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상호, "희곡원론" 도서출판 둥지 1993
2 조동일,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 1996
3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80
4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집문당 1992
5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6 박인기, "특수영역으로서의 초등국어교육 방향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49-165, 2006
7 정혜승, "은유의 기능과 국어교육적 함의" 한국어교육학회 (118) : 181-219, 2005
8 정약용,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작과비평사 1993
9 정현기,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사무침" 푸른사상 2009
10 권순희,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외국 사례 비교" 한국어교육학회 (128) : 129-174, 2009
1 이상호, "희곡원론" 도서출판 둥지 1993
2 조동일,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 1996
3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80
4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집문당 1992
5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6 박인기, "특수영역으로서의 초등국어교육 방향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49-165, 2006
7 정혜승, "은유의 기능과 국어교육적 함의" 한국어교육학회 (118) : 181-219, 2005
8 정약용,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작과비평사 1993
9 정현기,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사무침" 푸른사상 2009
10 권순희,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외국 사례 비교" 한국어교육학회 (128) : 129-174, 2009
11 최명환, "언어 영재의 표현 미학" 166-175, 2006
12 김봉순, "언어 영재의 판별과 지도" 5 : 61-, 2004
13 이순영, "언어 영재의 개념과 언어 영재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문헌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4 강승희, "언어 영재와 일반 아동의 작문에 나타나는 이야기 구조와 언어적 창의성의 발달 및 차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15 박수자, "언어 영재를 위한 창의적 작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어교육학회 (21) : 255-296, 2004
16 한국교육개발원, "언어 영재 판별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17 김광수, "쇄신판 논리와 비판적 사고" 철학과현실사 2007
18 황선미, "마당을 나온 암탉" 사계절 2000
19 최명환, "글쓰기의 원리 탐구" 지식산업사 2009
20 김은성,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관점" 국어교육학회 (18) : 65-96, 2003
21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