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버지 역할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ternal Role Inven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62234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충북대학교 대학원 , 아동복지학(원) , 2013. 8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98.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ix, 14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 :김영희
        참고문헌 : p.(98~113)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공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요소를 바탕으로 아버지 역할수행 척도를 개발하고, 역할수행에 메카니즘이 되는 역할정체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아버지 역할에 대한 측정도구를 타당화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아버지의 역할정체감이나 역할수행이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구성요소와 문항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아버지 역할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의 아버지역할 혹은 아버지역할 태도와 관련된 국내·외 척도를 분석하고, 유아, 초등학생, 중학생을 첫 자녀로 둔 아버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전문가의 내용타당검증을 거친 후 예비조사를 통해 75문항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내용이 중복된다고 여겨지는 4문항을 제외하고, 아버지 역할정체감 15문항, 아버지 역할수행 56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조사의 연구대상은 유아 아버지 392명, 초등학생 아버지 398명, 중학생 아버지 355명이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SPSS 12.0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추출된 요인구조가 적합한지를 확인해 보기 위해 AMOS 7.0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최종 개발된 아버지 역할척도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아버지 역할수행을 가장 잘 설명해 준다고 밝혀낸 결혼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정체감은 역할유능감과 역할혼란의 하위차원으로 추출되었고, 각 차원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타당화가 검증되었다. 역할유능감 요인은 아버지가 자녀에게 아버지 역할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이나 믿음을 말하는 것으로 만족감, 자신감, 성취감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역할유능감의 문항은 ‘나는 아버지 역할을 잘 하고 있다.’, ‘나는 아버지라는 사실이 만족스럽다.’, ‘나는 아버지 역할에 자신이 있다.’ 등의 총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역할혼란 요인은 역할에 대한 정체감의 혼란을 의미하는 것으로 책임에 대한 부담감, 역할 모호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역할혼란의 문항은 ‘되돌릴 수만 있다면 나는 아이를 낳지 않을 것이다.’, ‘나는 내 아이를 위해 내 생활을 포기해야 할 때 심리적 허탈감이나 갈등을 느낀다.’, ‘나는 아버지 역할에 부담감을 느낀다.’ 등의 총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역할수행은 조력자, 정서적 지지자, 공동양육자, 놀이 상대자/활동 공유자, 경제적 부양자의 5개 하위차원으로 추출되었고, 각 차원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가 검증되었다. 조력자 요인은 아버지가 자녀의 문제와 요구를 인식하여 이를 도와주고 자녀의 교육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아버지의 조력 문항은 ‘나는 아이가 되고 싶은 꿈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주 이야기를 나눈다.’, ‘나는 아이가 좋아하는 일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등으로 유아 아버지는 6문항, 초등학생 아버지와 중학생 아버지는 각각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정서적 지지자 요인은 자녀와 긍정적 정서의 교류를 말하는 것으로, 자녀와의 관계에서 정서를 느끼고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버지의 정서적 지지 문항은 ‘나는 아이가 힘들 때 아이를 격려하고 지지해준다.’, ‘나는 아이가 힘들 때 아이를 격려하고 지지해준다.’ 등의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공동양육자는 아버지가 배우자인 아내와 자녀를 공동으로 양육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아내의 양육방식을 지지하는지, 아내의 자녀양육을 잘 도와주는지, 아버지로써 자녀의 양육과 책임을 같이 잘 나누어서 수행하고 있는지를 말한다. ‘나는 아이문제에 대해 아내와 자주 상의한다.’, ‘나는 아내가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도록 아내를 잘 도와준다.’ 등의 5문항이다. 놀이상대자/활동공유자 요인은 아버지와 자녀가 시간을 같이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요인의 명칭을 유아 아버지는 자녀와 많이 놀아주는 것으로 나타나 놀이 상대자라고 명명하였고,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아버지는 여가 등의 다양한 활동을 공유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고 여겨 활동공유자라 명명하였다. 이에 대한 문항은 ‘나는 생각만큼 아이와 시간을 같이 보내지 못한다.(역문항)’, ‘나는 직장일로 바빠서 아이와 같이 있어주지 못할 때가 많다.(역문항)’ 등의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경제적 부양자 요인은 아버지가 아버지의 역할을 경제적 부양으로 여겨 그에 열심히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문항은 ‘내가 직장에서 성공하려고 하는 이유는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서이다.’, ‘내가 돈을 더 벌려고 하는 이유는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서이다.’ 등의 2문항이다.
      셋째,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역할정체감의 하위 구성요소와 역할수행의 하위 구성요소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아버지 집단에서 역할정체감의 하위 구성요소와 문항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역할수행의 하위 구성요소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 구성요소를 이루는 문항에서는 문장의 수와 문항의 내용에서 집단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넷째, 개발된 아버지 역할척도의 타당도를 입증하기 위하여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아버지 역할척도와 거의 모든 부분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 척도의 타당도가 입증이 되었다. 역할정체감과 역할수행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거의 모든 부분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아버지 역할척도가 아버지의 행동적 개입에만 초점을 두었다면 아버지 역할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까지 확장된 개념으로 역할개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아버지 역할정체감과 역할수행의 구성요소가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척도개발을 통해 입증해 주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문헌연구, 심층면접,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설문조사와 같은 질적·양적 연구 두 가지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아버지 역할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높였다는데 점에서도 함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공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요소를 바탕으로 아버지 역할수행 척도를 개발하고, 역할수행에 메카니즘이 되는 역할정체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공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요소를 바탕으로 아버지 역할수행 척도를 개발하고, 역할수행에 메카니즘이 되는 역할정체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아버지 역할에 대한 측정도구를 타당화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아버지의 역할정체감이나 역할수행이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구성요소와 문항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아버지 역할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의 아버지역할 혹은 아버지역할 태도와 관련된 국내·외 척도를 분석하고, 유아, 초등학생, 중학생을 첫 자녀로 둔 아버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전문가의 내용타당검증을 거친 후 예비조사를 통해 75문항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내용이 중복된다고 여겨지는 4문항을 제외하고, 아버지 역할정체감 15문항, 아버지 역할수행 56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조사의 연구대상은 유아 아버지 392명, 초등학생 아버지 398명, 중학생 아버지 355명이었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SPSS 12.0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추출된 요인구조가 적합한지를 확인해 보기 위해 AMOS 7.0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최종 개발된 아버지 역할척도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아버지 역할수행을 가장 잘 설명해 준다고 밝혀낸 결혼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정체감은 역할유능감과 역할혼란의 하위차원으로 추출되었고, 각 차원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타당화가 검증되었다. 역할유능감 요인은 아버지가 자녀에게 아버지 역할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이나 믿음을 말하는 것으로 만족감, 자신감, 성취감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역할유능감의 문항은 ‘나는 아버지 역할을 잘 하고 있다.’, ‘나는 아버지라는 사실이 만족스럽다.’, ‘나는 아버지 역할에 자신이 있다.’ 등의 총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역할혼란 요인은 역할에 대한 정체감의 혼란을 의미하는 것으로 책임에 대한 부담감, 역할 모호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역할혼란의 문항은 ‘되돌릴 수만 있다면 나는 아이를 낳지 않을 것이다.’, ‘나는 내 아이를 위해 내 생활을 포기해야 할 때 심리적 허탈감이나 갈등을 느낀다.’, ‘나는 아버지 역할에 부담감을 느낀다.’ 등의 총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역할수행은 조력자, 정서적 지지자, 공동양육자, 놀이 상대자/활동 공유자, 경제적 부양자의 5개 하위차원으로 추출되었고, 각 차원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가 검증되었다. 조력자 요인은 아버지가 자녀의 문제와 요구를 인식하여 이를 도와주고 자녀의 교육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아버지의 조력 문항은 ‘나는 아이가 되고 싶은 꿈이 무엇인지에 대해 자주 이야기를 나눈다.’, ‘나는 아이가 좋아하는 일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등으로 유아 아버지는 6문항, 초등학생 아버지와 중학생 아버지는 각각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정서적 지지자 요인은 자녀와 긍정적 정서의 교류를 말하는 것으로, 자녀와의 관계에서 정서를 느끼고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버지의 정서적 지지 문항은 ‘나는 아이가 힘들 때 아이를 격려하고 지지해준다.’, ‘나는 아이가 힘들 때 아이를 격려하고 지지해준다.’ 등의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공동양육자는 아버지가 배우자인 아내와 자녀를 공동으로 양육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아내의 양육방식을 지지하는지, 아내의 자녀양육을 잘 도와주는지, 아버지로써 자녀의 양육과 책임을 같이 잘 나누어서 수행하고 있는지를 말한다. ‘나는 아이문제에 대해 아내와 자주 상의한다.’, ‘나는 아내가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도록 아내를 잘 도와준다.’ 등의 5문항이다. 놀이상대자/활동공유자 요인은 아버지와 자녀가 시간을 같이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요인의 명칭을 유아 아버지는 자녀와 많이 놀아주는 것으로 나타나 놀이 상대자라고 명명하였고,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아버지는 여가 등의 다양한 활동을 공유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고 여겨 활동공유자라 명명하였다. 이에 대한 문항은 ‘나는 생각만큼 아이와 시간을 같이 보내지 못한다.(역문항)’, ‘나는 직장일로 바빠서 아이와 같이 있어주지 못할 때가 많다.(역문항)’ 등의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경제적 부양자 요인은 아버지가 아버지의 역할을 경제적 부양으로 여겨 그에 열심히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문항은 ‘내가 직장에서 성공하려고 하는 이유는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서이다.’, ‘내가 돈을 더 벌려고 하는 이유는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서이다.’ 등의 2문항이다.
      셋째,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역할정체감의 하위 구성요소와 역할수행의 하위 구성요소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아버지 집단에서 역할정체감의 하위 구성요소와 문항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역할수행의 하위 구성요소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 구성요소를 이루는 문항에서는 문장의 수와 문항의 내용에서 집단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넷째, 개발된 아버지 역할척도의 타당도를 입증하기 위하여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아버지 역할척도와 거의 모든 부분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 척도의 타당도가 입증이 되었다. 역할정체감과 역할수행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거의 모든 부분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아버지 역할척도가 아버지의 행동적 개입에만 초점을 두었다면 아버지 역할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까지 확장된 개념으로 역할개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아버지 역할정체감과 역할수행의 구성요소가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척도개발을 통해 입증해 주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문헌연구, 심층면접,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설문조사와 같은 질적·양적 연구 두 가지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아버지 역할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높였다는데 점에서도 함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paternal role inventory on the basis of common factors including fathering practice to measure father role identity but also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if items measure father role identity or fathering practice change depending on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domestic and foreign reports and conventional scales for paternal role or attitude in order to develop paternal role inventory.
      Seventy-one preliminary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nd reviewed through in-depth interview from 20 fathers and expert's verifi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3 groups: 392 fathers of kindergarten students, 398 fa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55 fath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Preliminary items of seventy-one were analysed b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2.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7.0 program. To official validate the final paternal role inventory, marital satisfaction was measured and the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ole identity including role confidence and role confusion was valid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ole confidence was 7-items designed to assess paternal confidence and beliefs reflected satisfaction, self-confidence, sense of accomplishment as a paternal role such as “I think I play role as a good father.”, “I am proud of being father.”, “I am sure to be a good father.”, etc. Role confusion was a 3-items designed to assess confusion of role identity which included pressure of responsibility and role ambiguity such as “If I could turn back time, I would not have a child.”, “I feel discouraged or have a conflict when I need to give up my life for my children.”, and “I have burdened myself with a role of father.”.
      Second, fathering practice including five sub-scales which were helping role, emotional supporting role, co-parenting role, play mates, and economic provider was valid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elping role refers to the paternal role who helps his children's problems and needs and solves their educational problems. It was consisted of 6-items designed for fathers of kindergarten and 5-items for father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uch as “I often talk to my children what they want to be in the future.”, “I am interested in what my children like to do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it.”, etc.
      Emotional supporting role refers to the positive emotional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which means to empathize and express what they feel in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It was a consisted of five to six items such as “I encourage my children when they get in trouble.” etc. Co-parenting role refers to the father who nurtures their children together in their roles as parents. It was composed of 5-items such as “I often talk to wife about our children.”, “I help wife well to nurture children.”, etc. Play mates refers to the father spending time with his children. In this factor, fathers of kindergarten named it play mate, on the other hand, father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considered it sharing activity role. It was composed of 5-items such as “I don't spend enough time with my children as I expect.”, “I am so busy at work that I can't be with my children.”, etc. Economic provider refers that father conducts a provider role for their family. It was consisted of 2-items such as “The only reason I try to earn more money is to nurture my children well.”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ubscale of role identity and fathering practice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al age. However,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items and contents of items. In case of helping role factor, there was difference of the number of items between fathers of kindergarten(6 items) and father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5 items). It was indicated that fathers of kindergarten practiced helping role for their children more than fat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rth, marital satisfaction was a validating tool for paternal role inventory. Paternal role inventory was validated by high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extended the concept of paternal role from behavioral intervention to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t also confirms that role identity and fathering practice may not change depending on the children's developmental age. In terms of methodology, parental role inventory was developed b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 expert's verific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paternal role inventory on the basis of common factors including fathering practice to measure father role identity but also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if items meas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paternal role inventory on the basis of common factors including fathering practice to measure father role identity but also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if items measure father role identity or fathering practice change depending on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domestic and foreign reports and conventional scales for paternal role or attitude in order to develop paternal role inventory.
      Seventy-one preliminary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nd reviewed through in-depth interview from 20 fathers and expert's verifi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3 groups: 392 fathers of kindergarten students, 398 fa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55 fath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Preliminary items of seventy-one were analysed b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2.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7.0 program. To official validate the final paternal role inventory, marital satisfaction was measured and the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ole identity including role confidence and role confusion was valid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ole confidence was 7-items designed to assess paternal confidence and beliefs reflected satisfaction, self-confidence, sense of accomplishment as a paternal role such as “I think I play role as a good father.”, “I am proud of being father.”, “I am sure to be a good father.”, etc. Role confusion was a 3-items designed to assess confusion of role identity which included pressure of responsibility and role ambiguity such as “If I could turn back time, I would not have a child.”, “I feel discouraged or have a conflict when I need to give up my life for my children.”, and “I have burdened myself with a role of father.”.
      Second, fathering practice including five sub-scales which were helping role, emotional supporting role, co-parenting role, play mates, and economic provider was valid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elping role refers to the paternal role who helps his children's problems and needs and solves their educational problems. It was consisted of 6-items designed for fathers of kindergarten and 5-items for father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uch as “I often talk to my children what they want to be in the future.”, “I am interested in what my children like to do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it.”, etc.
      Emotional supporting role refers to the positive emotional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which means to empathize and express what they feel in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It was a consisted of five to six items such as “I encourage my children when they get in trouble.” etc. Co-parenting role refers to the father who nurtures their children together in their roles as parents. It was composed of 5-items such as “I often talk to wife about our children.”, “I help wife well to nurture children.”, etc. Play mates refers to the father spending time with his children. In this factor, fathers of kindergarten named it play mate, on the other hand, father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considered it sharing activity role. It was composed of 5-items such as “I don't spend enough time with my children as I expect.”, “I am so busy at work that I can't be with my children.”, etc. Economic provider refers that father conducts a provider role for their family. It was consisted of 2-items such as “The only reason I try to earn more money is to nurture my children well.”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ubscale of role identity and fathering practice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al age. However,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items and contents of items. In case of helping role factor, there was difference of the number of items between fathers of kindergarten(6 items) and father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5 items). It was indicated that fathers of kindergarten practiced helping role for their children more than fat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rth, marital satisfaction was a validating tool for paternal role inventory. Paternal role inventory was validated by high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extended the concept of paternal role from behavioral intervention to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t also confirms that role identity and fathering practice may not change depending on the children's developmental age. In terms of methodology, parental role inventory was developed by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 expert's verific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Ⅱ. 이론적 배경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Ⅱ. 이론적 배경
      • 1. 아버지의 역할 8
      • 2. 아버지 역할의 구성요인 18
      • 3. 아버지 역할의 측정 척도 24
      • 4. 자녀발달단계에 따른 아버지의 역할 28
      • Ⅲ. 연구방법
      • 1. 문헌연구 34
      • 2. 심층면접 35
      • 3. 척도시안 구성 36
      • 4. 내용타당도 검증 37
      • 5. 예비조사 실시 38
      • 6. 본 조사 실시 38
      • Ⅳ. 연구결과
      • 1. 심층면접 결과 42
      • 2. 아버지 역할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5
      • 3. 아버지 역할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56
      • 4. 공인타당도 검증결과 83
      • Ⅴ. 논의 및 제언
      • 1. 요약 및 논의 89
      • 2. 결론 및 제언 96
      • 참고문헌 98
      • Abstract 114
      • 부 록 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