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방법으로서의 북방인식과 환동해 지역인식 방안 = Recognition of Northern Area as a Method and Recognition of East Sea Rim Reg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method of formation regionality in the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Yoshimi Takeuchi has proposed such a critical concept "Asia as a method of thinking" as criticizing western-centered idea of modern times by asking the question of ‘what means modern times for Asia.' This study adopts the Takeuchi's critical perspective in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Especially, this study tries to speculate the Takeuchi's critical perspective in detail with the northern area which implies frontier and alternation. The regionalism could be discovered in the East Sea Rim region which is conflicting area with each states' strong and firm statism and nationalism, also with inflexibility characterized as changeable dynamics. This argument is far from understanding the East Sea Rim region as the institutionalized and sectionalized geographical category but close to recognizing it as a horizon of thinking.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so called "northern area recognition as a method" can be regarded as an introduction of the East Sea Rim region as a horizon of thinking and the practice through the discussion in detail. The main topic of this specific analysis deals with the Korean poetries of modern times, which presented the meaning of northern area. From here, it proceeds to look into the area in the context of the cross-border recognitions which have not been focused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Related to lack of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northern area of East Sea Ri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poetries dealing with northern area in modern times recognizing the boundary of people and nation critically, showing democratic conscience solidarity among the many immigrants who have such emotions as the stateless person in further. That kind of emotions and thinking help us to overcome the imaginary boundary imposed by the western-cemtered modern times poetries when we begin to reread these poetries with the other point of view.
      번역하기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method of formation regionality in the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Yoshimi Takeuchi has proposed such a critical concept "Asia as a method of thinking" as criticizing western-centered idea of modern tim...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method of formation regionality in the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Yoshimi Takeuchi has proposed such a critical concept "Asia as a method of thinking" as criticizing western-centered idea of modern times by asking the question of ‘what means modern times for Asia.' This study adopts the Takeuchi's critical perspective in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Especially, this study tries to speculate the Takeuchi's critical perspective in detail with the northern area which implies frontier and alternation. The regionalism could be discovered in the East Sea Rim region which is conflicting area with each states' strong and firm statism and nationalism, also with inflexibility characterized as changeable dynamics. This argument is far from understanding the East Sea Rim region as the institutionalized and sectionalized geographical category but close to recognizing it as a horizon of thinking.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so called "northern area recognition as a method" can be regarded as an introduction of the East Sea Rim region as a horizon of thinking and the practice through the discussion in detail. The main topic of this specific analysis deals with the Korean poetries of modern times, which presented the meaning of northern area. From here, it proceeds to look into the area in the context of the cross-border recognitions which have not been focused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Related to lack of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northern area of East Sea Ri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poetries dealing with northern area in modern times recognizing the boundary of people and nation critically, showing democratic conscience solidarity among the many immigrants who have such emotions as the stateless person in further. That kind of emotions and thinking help us to overcome the imaginary boundary imposed by the western-cemtered modern times poetries when we begin to reread these poetries with the other point of vie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환동해 지역연구에 있어서 지역성의 형성 방법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아시아에 있어서 ‘근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서양 중심의 근대를 비판하며 아시아를 인식하는 방식의 하나로 ‘방법으로서의 아시아’를 제안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요시미의 문제의식을 환동해 지역연구에 창조적으로 적용하여 환동해 지역인식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변방과 변경에 놓인 북방공간의 재인식을 통해 요시미의 문제의식을 환동해 지역연구에 적용하였다.
      현재 환동해지역은 강고한 국가주의와 민족주의가 충돌하는 접경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 대한 연구에서는 접경지역으로서의 경직성을 변경적 역동성으로 읽어내는 작업을 통해 하나의 지역성을 형성해나가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는 환동해지역을 제도화되고 구획화된 지리적 범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유지평으로 인식하는 태도라 할 수 있다. 변경적 특성을 지역성 형성의 한 방안으로 삼기 위해 여기에서는 방법으로서의 북방인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한국 근대시에서 북방의식을 보인 시편들이며, 이 시편들의 다시읽기를 통해 환동해지역의 지역성 형성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환동해 지역연구에 있어서 지역성의 형성 방법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아시아에 있어서 ‘근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서양 중심의 근대...

      이 글은 환동해 지역연구에 있어서 지역성의 형성 방법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아시아에 있어서 ‘근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서양 중심의 근대를 비판하며 아시아를 인식하는 방식의 하나로 ‘방법으로서의 아시아’를 제안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요시미의 문제의식을 환동해 지역연구에 창조적으로 적용하여 환동해 지역인식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변방과 변경에 놓인 북방공간의 재인식을 통해 요시미의 문제의식을 환동해 지역연구에 적용하였다.
      현재 환동해지역은 강고한 국가주의와 민족주의가 충돌하는 접경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 대한 연구에서는 접경지역으로서의 경직성을 변경적 역동성으로 읽어내는 작업을 통해 하나의 지역성을 형성해나가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는 환동해지역을 제도화되고 구획화된 지리적 범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유지평으로 인식하는 태도라 할 수 있다. 변경적 특성을 지역성 형성의 한 방안으로 삼기 위해 여기에서는 방법으로서의 북방인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한국 근대시에서 북방의식을 보인 시편들이며, 이 시편들의 다시읽기를 통해 환동해지역의 지역성 형성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영천, "李庸岳詩全集" 창작과비평사 1988

      2 권세은, "환동해 지역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제지역연구원 19 (19): 5-32, 2012

      3 윤영천, "형상과 비전" 소명출판 2008

      4 박상수, "한국발 ‘동아시아론’의 인식론 검토 : 동아시아 연구, ‘초국가적 공간’으로부터 접근하자"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73-100, 2010

      5 곽효환, "한국 근대시의 북방의식" 서정시학 2009

      6 김재홍, "파인 김동환, In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7 矢野暢, "지역연구의 방법" 전예원 1997

      8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한국문학연구소, "제국의 지리학, 만주라는 경계"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

      9 민족문학연구소, "일제말기 문인들의 만주체험" 역락 2007

      10 오양호, "일제강점기 만주조선인문학연구" 문예출판사 1996

      1 윤영천, "李庸岳詩全集" 창작과비평사 1988

      2 권세은, "환동해 지역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제지역연구원 19 (19): 5-32, 2012

      3 윤영천, "형상과 비전" 소명출판 2008

      4 박상수, "한국발 ‘동아시아론’의 인식론 검토 : 동아시아 연구, ‘초국가적 공간’으로부터 접근하자" 아세아문제연구소 53 (53): 73-100, 2010

      5 곽효환, "한국 근대시의 북방의식" 서정시학 2009

      6 김재홍, "파인 김동환, In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7 矢野暢, "지역연구의 방법" 전예원 1997

      8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한국문학연구소, "제국의 지리학, 만주라는 경계"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

      9 민족문학연구소, "일제말기 문인들의 만주체험" 역락 2007

      10 오양호, "일제강점기 만주조선인문학연구" 문예출판사 1996

      11 竹內好, "일본과 아시아" 소명출판 2004

      12 이동순, "이찬詩전집" 소명출판 2003

      13 윤여일,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 (78) : 2010

      14 오양호, "만주이민문학연구" 문예출판사 2007

      15 한석정,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 소명출판 2008

      16 전형준, "동아시아 담론의 비판적 검토" 15 : 1997

      17 고성빈,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의 동아시아론: 역사의 구조와 현상의 분리기획" 아세아문제연구소 55 (55): 193-230, 2012

      18 竹內好, "내재하는 일본" 휴머니스트 2011

      19 김동환, "국경의 밤" 한성도서주식회사 1925

      20 윤영천, "韓國의 流民詩" 실천문학사 1987

      21 이문영, "1990년대 이후 지역연구의 쟁점과 전망" 아태지역연구센터 34 (34): 239-26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0-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 태평양지역연구원 -> 국제지역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Asia-Pacific Studies -> Institute of Global Affair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3 1.093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