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제퇴거 대상자에 대한 보호제도의 위헌성 — 헌법재판소 2018. 2. 22. 2017헌가29 결정에 대한 평석 — = On Unconstitutionality of System of Protection Related to Persons Who Are Ordered Expul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Constitutional Court held that the provisions of the Immigration Control Law, which does not set a ceiling for the period of protection of persons subject to forced expulsion, are not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protection of persons subject to forced expulsion does not infringe the freedom of the human body in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non-proportionality prohibition by having the legitimacy of public interest legislative purpose, the suitability of the means, the minimum of the damage, and the balance of the legal interests. In addition, it is said that the opinion statement procedure or the appeal system is guaranteed and does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However, unlike the judicial opinions of these four judges, the five judges presented unconstitutional opinions as a dissenting opinion. The fact that the upper limit of the period of the protection is not established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tatement of procedure or the procedure of disagreement is not guaranteed as it would not only unduly violate the freedom of the human body by the idea of ​​administrative convenience. In fact, the protection, which means detention, can not be under the control of the judiciary and can be done for an unlimited period, which is not only unduly violating the freedom of the human body but also violating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번역하기

      The Constitutional Court held that the provisions of the Immigration Control Law, which does not set a ceiling for the period of protection of persons subject to forced expulsion, are not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protection of persons sub...

      The Constitutional Court held that the provisions of the Immigration Control Law, which does not set a ceiling for the period of protection of persons subject to forced expulsion, are not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protection of persons subject to forced expulsion does not infringe the freedom of the human body in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non-proportionality prohibition by having the legitimacy of public interest legislative purpose, the suitability of the means, the minimum of the damage, and the balance of the legal interests. In addition, it is said that the opinion statement procedure or the appeal system is guaranteed and does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However, unlike the judicial opinions of these four judges, the five judges presented unconstitutional opinions as a dissenting opinion. The fact that the upper limit of the period of the protection is not established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tatement of procedure or the procedure of disagreement is not guaranteed as it would not only unduly violate the freedom of the human body by the idea of ​​administrative convenience. In fact, the protection, which means detention, can not be under the control of the judiciary and can be done for an unlimited period, which is not only unduly violating the freedom of the human body but also violating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헌법재판소는 외국인 강제퇴거 대상자에 대한 보호 기간의 상한을 정하고 있지 않은 출입국관리법 규정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강제퇴거 대상자에 대한 보호제도는 공익적 입법목적의 정당성이 인정되고,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을 갖추어 과잉금지원칙에 위반될 만큼 신체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의견진술절차나 보호해제제도가 보장되어 적법절차원칙에도 위반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4인 재판관의 법정의견과 달리 5인 재판관은 반대의견으로 위헌의견을 제시하였다. 보호 기간의 상한을 정하지 않은 것은 행정편의적 발상으로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할 뿐만 아니라 의견진술절차나 불복절차가 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론적으로 사실상 구금을 의미하는 보호는 사법부의 통제를 받지 않은 채 무제한의 기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할 뿐만 아니라 헌법이 보장하는 적법절차원칙에도 위반된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헌법재판소는 외국인 강제퇴거 대상자에 대한 보호 기간의 상한을 정하고 있지 않은 출입국관리법 규정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강제퇴거 대상자에 대한 보호제도는 공익...

      헌법재판소는 외국인 강제퇴거 대상자에 대한 보호 기간의 상한을 정하고 있지 않은 출입국관리법 규정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강제퇴거 대상자에 대한 보호제도는 공익적 입법목적의 정당성이 인정되고,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을 갖추어 과잉금지원칙에 위반될 만큼 신체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의견진술절차나 보호해제제도가 보장되어 적법절차원칙에도 위반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4인 재판관의 법정의견과 달리 5인 재판관은 반대의견으로 위헌의견을 제시하였다. 보호 기간의 상한을 정하지 않은 것은 행정편의적 발상으로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할 뿐만 아니라 의견진술절차나 불복절차가 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론적으로 사실상 구금을 의미하는 보호는 사법부의 통제를 받지 않은 채 무제한의 기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신체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할 뿐만 아니라 헌법이 보장하는 적법절차원칙에도 위반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삼, "출입국관리법상의 외국인에 대한 강제퇴거와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59 : 245-284, 2012

      2 공진성, "출입국관리법상 ‘보호’ 및 ‘강제퇴거’와 외국인의 기본권 보호 - 헌재 2012. 8. 23. 2008헌마430 결정에 대한 평석 -" 한국비교공법학회 14 (14): 221-248, 2013

      3 이형석, "유럽인권협약상 가족생활을 존중받을 권리와 외국인의 강제퇴거 - 유럽인권재판소 판결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5 (5): 137-167, 2017

      4 신은주, "외국인의 강제적인 가족분리와 가족결합권의 보호" 법조협회 63 (63): 258-305, 2014

      5 김재선, "외국인에 관한 출입국행정의 재량행위성과 입법적 통제" 한국공법학회 45 (45): 377-405, 2016

      6 정승규,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강제퇴거처분과 절차적 구제수단의 모색" 한국비교노동법학회 17 : 347-380, 2009

      7 이규창, "외국인 추방과 인신의 보호- 우리나라 강제퇴거제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대한국제법학회 50 (50): 157-179, 2005

      8 하명호, "외국인 보호 및 강제퇴거절차와 구제절차에 대한 공법적 고찰" 법학연구원 (52) : 167-212, 2009

      9 노영돈, "외국인 강제퇴거제도와 인권문제" 재외한인학회 (30) : 117-161, 2013

      10 최홍엽, "외국인 강제퇴거절차와 관련한 몇 가지 쟁점" 민주주의법학연구회 (33) : 355-386, 2007

      1 이재삼, "출입국관리법상의 외국인에 대한 강제퇴거와 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59 : 245-284, 2012

      2 공진성, "출입국관리법상 ‘보호’ 및 ‘강제퇴거’와 외국인의 기본권 보호 - 헌재 2012. 8. 23. 2008헌마430 결정에 대한 평석 -" 한국비교공법학회 14 (14): 221-248, 2013

      3 이형석, "유럽인권협약상 가족생활을 존중받을 권리와 외국인의 강제퇴거 - 유럽인권재판소 판결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5 (5): 137-167, 2017

      4 신은주, "외국인의 강제적인 가족분리와 가족결합권의 보호" 법조협회 63 (63): 258-305, 2014

      5 김재선, "외국인에 관한 출입국행정의 재량행위성과 입법적 통제" 한국공법학회 45 (45): 377-405, 2016

      6 정승규,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강제퇴거처분과 절차적 구제수단의 모색" 한국비교노동법학회 17 : 347-380, 2009

      7 이규창, "외국인 추방과 인신의 보호- 우리나라 강제퇴거제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대한국제법학회 50 (50): 157-179, 2005

      8 하명호, "외국인 보호 및 강제퇴거절차와 구제절차에 대한 공법적 고찰" 법학연구원 (52) : 167-212, 2009

      9 노영돈, "외국인 강제퇴거제도와 인권문제" 재외한인학회 (30) : 117-161, 2013

      10 최홍엽, "외국인 강제퇴거절차와 관련한 몇 가지 쟁점" 민주주의법학연구회 (33) : 355-386, 2007

      11 김병록, "불법체류 외국인 강제퇴거의 인권 문제" 법학연구원 17 (17): 23-52, 2010

      12 윤향희, "미등록 외국인근로자의 인권 보호 - 출입국관리법의 개선방향 제시를 중심으로 -"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6 (6): 127-149,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영문명 : 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anl Law ->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1 1.4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