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몰트만의 삼위일체적 = Moltmann’s Trinitari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49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위르겐 몰트만의 교회 이해와 선교 이해를 탐구한다. 몰트만에게 있어서 교회는 우선 삼위일체적 공동체이다. 몰트만은 기독교 고유의 하나님은 삼위일체적 하나님임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위르겐 몰트만의 교회 이해와 선교 이해를 탐구한다. 몰트만에게 있어서 교회는 우선 삼위일체적 공동체이다. 몰트만은 기독교 고유의 하나님은 삼위일체적 하나님임을 강조한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삼위일체는 역동적 침투와 상호 내주를 의미하는 페리코레시스의 관계성 속에 있는 공동체로 존재한다. 동등한 신적 삼위는 획일성이나 개인주의가 없는 페리코레시스적 공동체와 사귐을 형성한다. 몰트만은 이것을 사회적 삼위일체라고 부른다. 삼위일체 하나님은 또한 열린 공동체로 존재한다. 하나님은 자신의 삼위일체적 공동체를 열어 피조물들 속으로 들어가고 또한 피조물들이 삼위일체의 사귐과 삶에 참여하도록 초청한다. 몰트만은 이러한 삼위일체는 교회의 모델 또는 모형이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몰트만은 위계질서적이고 관료적인 교회 형태로부터 회중적이고 공동체적인 교회에 로의 교회 개혁을 강조한다. 그리고 교회는 사적인 공동체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개방하여 공적 영역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하다. 몰트만은 또한 교회를 메시아적 공동체로 해석한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이다. 교회는 무엇보다 종말론적 비전과 생명의 영이신 성령의 능력 안에서 그리스도의 뒤를 따라 모든 피조물들의 생명의 해방을 위해 일해야 하는 공동체이다. 이러한 교회론을 바탕으로 몰트만은 기독교 선교에 대한 그의 새로운 통찰을 발전시킨다. 그는 교회는 선교적 교회가 되어야 한다고 논한다. 그에게 있어서 선교는 기독교 제국의 팽창이나 기독교 교회의 확장이나 온 인류의 복음화이기 보다는 생명에로의 초대이다. 그는 또한 선교를 사람들과 사회와 모든 피조물들의 해방을 위한 사역으로 이해한다. 몰트만에게 있어서, 선교의 지평은 하나님의 나라의 관점에서 계속 넓게 개방된다. 그것이 지향하는 바는 하나님이 모든 것 속의 모든 것이 되실 때 성취될 새 창조의 종말론적 완성이다. 그러므로 몰트만의 선교론은 에큐메니칼적이고 총체적인 특징을 가진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의 교회론과 부산에서 열린 제10차 WCC 총회가 발표한 새로운 선교 비전 선언문과 상응하면서, 몰트만은 위기 가운데 있는 현대 교회들의 미래를 위한 새롭고 적합한 선교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searches Jürgen Moltmann’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mission. Firstly, the church is the trinitarian community. For Moltmann, the Christian God is the triune God. The Trinity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exis...

      This article researches Jürgen Moltmann’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mission. Firstly, the church is the trinitarian community. For Moltmann, the Christian God is the triune God. The Trinity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exists as the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of perichoresis, which means a dynamic interpenetration and a mutual indwelling. The equally divine three Persons form the perichoretic community and fellowship without uniformity and individualism. Moltmann calls this the social doctrine of the Trinity. The triune God is also an open community. God opens the trinitarian community, enters into the creatures, and invites them to participate in the fellowship and life of the Trinity. Moltmann insists that the Trinity becomes the model or archtype of the church. From this perspective, Moltmann emphasizes the transformation of the church from the hierarchical and bureaucratic form to an open, congregational, or community church. Moltmann also interprets the church as the messianic community. The church is the church of Jesus Christ. Most importantly, the church should work for the liberation of life of all creatures, following Christ in the eschatological vision and in the power of the Spirit of life. Based on his ecclesiology, Moltmann develops his new insight on the Christian mission. He argues that the church should be the missional church. For him, mission is the invitation toward life rather than the expansion of the Christian empire, the expansion of the Christian church, or the evangelization of all human beings. He also understands mission as the work of the liberation of people, society, and all creatures. In the light of the Kingdom of God, for Moltmann, the horizon of mission continues to open widely toward the eschatological completion of the new creation, which will be accomplished when God is all in all. Therefore, Moltmann’s missiology has ecumenical and holistic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ecclesiology of the Vatican Council II and the missionary vision statement of the WCC 10th Assembly in Busan, Moltmann proposes the new, adequate direction of mission for the future of the contemporary churches in cri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삼위일체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 Ⅲ. 메시아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 Ⅳ. 생명에로의 초대로서의 선교,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선교
      • Ⅴ. 결론: 하나님이 모든 것 속의 모든 것이 되시는 날을 향하여
      • Ⅰ. 서론
      • Ⅱ. 삼위일체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 Ⅲ. 메시아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 Ⅳ. 생명에로의 초대로서의 선교,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선교
      • Ⅴ. 결론: 하나님이 모든 것 속의 모든 것이 되시는 날을 향하여
      • 참고 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