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살펴보았다. 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모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04270
대전 :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과 , 2011. 2
2011
한국어
직무스트레스 ;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 구조모형
대전
ⅵ, 65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살펴보았다. 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모형...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살펴보았다. 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모형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전․충남 지역의 국․공 사립 유치원과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는 Clark(1980)이 개발하고 D'Arienzo 등(1981)이 수정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질문지(Modified R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를 김지현(1994)이 유치원 교사에게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 김연하(2007)가 제작한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분석을 위해 SPSS 12.0과 AMOS 7.0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조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에 의한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교사의직무스트레스가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구하고 연구모형에 근거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사의 제 변인과 직무스트레스가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들의 하위요인 간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교사의 개인적 배경과 근무여건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주는 매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함으로써 교사들의 보다 긍정적이고 예방적인 전략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원인이 되는 변인과 경로를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guide strategies by teacher occupational stress. That is, through structural model we verified the pathogenesis affecting guide strategies of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The following is the...
At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guide strategies by teacher occupational stress. That is, through structural model we verified the pathogenesis affecting guide strategies of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The following is the study matter of this research.
Study matters :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guide strategies by teacher occupational stress through structural model. In this research, I polled 350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facilities.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Clark(1980) deviced, D'Arienzo(1981) modified)
modified for kindergarten teachers by Kim, Ji-hyun(1980) was used as the examining sheets for finding factors of the teacher occupational stress, and,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 devised by Kim, Yun-Ha(2007) was
used for finding infant's problem behavior guide strategies. And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and AMOS 7.0 were used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estimat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s,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estimated by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At this study, in order to observe the pathogenesis and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occupational stress and guide strategies, we measured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alyzed LISREL modelling based on the
study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followed.
First, we identified that teachers' occupational stresses influence the guide strategies of infant's behavioral problem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Second, we confirmed that teachers' variables and occupational stresses influence the guide strategies of infant's behavioral problem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bout the influence of sub-factors of variables, we confirmed that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nd working conditions, along with teacher's occupational stresses, influence the guide strategies of
infant's behavioral problems and teacher's occupational stresses are the parameters to influence the guide strategies of infant's behavioral problems.
From these results, as minimizing teachers' occupational stresses, we verified that we could improve the desirable guide strategies of infant's behavioral problems with teacher's more positive and preclusive strategy. And
through observing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affecting
guide strategies of infant's behavioral problems, we could confirm their
causative factors and pathogenesi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