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 영재교육의 체계와 내용 구성 = Contents Composition and its System of Education for the Gifted in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2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language, which is highly dominated by imported theories, is facing the limitation. The education`s direction has been aimed at many way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tudies. Basically, it is all about who the gifted one is, what it is, and how it has been influencing the next generations from the history. Despite the facts,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language has never identified any of those questions for further education. The systems of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language has established with composition, dialogue, logic, and metaphor from the 4 types of literature are lyric, essay, narration, and drama which compromises metaphor, logic, plot, and dialogue. The way of story composition is from the myths, when a principle of narration from their speeches, logical description from the essays, and metaphor from the lyrics. Expectation of gifted ones in Korean language will be met when the education for them could be created and implemented with the systems and contents above.
      번역하기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language, which is highly dominated by imported theories, is facing the limitation. The education`s direction has been aimed at many way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tudies. Basically, it is all about who the ...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language, which is highly dominated by imported theories, is facing the limitation. The education`s direction has been aimed at many way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tudies. Basically, it is all about who the gifted one is, what it is, and how it has been influencing the next generations from the history. Despite the facts,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language has never identified any of those questions for further education. The systems of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in language has established with composition, dialogue, logic, and metaphor from the 4 types of literature are lyric, essay, narration, and drama which compromises metaphor, logic, plot, and dialogue. The way of story composition is from the myths, when a principle of narration from their speeches, logical description from the essays, and metaphor from the lyrics. Expectation of gifted ones in Korean language will be met when the education for them could be created and implemented with the systems and contents abo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호, "희곡원론" 도서출판 둥지 1993

      2 조동일,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 1996

      3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80

      4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집문당 1992

      5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6 박인기, "특수영역으로서의 초등국어교육 방향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49-165, 2006

      7 정혜승, "은유의 기능과 국어교육적 함의" 한국어교육학회 (118) : 181-219, 2005

      8 정약용,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작과비평사 1993

      9 정현기,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사무침" 푸른사상 2009

      10 권순희,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외국 사례 비교" 한국어교육학회 (128) : 129-174, 2009

      1 이상호, "희곡원론" 도서출판 둥지 1993

      2 조동일,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 1996

      3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80

      4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집문당 1992

      5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6 박인기, "특수영역으로서의 초등국어교육 방향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49-165, 2006

      7 정혜승, "은유의 기능과 국어교육적 함의" 한국어교육학회 (118) : 181-219, 2005

      8 정약용,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작과비평사 1993

      9 정현기,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사무침" 푸른사상 2009

      10 권순희,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외국 사례 비교" 한국어교육학회 (128) : 129-174, 2009

      11 최명환, "언어 영재의 표현 미학" 166-175, 2006

      12 김봉순, "언어 영재의 판별과 지도" 5 : 61-, 2004

      13 이순영, "언어 영재의 개념과 언어 영재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문헌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4 강승희, "언어 영재와 일반 아동의 작문에 나타나는 이야기 구조와 언어적 창의성의 발달 및 차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15 박수자, "언어 영재를 위한 창의적 작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어교육학회 (21) : 255-296, 2004

      16 한국교육개발원, "언어 영재 판별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17 김광수, "쇄신판 논리와 비판적 사고" 철학과현실사 2007

      18 황선미, "마당을 나온 암탉" 사계절 2000

      19 최명환, "글쓰기의 원리 탐구" 지식산업사 2009

      20 김은성,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관점" 국어교육학회 (18) : 65-96, 2003

      21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6 1.335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