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위안화 블록(Yuan Bloc) 출현 가능성에 대한 실증분석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 Is Chinese Yuan(RMB) Bloc Emerging in East Asia?: Empirical Test and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4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위안화 환율 변동이 주변 동아시아 주요국가의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중국이 실시한 2005년 7월환율제도 개혁 이후 위안화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되...

      본 논문은 위안화 환율 변동이 주변 동아시아 주요국가의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중국이 실시한 2005년 7월환율제도 개혁 이후 위안화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특히 실증분석 내용은 2008년 9월의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연구 방법은 1994년 Frankel and Wei가 시도했던 회귀식을 참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 대만, 홍콩의 미 달러 영향은 계속 유지되고 있는 한편, 위안화의 영향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회귀계수 값은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할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더욱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남아 국가들(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의 경우, 미 달러의 영향은 크게 낮아졌고, 대신 중국 위안화의 영향이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즉 중요도 혹은 영향력을 추정할 수 있는 중국 위안화의 회귀계수 값이 미국의 그것보다 높게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방향은 지역별 국가별 차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충격반응함수 추정 결과에 따르면, 위안화와 달러화의 가치 변동이 원화 가치 변동에 미치는 크기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로화와 엔화는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비교할 경우, 위안화가 한국의 원화에 미치는 영향은 강하고 비교적 장기간 지속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장기적인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Kalman filter 방식을 활용하여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위의 실증분석 결과와 유사하게도 장기적으로도 동남아시아 국가들(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의 환율은 위안화 환율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고 있었으며, 한국, 대만, 홍콩 등 중국에 인접하고 부유한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환율은 상대적으로 위안화 환율의 영향을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통화정책 독립성, 자본항목 자유화 수준을 고려하더라도 중국 경제의 성장과 위안화의 국제화가 가속화될 경우, 중국 위안화가 주변 아시아 주요국가 통화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impact of the RMB exchange rate floating exchange rate of the major countries around Asia. And this study is reflected in the fact that China has conducted the RMB exchange rate regime reform in July 2005 and the impact ...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impact of the RMB exchange rate floating exchange rate of the major countries around Asia. And this study is reflected in the fact that China has conducted the RMB exchange rate regime reform in July 2005 and the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September 2008. The Empirical Methods were note the regression equation was attempted in 1994 Frankel and Wei.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South Korea, in Taiwan, Hong Kong will continue to affect the US dollar remains the other hand, it has been identified as being gradually expand the influence of the yuan.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are separated by time,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howed that even great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Singapore, Malaysia, Thailand, Indonesia), it was the impact of the US dollar has significantly lowered, instead the effect of the Chinese yuan was found to be larger. That i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Chinese yuan, which can estimate the importance or effect appears greater than that of the US. Therefore, future research needs to focus on country-specific differences by region. According to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estimation results, changes in value of the yuan and the dollar got two shows that are almost the same size on the currency value fluctuations, the euro and the yen appeared to be low impact. When compared by country, the impact on the yuan currency of South Korea was identified as a strong and relatively long-la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estimated by utilizing the Kalman filter method to the long-term effects, and empirical results similarly show the impact of the RMB exchange rate between Southeast Asian countries(Singapore, Thailand, Malaysia, Indonesia) and Northeast Asian countries(South Korea, Taiwan, Hong Kong) that were relatively less under the influences. China``s monetary policy independence, even when considering the level of financial market liberalization, RMB internationalization and China``s economic growth is accelerating, the effects of the Chinese yuan currency around the major Asian countries is likely to be further expan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봉한, "중국 위안화 환율 절상 전망과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 한국경제연구원 2008

      2 Balasubramanian, V., "Who Cares about the Chinese Yuan?"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and Policy 2011

      3 Subramanian, A., "The Renminbi Bloc is Here: Asia Down, Rest of the World to Go?"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3

      4 Kawai, M., "Is There Really a RMB Bloc in Asia?" Asian Development Bank Institute 2014

      5 Frankel, J., "In Macroeconomic Linkages:Savings, Exchange Rates and Capital Flow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6 Henning, R., "Choice and Coercion in East Asian Exchange Rate Regimes"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2

      7 Chow, H. K., "Characterizing Exchange Rate Policy in East Asia: A Reconsideration" 18 : 2007

      8 Ho, C., "BIS Quarterly Review"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2005

      1 김봉한, "중국 위안화 환율 절상 전망과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 한국경제연구원 2008

      2 Balasubramanian, V., "Who Cares about the Chinese Yuan?"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and Policy 2011

      3 Subramanian, A., "The Renminbi Bloc is Here: Asia Down, Rest of the World to Go?"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3

      4 Kawai, M., "Is There Really a RMB Bloc in Asia?" Asian Development Bank Institute 2014

      5 Frankel, J., "In Macroeconomic Linkages:Savings, Exchange Rates and Capital Flow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6 Henning, R., "Choice and Coercion in East Asian Exchange Rate Regimes"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2

      7 Chow, H. K., "Characterizing Exchange Rate Policy in East Asia: A Reconsideration" 18 : 2007

      8 Ho, C., "BIS Quarterly Review"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553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