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개행성>의 초현실주의적 영상연출 연구 = A Study of Surrealistic Image Direction for the Fantastic Plan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860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개행성>은 애니메이션을 예술적 매체로 인 식시킨 대표적인 애니메이션이다. 스토리를 보면 이 암행성의 문명족 드라그(traag)와 문맹족 옴(om) 의 지배구조관계, 드라그에 대한 옴들의...

      <미개행성>은 애니메이션을 예술적 매체로 인 식시킨 대표적인 애니메이션이다. 스토리를 보면 이 암행성의 문명족 드라그(traag)와 문맹족 옴(om) 의 지배구조관계, 드라그에 대한 옴들의 저항, 각기 다른 행성에서 두 종족의 평화 공존 등의 3단계구 성으로 전개하고 있다. 다만 스토리텔링에 있어 사 건의 개연성과 다소 느린 영상전개는 아쉬움으로 남는다. 한편 영상표현연출에 있어서는 초현실주의적 이 미지표현과 펜 드로잉의 페이퍼애니메이션기법, 구 성적 몽타주에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메시지전달, 전자음의 실험음악 등 표현주의적인 완성도가 돋보인다. 즉 <미개행성>은 문명사회에 대한 작가의 예리 한 통찰력을 초현실적 세계관과 실험적 장인정신으로 표현한 판타지영상아라고 할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antastic Planet> is a representative animation that makes people recognize the animation works as artistic media. Review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telling, it consists of three phases - The dominance relationships between Tragg and Om, ...

      <The Fantastic Planet> is a representative animation that makes people recognize the animation works as artistic media. Review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telling, it consists of three phases - The dominance relationships between Tragg and Om, the cultural tribes in Ygam Planet; resistance of Om against the Traag; and peaceful coexistence of two tribes being in each planet.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s of the Traag are the keypoint of this storytelling, it is a little bit insufficient in describing the process that Terr acquires major knowledge and explains core events through narration without telling that how Terr (Om) could learn Traag characters. As for the direction on image expression, it demonstrates expressionistic perfection such as surrealistic image expression, paper-animation technique through pen drawing, delivery of messages through organic combination of image arrangements, mysterious captivating electronic sound for background music, etc. In conclusion, <The Fantastic Planet> is an animation movie that expresses the sharp insight of the artist on cultural society in animated pictures through surrealistic view on the world and experimental artisan spir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돈일, "케르체네츠 전투의 충돌몽타주 연출 연구" 한국영상미디어협회 10 (10): 17-25, 2011

      2 에이젠쉬쩨인, "이미지의 모험" 연린책들 1999

      3 앨렌 위너, "예술심리학" 학지사 1982

      4 앨렌 위너, "예술심리학" 학지사 1982

      5 박기수, "애니메이션서사구조와 전략" 열화당 2006

      6 김준양,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연금술" 한나래 2001

      7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2

      8 질 들뢰즈, "시네마1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2002

      9 오노고세이, "상상에 숨을 불어 넣다" 나비장책 2004

      10 김일태, "만화애니메이션사전" 부천만화정보센터 2009

      1 최돈일, "케르체네츠 전투의 충돌몽타주 연출 연구" 한국영상미디어협회 10 (10): 17-25, 2011

      2 에이젠쉬쩨인, "이미지의 모험" 연린책들 1999

      3 앨렌 위너, "예술심리학" 학지사 1982

      4 앨렌 위너, "예술심리학" 학지사 1982

      5 박기수, "애니메이션서사구조와 전략" 열화당 2006

      6 김준양,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연금술" 한나래 2001

      7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2

      8 질 들뢰즈, "시네마1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2002

      9 오노고세이, "상상에 숨을 불어 넣다" 나비장책 2004

      10 김일태, "만화애니메이션사전" 부천만화정보센터 2009

      11 "http://ko.wikipedia.org/wiki/%ED%95%98% EC%9D%B4_%ED%8C%90%ED%83%80% EC%A7%80"

      12 "http://aniooo.wordpress.com"

      13 "http://100.naver.com/100.nhn?docid=8382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
      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31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