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의 가정문해환경 및 부모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5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0-21개월 이하의 영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정문해환경 및 부모효능감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영아의 어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J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시설 총 53개소에서 10-21개월 이하의 영아 20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21개월 이하 영아의 어휘력은 이해어휘가 표현어휘에 비해 약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10-21개월 이하 영아의 가정문해환경과 어휘력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10-21개월 이하 영아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영아의 어휘력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10-21개월 이하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정문해환경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으며,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 부모로서의 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0-21개월 이하의 영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정문해환경 및 부모효능감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영아의 어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10-21개월 이하의 영아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정문해환경 및 부모효능감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영아의 어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J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시설 총 53개소에서 10-21개월 이하의 영아 20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21개월 이하 영아의 어휘력은 이해어휘가 표현어휘에 비해 약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10-21개월 이하 영아의 가정문해환경과 어휘력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10-21개월 이하 영아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영아의 어휘력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10-21개월 이하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정문해환경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으며,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 부모로서의 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between 10 and 21 months old, and determining the effects on infants’ vocabulary ability. To this end, the study observed 200 infants`` and their mothers ata total of 53 daycare centers in J City, Jeollabukdo.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s`` receptive vocabulary was twice that of their expressive vocabulary.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the infants`` vocabulary ability. Thir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infants’ vocabulary ability. Fourth,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had the greates effects on infants’ vocabulary ability, followed by attention and interest in parents’ role, and parenting efficac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between 10 and 21 months old, and determining the effects on infants’ vocabulary ability. To this end, the study observed 200 infants`` and their mothers ...

      This study examines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between 10 and 21 months old, and determining the effects on infants’ vocabulary ability. To this end, the study observed 200 infants`` and their mothers ata total of 53 daycare centers in J City, Jeollabukdo.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s`` receptive vocabulary was twice that of their expressive vocabulary.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the infants`` vocabulary ability. Thir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infants’ vocabulary ability. Fourth,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had the greates effects on infants’ vocabulary ability, followed by attention and interest in parents’ role, and parenting effica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8개월-17개월" 한국심리학회 23 (23): 77-99, 2004

      2 임용순, "한국 영아의 어휘 발달과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3 이진화, "저소득층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결혼만족도,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의 질이 가정 중심 유아교육의 부모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761-774, 2010

      4 신혜영,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9 (29): 199-212, 2008

      5 김길숙, "유아의 출현적 문해 발달과 가정문해환경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4 (34): 1-20, 2013

      6 박찬화, "유아를 위한 가정문해환경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대한가정학회 46 (46): 87-97, 2008

      7 박현숙,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부모 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7 (7): 13-24, 2004

      8 이문옥, "유아 언어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1996-2005"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401-424, 2006

      9 박혜경, "유아 언어 관련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36 (36): 393-409, 2005

      10 배소영, "영유아기 의미평가도구 MCDI-K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14, 2003

      1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 8개월-17개월" 한국심리학회 23 (23): 77-99, 2004

      2 임용순, "한국 영아의 어휘 발달과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3 이진화, "저소득층 부모가 지각한 부모효능감, 결혼만족도,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의 질이 가정 중심 유아교육의 부모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761-774, 2010

      4 신혜영,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9 (29): 199-212, 2008

      5 김길숙, "유아의 출현적 문해 발달과 가정문해환경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4 (34): 1-20, 2013

      6 박찬화, "유아를 위한 가정문해환경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대한가정학회 46 (46): 87-97, 2008

      7 박현숙,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부모 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7 (7): 13-24, 2004

      8 이문옥, "유아 언어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1996-2005"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401-424, 2006

      9 박혜경, "유아 언어 관련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36 (36): 393-409, 2005

      10 배소영, "영유아기 의미평가도구 MCDI-K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14, 2003

      11 이윤선,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 및 영아 어휘력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4 (34): 1-25, 2013

      12 김영실,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영아의 이해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157-176, 2013

      13 정지은, "영아반 그림책 읽기 활동,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및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3 (33): 91-106, 2012

      14 강옥경, "영아 언어의 이해" 학지사 2011

      15 Owens, R. E, "언어발달" 시그마프레스 2001

      16 임순화,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영아의 표현어휘 발달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251-278, 2010

      17 전병순,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8 호수진, "어머니의 문해신념 및 가정문해환경이 만 2세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8

      19 송연숙,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교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81-203, 2008

      20 김명순, "만 3∼5세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2 (32): 95-106, 2011

      21 임수경, "만 2세 영아-어머니, 영아-아버지의 그림책 읽기행동 및 가정문해환경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4 (34): 1-19, 2013

      22 이채현, "가정환경자극 및 가정문해활동과 만 2세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23 金美蘭, "가정환경변인과 幼兒의 언어능력 및 인지양식" 慶北大學校 大學院 1989

      24 박수진,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18∼24개월 영아의 가정문해환경 및 어머니의 상호반응적 교수행동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1 (31): 15-27, 2010

      25 정혜진, "가정에서 영아의 문해 환경과 언어 발달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6 김명순, "가정문해활동,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 및영아-어머니 간 공동주의와 영아의 언어·인지 발달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3 (33): 199-213, 2012

      27 김길숙, "가정문해환경과 교실문해환경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1 (31): 119-133, 2010

      28 김영실, "‘영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6년~2012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6) : 79-105, 2014

      29 Fenson, L., "Variability in early communicative development" 59 (59): 1-173, 1994

      30 Neumann, Michelle M., "Using environmental print to emergent literacy and print motivation" 26 (26): 771-793, 2013

      31 Sonnenschein, S., "The influence of home based reading interaction on 5-year-olds' reading motivations and early literacy development" 17 : 318-337, 2002

      32 Sulzby, E., "Reading/wring connection: Learning from research"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20-143, 1982

      33 Kassow, D. Z., "Parent-child shared book reading : Quality versus quantity of reading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1 (1): 1-9, 2006

      34 Taylor, D., "Family literacy"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983

      35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Bentam 1995

      36 김의향, "7~24개월 영야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 습득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217-234, 2006

      37 신애선, "6~25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의 발달 및 기질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519-539, 2013

      38 안지영,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9 김명순, "1세 영아의 언어와 놀이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3 (23): 19-34, 2002

      40 박수진, "18~24개월 영아의 가정문해환경 및 어머니의 상호반응적 교수행동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