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졸 신입사원의 역량에 대한 대기업 인사교육담당자와 대학생의 인식차이 분석 = Different perceptions on college-graduated employee's competency: HRD practitioners vs.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college graduated employee's competency between HRD practitioners and college students. To identify the different perceptions we conducted a survey of 131 HRD professionals in Korean large enterprises as well as 333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HRD professional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of integrity, manner and Attitud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of global mindset, foreign language skill and speci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RD professionals'. Seconds, HRD professionals' perceptions on the current level of self expression skill, common knowledge, global mindset, foreign language skill and learning skill were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organization understanding, manner, attitude and flexi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RD professionals'. Third, the level of importance of skills desired by HRD professionals descended from cooperation, interpersonal skills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but the perceived importance of skill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descended from foreign language skills, business common knowledge and presentation skills. This perception gap indicates that the current college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and the new courses should be designed to better meet the requirements of corpor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college graduated employee's competency between HRD practitioners and college students. To identify the different perceptions we conducted a survey of 131 HRD professionals in K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different perceptions on college graduated employee's competency between HRD practitioners and college students. To identify the different perceptions we conducted a survey of 131 HRD professionals in Korean large enterprises as well as 333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HRD professional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of integrity, manner and Attitud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of global mindset, foreign language skill and speci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RD professionals'. Seconds, HRD professionals' perceptions on the current level of self expression skill, common knowledge, global mindset, foreign language skill and learning skill were higher th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organization understanding, manner, attitude and flexi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RD professionals'. Third, the level of importance of skills desired by HRD professionals descended from cooperation, interpersonal skills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but the perceived importance of skill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descended from foreign language skills, business common knowledge and presentation skills. This perception gap indicates that the current college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and the new courses should be designed to better meet the requirements of corpor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졸 신입사원의 역량에 대한 대기업의 인사교육 담당자와 대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해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의 인사교육 담당자 131명 및 서울과 지방의 대학생 333명을 대상으로 대졸 신입사원에게 요구되는 역량 수준 및 현재 역량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신입사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윤리의식, 예절 및 태도는 기업 인사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이 대학생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국제감각, 외국어 구사 능력, 글로벌 마인드, 전공활용능력은 대학생의 인식이 기업 인사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신입사원의 현재 역량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의사표현력, 시사상식, 업무상식, 국제감각, 외국어 구사 능력, 글로벌 마인드, 학습능력은 기업 인사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이 대학생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조직에 대한 이해력, 예절 및 태도, 책임감, 융통성은 대학생의 인식이 기업 인사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인사교육담당자들은 대학에서의 상호협력체제 구축, 대인관계, 조직 이해에 대한 교육 강화 요구가 높았으나, 대학생의 경우 외국어 구사능력, 업무상식, 의사표현 등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졸 신입사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기업의 인식 변화 및 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에의 요구에의 변화, 기업과 학생의 각 역량 수준 및 개념에 대한 인식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졸 신입사원의 역량에 대한 대기업의 인사교육 담당자와 대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해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

      본 연구는 대졸 신입사원의 역량에 대한 대기업의 인사교육 담당자와 대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해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의 인사교육 담당자 131명 및 서울과 지방의 대학생 333명을 대상으로 대졸 신입사원에게 요구되는 역량 수준 및 현재 역량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신입사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윤리의식, 예절 및 태도는 기업 인사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이 대학생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국제감각, 외국어 구사 능력, 글로벌 마인드, 전공활용능력은 대학생의 인식이 기업 인사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신입사원의 현재 역량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의사표현력, 시사상식, 업무상식, 국제감각, 외국어 구사 능력, 글로벌 마인드, 학습능력은 기업 인사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이 대학생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조직에 대한 이해력, 예절 및 태도, 책임감, 융통성은 대학생의 인식이 기업 인사교육 담당자들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인사교육담당자들은 대학에서의 상호협력체제 구축, 대인관계, 조직 이해에 대한 교육 강화 요구가 높았으나, 대학생의 경우 외국어 구사능력, 업무상식, 의사표현 등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졸 신입사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기업의 인식 변화 및 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에의 요구에의 변화, 기업과 학생의 각 역량 수준 및 개념에 대한 인식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영수, "학습조직, 우선 패러다임부터 전환하자" 195 : 20-21, 2006

      2 박동열, "실무교육중심대학에서의 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 분석" 36 (36): 145-167, 2004

      3 세계일보, "상반기 10대 취업뉴스. 세계일보 2007년 6월 10일자"

      4 대한상공회의소, "대학교육에 대한 기업만족도 조사"

      5 한국경제신문, "대학가, 여름방학 반납 취업준비 구슬땀. 한국경제신문 2007년 8월 7일자"

      6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이 바라는 대학교육과정 조사결과 및 이의 활용방안"

      7 양승실,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분석" 9 (9): 145-170, 2006

      8 양승실,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9 채창균,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훈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0 김재영, "기업 CEO의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1 송영수, "학습조직, 우선 패러다임부터 전환하자" 195 : 20-21, 2006

      2 박동열, "실무교육중심대학에서의 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 분석" 36 (36): 145-167, 2004

      3 세계일보, "상반기 10대 취업뉴스. 세계일보 2007년 6월 10일자"

      4 대한상공회의소, "대학교육에 대한 기업만족도 조사"

      5 한국경제신문, "대학가, 여름방학 반납 취업준비 구슬땀. 한국경제신문 2007년 8월 7일자"

      6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이 바라는 대학교육과정 조사결과 및 이의 활용방안"

      7 양승실,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분석" 9 (9): 145-170, 2006

      8 양승실,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9 채창균,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훈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0 김재영, "기업 CEO의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11 조대연, "국내 성인교육훈련의 요구분석 연구동향: 1990년-2005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9 (9): 85-106, 2006

      12 송영수, "국내 대기업의 인적자원개발(HRD) 동향: 대기업 HRD 관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13 (13): 139-160, 2007

      13 동아일보, "가장 취업하고 싶은 기업은 삼성전자. 동아일보 2007년 2월 28일자"

      14 부산일보, "‘취업 유리한 강의 잡아라’ 대학 수강신청 전쟁. 부산일보 2007년 8월 8일자"

      15 Michaels,E., "The war for talent"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1

      16 김홍묵, "SK의 인재상과 핵심가치" 한양대학교 리더십센터 55-66, 2007

      17 김경수, "LG 핵심가치; LG Way" 한양대학교 리더십센터 43-52, 2007

      18 현대경제연구원, "IMF 외환위기 이후 고용형태의 변화와 대응 방안" 한국경제주평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09-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6 2.1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