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교육에서의 실천학습 설계 요인 탐색 = Identifying Design Factors of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431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기업에서 매우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천학습을(Action Learning) 대학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실천학습...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기업에서 매우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천학습을(Action Learning) 대학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실천학습 설계요인 프레임웍을 개발하여 S대학교의 ``교육공학`` 강좌에 1차로 4팀(19명), 2차에 16팀(78명)을 대상으로 설계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교육에 실천학습을 적용하기 위하여 첫째, 실천학습의 시연을 강화한 워크숍, 둘째, 교내외 스폰서의 확보 및 연계 전략, 셋째, 과제 해결 방법과 내용의 전문성 강화, 넷째, 온라인 보고 및 피드백 강화 등이 주요한 설계 요인으로 탐색되었다. 과제유형에 따른 실천학습의 수준을 파악하여 과제설계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천학습 과정의 메시지를 녹취,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유과제형(학습자들이 과제를 직접 선정)이 과제제시형(학습자들에게 과제를 선정하여 제공)에 비하여 실천학습 활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대학교육의 실천학습에서는 학습자들이 과제를 스스로 선정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탐색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design factors of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is research figures out design factors of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design factors of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is research figures out design factors of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students who participate in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of S university. This study conducted twice to find out design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orkshop with action learning rehearsal should be included as designing factor. Secondly, defining sponsor of action learning and aligning learning strategy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 Thirdly, task solving method and content expertise should be enhanced. Lastly, on-line feedback and report should be included as an important design factor.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on level of action learning is as follows. Problem-opened task type which learners select task topic has higher level of action learning than problem-given task type. To design web-based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roblem-opened task type is desirable. For doing that, task selecting procedure and criteria of task should be 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홍섭, "핵심인재육성: LG 전자 사례" 105-120, 2002

      2 Knowledge, "인식과 관심" 19711983

      3 봉현철, "위기의 대학교육 딜레마 탈출을 위한 한 시도: Action Learning이 바꿔놓은 경영학 수업" 37-84, 2003

      4 김미정, "워크플레이스 변화 사례를 통해 본 액션러닝의 효과와 문제 산업교육연구" 8 : 5-32, 2001

      5 김종인, "액션러닝에 의한 업무 프로세스 개선 사례연구 : (주) 효성의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2002

      6 노혜란, "실천학습에서의 전이 수준과 전이 촉진 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20 (20): 135-172, 2004

      7 김창수, "기업교육에서 실천학습과 이러닝 혼합 구도 및 활용 유형" 2003

      8 Yang, B, "Toward a holistic theory of knowledge and adult learning" 2 (2): 106-129, 2003

      9 O′Neil, J. A, "The role of the learning advisor in action learning" Columbia University 1999

      10 Lamm, S. L., "The connection between action reflection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n awakening of human qualities in leadership" Columbia University 2000

      1 김홍섭, "핵심인재육성: LG 전자 사례" 105-120, 2002

      2 Knowledge, "인식과 관심" 19711983

      3 봉현철, "위기의 대학교육 딜레마 탈출을 위한 한 시도: Action Learning이 바꿔놓은 경영학 수업" 37-84, 2003

      4 김미정, "워크플레이스 변화 사례를 통해 본 액션러닝의 효과와 문제 산업교육연구" 8 : 5-32, 2001

      5 김종인, "액션러닝에 의한 업무 프로세스 개선 사례연구 : (주) 효성의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2002

      6 노혜란, "실천학습에서의 전이 수준과 전이 촉진 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20 (20): 135-172, 2004

      7 김창수, "기업교육에서 실천학습과 이러닝 혼합 구도 및 활용 유형" 2003

      8 Yang, B, "Toward a holistic theory of knowledge and adult learning" 2 (2): 106-129, 2003

      9 O′Neil, J. A, "The role of the learning advisor in action learning" Columbia University 1999

      10 Lamm, S. L., "The connection between action reflection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n awakening of human qualities in leadership" Columbia University 2000

      11 Bromley, "The ABC of action learning" 1993

      12 Leeds, D, "The 7 powers of questions" Perigee 2000

      13 Brenda, B, "Teaching Instructional Design: An Action Learning Approach" 14 (14): 37-52, 2001

      14 Bateson, "Steps to an ecology of the mind 마음의 생태학" 19721990

      15 Toffer, A, "Revolutionary Wealth" NY: Cutis Brown 2006

      16 Dan, F, "Practicing Action Learning in a Community Context" 11 (11): 15-17, 2001

      17 Marquardt, M. J, "Optimizing the Power of Action Learning" Palo Alto, CA: Davies-Black 2004

      18 San francisco,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Jossey-Bass 1990

      19 Kolb,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tice-Hall 1984

      20 Boshyk, Y., "Business Driven Action Learning" Hampshire: Palgrave Macmillian 2000

      21 Lawrence Erlbaum,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교수설계의 이론과 모형" 교육과학사 19831993

      22 Morgan, "Action learning; A holographic metaphor for guiding social change" 1-28, 1983

      23 Marquardt, M., J, "Action learning: Resolving real problems in real time." San Francisco, CA: Pfeiffer 94-110, 2007

      24 Dilworth, R. L, "Action learning: Images and pathways" FL: Krieger 2003

      25 England, "Action learning in practice" 1983

      26 Marquardt, M. J., "Action learning in action." Palo Alto, CA: Davies-Black 1999

      27 Pike, "Action Learning on an academic course Action learning in practice" 141-151, 1983

      28 Naftalin, I. H., "Acti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onflicting or Compatible Goals?" 24 (24): 193-205, 1996

      29 Peter, A. C., "Action 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 in Project Environment That Are Related to Leadership Development" 32 (32): 31-48, 2001

      30 Tom, B, "Action Learning across a University Community" 37 (37): 2-9, 2000

      31 Waddill, D. D, "Action E-Learning: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Action Learning Applied Online" 9 (9): 157-17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