응답스펙트럼 분석" 한국암반공학회 15 (15): 338-343, 2005

      5 건설교통부, "내진설계기준개발 2단계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125-128, 1997

      6 김준경, "국내 지진의 응답스펙트럼 특성 분석" 한국원자력안전연구원 152-, 2003

      7 윤종구,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 국내 내진설계기준의 문제점 분석" 한국지진공학회 10 (10): 39-50, 2006

      8 김준경, "국내 관측자료를 이용한 수직 응답스펙트럼 특성 분석"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13 (13): 227-234, 2010

      9 Elgamal, A, "Vertical Earthquake Ground Motion Records: an Overview" 8 (8): 663-697, 2004

      10 Bozorgnia, Y., "The Vertical-to-horizontal Response Spectral Ratio and Tentative Procedures for Developing Simplified v/h and Vertical Design Spectra,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Vol.8,No.2,pp" 8 (8): 175-207, 2004

      11 Benioff,H, "The Physical Evaluation of Seismic Destructivenessof" 24 (24): 88-97, 1934

      12 Newmark, N. M., "Seismic Design Spectra for Nuclear Power Plants" ASCE 99 (99): 287-303, 1973

      13 "Regulatory Guide 1.60,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ower Pans"

      14 Newmark, N. M, "Procedures and Criteria for Earthquake Resistant Design"

      15 Boore, D. M., "Estimation of Response Spectra and Peak Acceleration from Western North American Earthquakes: An Interim Report, Part 2"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5-30, 1994

      16 Yang, J,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nd Horizontal Ground Motions Recorded during the Niigata-ken Chuetsu, Japan Earthquake of 23 October 2004" 94 (94): 50-64, 2004

      17 Bozorgnia, Y., "Characteristics of Free-field Vertical Ground Motions during the Northridge Earthquake" 11 (11): 515-525, 1995

      18 Housner,G.W, "Behavior of Structures during Earthquakes" ASCE 85 (85): 104-111, 1959

      19 Newmark, N. M., "A Study of Vertical and Horizontal Earthquake Spectra" Directorate of Licensing, U. S. Atomic Energy Commission 28-48, 1973

      20 Biot,J.A, "A Mechanical Analyzer for the Prediction of Earthquake Stresses" 31 (31): 145-161, 194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46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