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준환, "해방된 전범, 붙잡힌 식민지— 전후 미국의 전범재판과 조선에서의 전범문제 논의" 한국사회사학회 (112) : 101-152, 2016
2 임미진, "해방기 민주주의 선전과 여성해방-가정잡지 『새살림』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7) : 357-381, 2017
3 이세영, "해방~한국전쟁기 인천 지역 월남민의 정착과 네트워크 형성" 국학연구원 (180) : 177-211, 2017
4 황선익, "해방 후 중국 上海지역 일본군 ‘위안부’의 집단수용과 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54) : 73-100, 2016
5 문지현, "해방 후 좌익계 여성운동의 방향과 한계: 잡지 『女性公論』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54) : 243-278, 2017
6 양정심, "해방 후 북한 기록영화와 정치선전" 역사학연구소 (31) : 135-167, 2016
7 박종린, "해방 후 맑스주의 원전 번역과 조선좌익서적출판협의회" 역사문화연구소 (61) : 205-236, 2017
8 조건, "해방 직후 일본군의 한반도 점령 실태와 귀환" 한국학연구소 47 : 331-362, 2017
9 이연식, "해방 직후 ‘우리 안의 난민·이주민 문제’에 관한 시론" 역사문제연구소 20 (20): 117-166, 2016
10 왕은미, "해방 70년, 한국화교에 대한 이해" 역사문제연구소 (115) : 301-336, 2016
11 김웅희, "한일기본조약의 의의와 한계 : 한일관계 50년의 성찰" 현대일본학회 (43) : 193-216, 2016
12 유의상, "한일 청구권협정과 과거사현안의 해결에 대한 고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7 (37): 207-243, 2016
13 조시현, "한일 과거청산과 식민지 범죄" 한국문화연구학회 4 : 2016
14 이봉범, "한미재단(American Korean Foundation), 냉전과 한미 하방연대" 한국학연구소 (43) : 205-260, 2016
15 김준현, "한국전쟁의 발발과 미군 관련 풍속에 대한 대중 인식 변화 - ‘유엔마담’과 ‘양공주’에 얽힌 대중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9) : 41-68, 2016
16 진탁, "한국전쟁시기‘중국군’의 참전과 동원 유형 및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9 (39): 37-71, 2016
17 김아람, "한국전쟁기 황해도민의 서해안 피난과 전후 전라남도 정착" 국학연구원 (180) : 141-175, 2017
18 윤경섭, "한국전쟁기 북한의 전시체제와 계엄" 인문학연구원 (62) : 210-238, 2016
19 김아람, "한국전쟁기 난민정착사업의 실시와 구호의 성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1) : 245-285, 2017
20 이선우, "한국전쟁기 거제도수용소 내 '친공포로'의 딜레마와 폭동" 역사문제연구소 21 (21): 317-356, 2017
21 김선호, "한국전쟁 전후 조선인민군의 월남병(越南兵)과 분단체제의 강화" 역사문제연구소 20 (20): 345-383, 2016
22 주철희, "한국전쟁 전후 반공문화 형성과 그 의미 - 반공영화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9) : 3-40, 2016
23 정근식,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24 최규진, "한국전쟁 뒤 반공이데올로기 지형과 지식인의 자리 — 1950년대 『사상계』의 사상 —" 수선사학회 (61) : 275-304, 2017
25 고가영, "카자흐스탄 베스페르막과 된장국: 민족정체성과 혼종성 사이의 고려인" 한국세계문화사학회 (38) : 237-284, 2016
26 임종명, "지리산 지구 빨치산 전쟁 시기, 신문 지면의 빨치산 여성성 표상" 호남사학회 (61) : 191-226, 2016
27 김동길,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원인 연구 : “국방선(國防線)”의 무혈확장"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7 (37): 5-53, 2016
28 박동찬, "주한미군사고문단 KMAG" 한양대 출판부 2016
29 임종명, "종전/해방 직후(1945.8~1948.7) 남한 담론 공간과 ‘적색 제국주의 소련’상(相・像)" 고려사학회 (62) : 171-244, 2016
30 이연식, "종전 후 한․일 양국 귀환자의 모국 정착과정 비교 연구 - 포스트콜로니얼 관점에서 본 식민자와 피식민지민의 전후실태 비교 -" 한일민족문제학회 (31) : 137-187, 2016
31 서홍석, "조선인민군 충원정책의 변화와 정체성 형성(1948~1950)" 한국역사연구회 (104) : 373-412, 2017
32 김보현, "정말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하다!- 박근호, 『박정희 경제신화 해부-정책 없는 고도성장』 (회화나무, 2017)" 역사문제연구소 38 : 2017
33 김성보, "전후 한국 반공주의의 균열과 전환" 역사실학회 (62) : 191-219, 2017
34 강성현, "전후 미국의 ‘점령형 신탁통치’의 성립과 냉전적 변형— 조선, 미크로네시아, 류큐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112) : 49-99, 2016
35 김보영, "전쟁과 휴전: 휴전회담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7
36 이성, "일본정부의 재일조선인 정책과 한일회담 - 스즈키 하지메에서 사카나카 히데노리로" 일본학연구소 (20) : 119-150, 2016
37 강정숙, "일본군성노예제문제와 관련한 남북교류와 북측의 대응 - '2000년일본군성노예전범여성국제법정'과 그 전후 움직임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24) : 139-186, 2016
38 이나영, "일본군 ‘위안부’ 운동 다시 보기— 문화적 트라우마 극복과 공감된 청중의 확산" 한국사회사학회 (115) : 65-103, 2017
39 김봉국, "이승만 정부 초기 자유민주주의론과 냉전담론의 확산" 고려사학회 (66) : 277-327, 2017
40 강지윤, "원한과 내면 : 탈식민 주체와 젠더 역학의 불안들" 상허학회 50 : 9-45, 2017
41 고가영, "우수리스크 한인 디아스포라들의 초국경적 만남과 위계화된 디아스포라" 역사문화연구소 (59) : 197-244, 2016
42 이하나, "역사영화를 매개로 한 역사비평의 가능성" 한국사학회 (121) : 7-40, 2016
43 지수걸, "역사논쟁은 ‘배틀(battle)’이 아니다: 건국절 논쟁의 주요 쟁점과 교육적 활용방안" 웅진사학회 32 : 2016
44 임병철,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쟁, 그 이후?" 한국역사교육학회 (24) : 255-290, 2016
45 주철희, "여순항쟁의 왜곡과 반공문화 - ‘반란실정 문인조사반’을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소 (33) : 191-222, 2017
46 김영미, "어느 독립운동가 마을의 새마을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6) : 241-278, 2016
47 차철욱, "압축근대시기 농촌마을의 일상과 새마을운동" 효원사학회 50 : 169-201, 2016
48 이순진, "아시아재단의 한국에서의 문화사업-1954년~1959년 예산서류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0) : 9-56, 2016
49 정종현, "아시아재단의 “Korean Research Center(KRC)” 지원 연구-사회과학연구도서관(1956)/한국연구도서관(1958)/한국연구원(1964)으로의 전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0) : 57-108, 2016
50 공영민, "아시아재단 지원을 통한 김용환의 미국기행과 기행 만화" 한국학연구소 (40) : 139-168, 2016
51 류기현, "쏘련을 향하여 배우라 ― 1945~1948년 朝蘇文化協會의 조직과 활동" 대동문화연구원 (98) : 91-118, 2017
52 홍양희, "성스러운 국민: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근대 국가의 법과 과학" 서해문집 2017
53 최정희, "서구 교육과정 이론의 수용과 배제의 역사 -제1차 및 제2차 국가교육과정의 재평가-" 한국교육사학회 39 (39): 129-151, 2017
54 윤충로, "새마을운동 이후의 새마을운동— 198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109) : 193-228, 2016
55 이상록, "산업화시기 ‘출세’·‘성공’ 스토리와 발전주의적 주체 만들기- 박정희 체제에서 탄생한 ‘호모 에코노미쿠스’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28 : 43-93, 2017
56 장미현, "산업화 시기 여성 노동자들의 숙련과 ‘작업장 질서’의 전복" 역사문제연구소 20 (20): 59-102, 2016
57 옥창준, "사상심리전의 텍스트로서 한국전쟁―자유세계로의 확산과 동아시아적 귀환" 역사문제연구소 (118) : 318-343, 2017
58 김재웅, "북한의 민간자원 동원정책과 일상적 동원체제의 형성(1945~1953)" 한국사연구회 (175) : 239-279, 2016
59 한모니까, "북한의 ‘신해방지구’ 주민 편입 정책과 그 특징" 역사문제연구소 20 (20): 385-428, 2016
60 정진아, "북한 사회주의 농촌테제의 등장 배경" 한국사학회 (123) : 211-251, 2016
61 김선호, "북한 보안간부훈련대대부의 간부구성과 당·군의 정치연합체제 출현" 역사문제연구소 21 (21): 275-315, 2017
62 홍규덕, "베트남 전쟁이 한국군에 주는 교훈"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0) : 261-302, 2016
63 조유재, "박정희정권의 제2경제운동의 전개와 성격" 숭실사학회 (38) : 263-318, 2017
64 강정인, "박정희시대의 국가주의 — 국가주의의 세 차원 —" 한림과학원 (20) : 119-155, 2017
65 황병주, "박정희 체제의 근대적 시공간 인식과 시골/도시 담론" 역사학연구소 (31) : 303-342, 2016
66 박근호, "박정희 경제신화 해부-정책 없는 고도성장" 회화나무 2017
67 이철호, "민중이라는 심연 :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연작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50 : 47-84, 2017
68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민중경험과 마이너리티" 경인문화사 2017
69 조은지, "미군정기 후반전, 현지조사와 지방여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2 : 2016
70 양정심, "미국 기록영화와 한국전쟁 ― 미 육군통신대 영상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0) : 299-334, 2017
71 손더스 프랜시스 스토너, "문화적 냉전:CIA와 지식인들" 그린비 2016
72 한석정, "만주모던: 60년대 한국 개발 체제의 기원" 문학과 지성사 2016
73 윤해동, "동아시아사로 가는 길: 트랜스내셔널 역사하과 식민지근대" 책과함께 2018
74 나혜심, "독일의 손님노동자, 그들의 문제와 해결 방식 - 한국 여성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38) : 173-209, 2016
75 나혜심, "독일로 간 한인여성노동자의 난민성" 역사문제연구소 20 (20): 167-205, 2016
76 데이비드 스타인버그, "대한민국과 미국-냉전의 맥락에서 본 문화적 재기와 아시아 재단의 역할-" 한국학연구소 (47) : 139-160, 2017
77 서호철, "누가 국민이고 누가 유권자가 되는가? — 남한의 최초 총선거와 주민의 자격·분류·등록" 한국사회사학회 (113) : 269-310, 2017
78 유경순, "노동조합의 지도력과 젠더정치 청계피복노조의 여성지도력 형성시도와 좌절 (1970~1987)" 역사문제연구소 21 (21): 407-448, 2017
79 권헌규, "노동정책 보고서를 통해 본 미군정의 ‘노동개혁’과 냉전적 변형" 한국사회사학회 (112) : 153-195, 2016
80 김일환, "냉전의 사회과학과 ‘실험장’으로서 한국전쟁―미공군 심리전 프로젝트의 미국인 사회과학자들" 역사문제연구소 (118) : 280-317, 2017
81 허은, "냉전분단시대 ‘對遊擊隊國家’의 등장" 고려사학회 (65) : 427-480, 2016
82 이봉범, "냉전과 월북, (납)월북 의제의 문화정치" 역사문제연구소 21 (21): 229-294, 2017
83 김청강, "냉전과 오락영화: 1950-60년대 군사주의적 남성성과 반공적 주체 만들기" 한국학연구소 (61) : 71-110, 2017
84 박현선, "냉전 유토피아 ‘한국’의 영화적 지리학-험프리 렌지 콜렉션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7) : 279-313, 2017
85 허윤, "냉전 아시아적 질서와 1950년대 한국의 여성혐오" 역사문제연구소 20 (20): 79-115, 2016
86 김옥란, "냉전 센터의 기획, 유치진과 드라마센터-아시아재단 유치진․신협 파일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7) : 197-238, 2017
87 김수자,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여성의원의 입법 활동(1946-1948): ‘여성의원 특별취급안’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53) : 209-236, 2016
88 이신재, "남베트남 패망시기 한국군의 인도주의적 구호활동"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9) : 257-288, 2016
89 공임순, "김학묵이라는 에이전시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신설을 둘러싼미국 발 원조의 회로-" 한국학연구소 (47) : 239-278, 2017
90 남기정, "기지국가의 탄생: 일본이 치른 한국전쟁"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91 이대성, "광복 직후 북한의 문자 정책" 인문과학연구소 37 (37): 43-65, 2016
92 양지혜, "가면을 따라 걷기 전시체제기 어느 전화교환수의 일기(1941~1942)와 피식민지민의 ‘내면’" 역사문제연구소 21 (21): 175-227, 2017
93 김은경, "‘포스트-식민/제국’의 아이러니와 네이션의 자기 변주-제2차 세계대전 후 한일 가족법 제정과 여성의 위치-" 한국근현대사학회 (82) : 253-279, 2017
94 정승화, "‘우정(友情)’이라는 심리전: 1960년대 한국에서의 펜팔 운동에 관한 연구" 국학연구원 (181) : 193-222, 2017
95 이상록, "‘예외상태 상례화’로서의 유신헌법과 한국적 민주주의 담론" 역사문제연구소 20 (20): 511-555, 2016
96 임경화, "‘붉은 한글운동’의 기원: 소련시대 연해주 고려인 사회의 언어운동"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3) : 179-206, 2016
97 정태헌, "‘高文’ 출신들의 해방 후 시대인식과 진로" 고려사학회 (66) : 229-275, 2017
98 Armstrong, Charles, "The Cultural Cold War in Korea, 1945~1950" 62 (62): 2003
99 전영욱, "8, 90년대 ‘진보적’ 한국사학계의 ‘올바른 역사인식’이라는 자기규정" 역사문제연구소 21 (21): 55-92, 2017
100 최혜린, "6·25전쟁기 미군의 포로 정책 전개 양상-전범조사부와 민간정보교육국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대 국사학과 63 : 2017
101 안종철, "5.18때 북한군이 광주에 왔다고?" 아시아문화커뮤니티 2016
102 김아람, "38선 넘고 바다 건너 한라산까지, 월남민의 제주도 정착 과정과 삶" 역사문제연구소 20 (20): 207-251, 2016
103 정현백, "2015년 ‘위안부’ 문제 합의와 역사가의 책무" 한국역사연구회 (99) : 3-12, 2016
104 박영구, "1971년의 한국 현대조선공업 시작은 정말 어떠하였는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1) : 431-462, 2016
105 황병주, "1970년대 중산층의 소유 욕망과 불안 : 박완서의 1970년대 저작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50 : 85-144, 2017
106 김성조, "1970년대 농촌주택개량사업의 전개 : 정부, 농민, 자본의 관계를 중심으로" 역사실학회 (64) : 261-295, 2017
107 이창섭,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의 전개와 그 성격- 충남 당진군 석문면 삼화2리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9) : 153-192, 2016
108 임광순, "1970년대 노동통제전략의 구축과 붕괴 -공장새마을운동의 전개와 정부‧기업‧노동자의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02) : 323-360, 2016
109 조은주, "1960년대 한국의 통계 발전과 지식 형성의 실천: 주한 통계 고문단(1958-1963)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 38 (38): 213-238, 2016
110 이세진, "1960년대 미국의 대한경제정책 변화: 재정안정계획과 수출지향적 공업화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63) : 59-104, 2017
111 신주백, "1960년대 ‘근대화론’의 學界 유입과 한국사 연구 - ‘근대화’를 주제로 내세운 학술기획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25) : 45-94, 2017
112 정무용, "1960~70년대 증대하는 유동성과 불안, 그리고 위험 관리로서의 사회개발" 역사문제연구소 21 (21): 295-330, 2017
113 이상록, "1960~70년대 ‘인간관리’ 경영지식의 도입과 ‘자기계발’하는 주체" 역사문제연구소 20 (20): 19-58, 2016
114 신재준, "1959년 이승만 정부의 대일통상 중단조치와 미국" 역사문제연구소 (115) : 371-398, 2016
115 박연희, "1950년대 한국 펜클럽과 아시아재단의 문화원조-세계작가회의 참관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0) : 109-138, 2016
116 이순진, "1950년대 한국 영화산업과 미국의 원조-아시아재단의 정릉 촬영소 조성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43) : 173-204, 2016
117 황선익, "1950년대 전시납북자 귀환 교섭과 한국정부의 대응"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8) : 323-360, 2016
118 황병주, "1950~60년대 엘리트 지식인의 빈곤 담론" 역사문제연구소 21 (21): 519-574, 2017
119 박경민, "1945년 패전 후 재조일본인의 귀결 -경성일본인세화회의 재산 문제와 식민지 지배 인식을 중심으로" 일본학연구소 21 : 103-127, 2017
120 신재준, "1945-46년, 在朝鮮일본인의 귀환과 미군정의 대응"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4) : 51-79,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