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에 소장된 조선전적(朝鮮典籍)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5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과 동방학연구소(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에 있는 조선전적에 대한 연구로, 전적들의 수집 과정, 총...

      이 글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과 동방학연구소(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에 있는 조선전적에 대한 연구로, 전적들의 수집 과정, 총량, 연구할 가치가 높은 자료 등을 검토한 것이다. 러시아에 있는 조선전적은 모스크바 국립대학,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국립대학, 동방학연구소, 역사문화보관소, 카자흐스탄 국립도서관 등에 분산되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곳이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은 제정(帝政) 러시아 때의 황제대학(皇帝大學)으로, 조선으로 파견할 외교관 양성을 목적으로 19세기 말부터 조선어(朝鮮語)를 가르쳤다. 이때, 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이미 조선에 파견된 외교관들이 수시로 구매하여 이곳으로 보냈다. 그리고 동방학연구소는 러시아 학술아카데미의 주요 연구기관으로서, 조선어와 조선 문학의 특성을 연구할 목적으로 조선전적(朝鮮典籍)을 구매하여 소장하였다. 그 결과 현재 두 기관에는 대략 1,000책에 가까운 조선전적이 남아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에는 총 84종, 855책의 조선전적이 소장되어 있는데, 자료적 가치가 높은 것들은 대략 40여 종이다. 원래 한글로 작성된 것을 러시아어로 번역했던 󰡔개국오백사년팔월사변보고서󰡕, 조선어를 가르치기 위해 교재로 사용했던 󰡔천자문󰡕, 󰡔전운옥편󰡕, 󰡔유합󰡕, 고소설 󰡔토생전󰡕, 󰡔삼국지(권3)󰡕 등이 중요한 것들이다. 동방학연구소에는 총 264종이 확인되는데,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다룬 책이 많았고 애스톤(Aston)과 뮐렌도르프(Möllendorff)가 소장하고 있었거나 수집했던 고소설을 소장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자료들 중에는 그들 조선어교사의 협조로 당시 세책점(貰冊店)에서 대여해주었던 세책본(貰冊本)을 구매한 것들이 많다. 현재 세계 여러 곳에 조선전적이 소장되어 있지만 가장 특색 있는 곳이 바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이다. 차후 러시아 측과의 협의를 통해 목록의 보완 작업, 중요 자료내지 유일본의 현대역 및 영인, 디지털 작업 등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roduces the collection of Joseon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housed in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nd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by focusing on the collecting process, the total number of collected ...

      This paper introduces the collection of Joseon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housed in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nd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by focusing on the collecting process, the total number of collected items, and some materials worth examining. The Joseon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are kept in various places in Russia, including Lomonosov Moscow State University,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nd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hold the largest collection.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n imperial university established during the Russian Empire, began teaching the Joseon language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 the intention of educating diplomats who were to be dispatched to Joseon. Teaching materials for the courses were purchased and sent to the university by diplomats already working in Joseon.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a major research institute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purchased and stored Joseon books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As a result, approximately one thousand books are currently kept in the institutes. Out of the 84 titles in 855 volumes housed in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pproximately 40 titles are worth examining; some of which include Gaegukobaekyeonpalweolsabeonbogoseo(a report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and then translated into Russian), Chonjamun, Jeonunokpyeon, Yuhap(materials used to teach the Joseon language), and classic novels, such as Tosangjeon and Samgukji(volume3). The collection in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known to house 264 titles) is characterized by its many book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as well as classic novels that were either kept or collected by Aston and Möllendorff. Many of such novels were purchased from book rental shops (sechaekjǒm) with the help of their Joseon language teachers. The Joseon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are housed around the world, yet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nd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hold the most distinctive collection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list of collected items before embarking on further research. It is hoped that by collaborating with Russia, the list would be supplemented and that modern translation, photo printing, and digitization of important materials and exclusive books would also become possi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 조선전적의 수집 과정
      • 3.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 조선전적의 현황과 가치
      • 4. 마무리와 과제
      • 국문초록
      • 1. 서론
      • 2.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 조선전적의 수집 과정
      • 3.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 조선전적의 현황과 가치
      • 4. 마무리와 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2005~2008"

      2 이상택, "해외일본(海外佚本) 한국 고소설 총서" 태학사 1998

      3 모리스쿠랑, "한국서지" 일조각 1-30, 1994

      4 임성래, "하버드옌칭 도서관 소장 한국고소설 목록" 19 : 2004

      5 허경진, "하버드대학 옌칭도서관의 한국고서들" 웅진북스 2003

      6 이진명, "프랑스 국립도서관 및 동양어대학 도서관 소장 한국학자료의 현황과 연구동향" 2 : 2004

      7 이능우, "파리 동양어학교 한국서목" 22 : 1960

      8 이혜은, "콜레주 드 프랑스 소장 한국 고문헌의 특징과 의의, In 콜레주 드 프랑스 소장 한국 고문헌" 국립중앙도서관 46-54, 2012

      9 유춘동, "책열명록에 대하여" 35 : 2006

      10 조희웅, "재일 한국고전소설의 서지적 연구" 국민대 21 : 2002

      1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전적문화재조사목록 2005~2008"

      2 이상택, "해외일본(海外佚本) 한국 고소설 총서" 태학사 1998

      3 모리스쿠랑, "한국서지" 일조각 1-30, 1994

      4 임성래, "하버드옌칭 도서관 소장 한국고소설 목록" 19 : 2004

      5 허경진, "하버드대학 옌칭도서관의 한국고서들" 웅진북스 2003

      6 이진명, "프랑스 국립도서관 및 동양어대학 도서관 소장 한국학자료의 현황과 연구동향" 2 : 2004

      7 이능우, "파리 동양어학교 한국서목" 22 : 1960

      8 이혜은, "콜레주 드 프랑스 소장 한국 고문헌의 특징과 의의, In 콜레주 드 프랑스 소장 한국 고문헌" 국립중앙도서관 46-54, 2012

      9 유춘동, "책열명록에 대하여" 35 : 2006

      10 조희웅, "재일 한국고전소설의 서지적 연구" 국민대 21 : 2002

      11 유춘동, "일본 토야마[富山]대학 소장, <朝鮮開化期大衆小說原本컬렉션>의 서지적 연구" 겨레어문학회 (46) : 153-191, 2011

      12 김동욱, "영인 고소설 판각본 전집⑴~⑸"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5

      13 코뱌코바 울리아나, "애스톤문고 소장 Corean Tales 에 대한 고찰" 한국서지학회1 (32) : 77-99, 2008

      14 석주연, "애스턴 구장본 百聯抄解" 7 : 1999

      15 박재연, "슈유문(隋史遺文)" 이회 2004

      16 "상트페테르부르크 동방학연구소 소장 자료"

      17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 소장 자료"

      18 이창헌, "방각소설 출판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방각소설의 출판과 언어ㆍ문화의 표준화-" 한국고전문학회 (35) : 141-182, 2009

      19 유춘동, "방각본 『수호지(水滸誌)』의 판본과 성격에 대한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32) : 271-306, 2010

      20 노경희, "미국 소재 정약용 필사본의 소장 현황과 서지적 특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5) : 81-118, 2009

      21 엄순천, "러시아의 한국문학 연구와 수용 및 문학-문화교류 현황, 분석, In 한국문학의해외수용과 연구현황" 연대 출판부 143-156, 2005

      22 박진완, "러시아 동방학연구소 애스턴 문고의 한글 자료- 한국어 학습 과정과 관련하여-" 한국어학회 46 : 199-228, 2010

      23 박재연, "동유긔(東遊記)" 이회 2004

      24 국립중앙도서관, "국외소재 한국 고문헌 수집 성과와 과제" 국립중앙도서관 2009

      25 유춘동, "구한말 프랑스 공사관의 터다지기 노래, 원달고가" 12 : 203-204, 2009

      26 Oliver R. Avison, "고종의 서양인 전의(殿醫) 에비슨 박사에 눈에 비친구한말 40여 년의 풍경" 대구대학교 2006

      27 허경진, "고소설 필사자 하시모토 쇼요시의 행적" 112 : 2001

      28 Vasilyev F.G, "On the History of Teaching and Researching the Korean Langue at st. Petersburg University" St Petersburg 1997

      29 Skillend, "Kodaesosol" University of London 1968

      30 W.E. Skillend, "Kodaesosol" University of London 1968

      31 Trotsevich A.F, "Description of Manuscripts and Block-prin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PartⅠ" St Petersburg 2008

      32 Trotsevich A.F, "Description of Manuscripts and Block-prin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Part II" St Petersburg 2009

      33 정병설, "18·19세기 일본인의 조선소설 공부와 조선관 ― <최충전>과 <임경업전>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5) : 27-5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97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