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Between Plasticity and Performance = An ontological account of electroacoustic mus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04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자음악은 예술 장르 가운데 매우 특이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회화나 조각과 같은 조형예술과 그 궤를 함께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작곡가들은 스튜디오 내에서 행하는 주조...

      전자음악은 예술 장르 가운데 매우 특이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회화나 조각과 같은 조형예술과 그 궤를 함께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작곡가들은 스튜디오 내에서 행하는 주조, 조형, 조각과 같은 행위들이 가지고 있는 촉각, 운동감각, 그리고 자기수용적 측면에서 작곡 행위와 동일한 특성을 종종 발견한다. 다른 한편으로 드라마, 무용, 기악음악과 같은 공연예술적인 측면에서의 전자음악은, 실시간 조작이 가능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보급과 더불어 기존 형식의 공연예술과 성공적으로 결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표면적 역설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데, 조형예술과 공연예술 사이에서의 존재론적 구분과 더불어 전자음악이 조형미술, 또는 공연미술과 얼마나 존재론적 측면에서 닮아 있는가를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맺고자 한다. 전자음악은 조형예술적 측면에서 또는 공연예술적 접근에 의해서도 특징지어질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는 이 두 지점 어딘가에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고찰은 왜 때로는 철학자, 미학자, 음악학자들이 전자음악을 확고하고 흥미로운 예술 장르로서 그 가치를 분명히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lectroacoustic music occupies a curious position within the arts. On the one hand, it appears to be aligned with the plastic arts, such as painting and sculpture; composers often refer to the haptic, kinaesthetic and even proprioceptive nature of the...

      Electroacoustic music occupies a curious position within the arts. On the one hand, it appears to be aligned with the plastic arts, such as painting and sculpture; composers often refer to the haptic, kinaesthetic and even proprioceptive nature of their compositional acts in terms of crafting, moulding and sculpting sounds in the studio. On the other hand, electroacoustic music appears be aligned with the performing arts, such as drama, dance and most forms of instrumental music; the proliferation of diffusion systems and the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tools for rea-time spatialisation lend credence to associations with traditional notions of performance practice. This paper seeks to demystify this ostensible paradox. It starts considering an ontological distinction that holds between the plastic arts and the performing arts, goes on to consider whether electroacoustic music is ontologically similar to one or the other, and concludes with the following point: electroacoustic music may be characterised by either plasticity or performance but, in many cases, it falls between these polarities. This observation may help to explain why some philosophers, aestheticians and musicologists have struggled to accept electroacoustic music whilst enabling one to identify where the unique value of this exciting and uncompromising art-form resid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The type theory
      • Electroacoustic music as a plastic art
      • Electroacoustic music as a performing art
      • Combining plasticity and performance
      • Conclusion
      • The type theory
      • Electroacoustic music as a plastic art
      • Electroacoustic music as a performing art
      • Combining plasticity and performance
      • Conclusion
      • References
      • [Abstract in Korean
      • 국문 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