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저작권 관련 ADR의 개선방안 - 한국저작권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저작권 분쟁 조정 제도의 활성화 - = An Improvement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of Copyright in Korea - Facilitation of Copyright ADR Industry Based on Korea Copyright Commission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pyrighted) works reflect the human’s thinking and feeling. In modern society, the works are highly valued as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disputes related to the works can be linked with the timeliness of settlement, so a speedy resolution is needed to the copyright issue. Nonetheless, in Korea, people prefer to file a civil suit instead of other ways yet, and in this reason, ADR(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system in the copyright field is not commonplace. Since 1987, the Korean Copyright Commission has been involved in copyright-related mediation, but only hundreds of cases are received and processed in every year. Also, only few research papers which deal with the ADR of copyright in detail were published. In these days, the researches are increased, but the ADR system is still needed to be studied more active.
      The copyright field, which can be linked to various fields, can be applied and utilized widely, so the legal issues of copyright should be processed flexibly. The increasing trend and the diversity of copyright related disputes imply the positive future of ADR of copyright in Korea. Based on strengths of ADR compared to lawsuit system, economical and efficient, this paper analyzed current copyright dispute mediation system in Korea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s based on efficiency, expertise, awareness.
      번역하기

      (Copyrighted) works reflect the human’s thinking and feeling. In modern society, the works are highly valued as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disputes related to the works can be linked with the timeliness of settlem...

      (Copyrighted) works reflect the human’s thinking and feeling. In modern society, the works are highly valued as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disputes related to the works can be linked with the timeliness of settlement, so a speedy resolution is needed to the copyright issue. Nonetheless, in Korea, people prefer to file a civil suit instead of other ways yet, and in this reason, ADR(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system in the copyright field is not commonplace. Since 1987, the Korean Copyright Commission has been involved in copyright-related mediation, but only hundreds of cases are received and processed in every year. Also, only few research papers which deal with the ADR of copyright in detail were published. In these days, the researches are increased, but the ADR system is still needed to be studied more active.
      The copyright field, which can be linked to various fields, can be applied and utilized widely, so the legal issues of copyright should be processed flexibly. The increasing trend and the diversity of copyright related disputes imply the positive future of ADR of copyright in Korea. Based on strengths of ADR compared to lawsuit system, economical and efficient, this paper analyzed current copyright dispute mediation system in Korea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s based on efficiency, expertise, aware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이 독창적으로 담기는 과정을 거쳐 표현된 것이며,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저작물은 지식재산이라는 분류로써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세상에서 저작물과 관련된 분쟁은 그 해결에 있어 시의성의 문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조속한 저작권 분쟁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저작권과 관련된 분쟁에서도 소송이 더 선호되는 편이며, 이로 인하여 저작권 분야에서의 ADR은 아직 활성화가 되지 않은 현실에 처해있다.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라는 명칭으로 존재하던 1987년부터 저작권과 관련된 조정 업무를 수행하여 왔으나, 아직까지도 백 단위의 분쟁 조정 신청만이 접수되었다는 점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십수 년 전까지만 해도 ADR이라는 개념을 상세히 다룬 학문적 연구 성과가 소수에 불과하였으며 최근에서야 관련 연구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는 현실은 ADR이 앞으로 양적으로든 질적으로든 더욱 활발히 논의되어야 할 것이라는 숙제를 남겼다.
      다양한 분야와 연계될 수 있는 저작권 분야는 그 응용과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여타 분야와 달리 유연한 대처를 필요로 한다. 저작권 관련 분쟁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규모 또한 더욱 다양해진다는 점에서 ADR은 저작권의 특성인 확장성과 관련하여 저작권 분야에서 그 빛을 상당히 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한, 시간 및 비용과 관련하여 ADR이, 그 중에서도 조정 제도가 기존의 소송 제도에 비해 대단히 주목할 만한 경제성과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저작권 분야와 관련하여 시행 중인 저작권 분쟁 조정 제도를 분석하고 효율성 향상, 전문성 강화, 인식 제고 차원에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효율성과 관련해서는 수수료 조정과 신기술의 적극적인 활용 등으로써, 전문성과 관련하여서는 충분한 전문 인력 양성과 절차의 세분화 등으로써, 인식과 관련해서는 광범위한 홍보와 교육 확대 등으로써 그 변화를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이 독창적으로 담기는 과정을 거쳐 표현된 것이며,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저작물은 지식재산이라는 분류로써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급변하...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이 독창적으로 담기는 과정을 거쳐 표현된 것이며,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저작물은 지식재산이라는 분류로써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세상에서 저작물과 관련된 분쟁은 그 해결에 있어 시의성의 문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조속한 저작권 분쟁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저작권과 관련된 분쟁에서도 소송이 더 선호되는 편이며, 이로 인하여 저작권 분야에서의 ADR은 아직 활성화가 되지 않은 현실에 처해있다.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라는 명칭으로 존재하던 1987년부터 저작권과 관련된 조정 업무를 수행하여 왔으나, 아직까지도 백 단위의 분쟁 조정 신청만이 접수되었다는 점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십수 년 전까지만 해도 ADR이라는 개념을 상세히 다룬 학문적 연구 성과가 소수에 불과하였으며 최근에서야 관련 연구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는 현실은 ADR이 앞으로 양적으로든 질적으로든 더욱 활발히 논의되어야 할 것이라는 숙제를 남겼다.
      다양한 분야와 연계될 수 있는 저작권 분야는 그 응용과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여타 분야와 달리 유연한 대처를 필요로 한다. 저작권 관련 분쟁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규모 또한 더욱 다양해진다는 점에서 ADR은 저작권의 특성인 확장성과 관련하여 저작권 분야에서 그 빛을 상당히 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한, 시간 및 비용과 관련하여 ADR이, 그 중에서도 조정 제도가 기존의 소송 제도에 비해 대단히 주목할 만한 경제성과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저작권 분야와 관련하여 시행 중인 저작권 분쟁 조정 제도를 분석하고 효율성 향상, 전문성 강화, 인식 제고 차원에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효율성과 관련해서는 수수료 조정과 신기술의 적극적인 활용 등으로써, 전문성과 관련하여서는 충분한 전문 인력 양성과 절차의 세분화 등으로써, 인식과 관련해서는 광범위한 홍보와 교육 확대 등으로써 그 변화를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배, "한국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의 제도화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251-274, 2005

      2 정미영, "지적재산권 분쟁해결을 위한 ADR의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21 (21): 443-469, 2013

      3 정소현, "지적재산권 분쟁해결을 위한 ADR의 개선방안" 세창출판사 (84) : 2016

      4 김상찬, "지적재산권 분쟁의 ADR에 의한 해결" 한국법학회 (47) : 95-121, 2012

      5 문혜정, "지적재산권 분쟁과 ADR에 의한 분쟁해결에 관한 연구: Apotex Inc. v. United States of America 사건을 중심으로" 과학기술법연구원 19 (19): 25-54, 2013

      6 정문성, "지식재산권 분쟁시 바람직한 대체적 분쟁해결 제도(ADR)"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 (9): 287-297, 2015

      7 한국저작권위원회, "조정의 개념 및 효력 > 제도안내 > 분쟁 조정 > 한국저작권위원회 업무포털"

      8 한국저작권위원회, "조정 비용 > 제도안내 > 분쟁 조정 > 한국저작권위원회 업무포털"

      9 남형두,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조정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법조협회 53 (53): 119-195, 2004

      10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작권 통계"

      1 김경배, "한국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의 제도화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251-274, 2005

      2 정미영, "지적재산권 분쟁해결을 위한 ADR의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21 (21): 443-469, 2013

      3 정소현, "지적재산권 분쟁해결을 위한 ADR의 개선방안" 세창출판사 (84) : 2016

      4 김상찬, "지적재산권 분쟁의 ADR에 의한 해결" 한국법학회 (47) : 95-121, 2012

      5 문혜정, "지적재산권 분쟁과 ADR에 의한 분쟁해결에 관한 연구: Apotex Inc. v. United States of America 사건을 중심으로" 과학기술법연구원 19 (19): 25-54, 2013

      6 정문성, "지식재산권 분쟁시 바람직한 대체적 분쟁해결 제도(ADR)"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 (9): 287-297, 2015

      7 한국저작권위원회, "조정의 개념 및 효력 > 제도안내 > 분쟁 조정 > 한국저작권위원회 업무포털"

      8 한국저작권위원회, "조정 비용 > 제도안내 > 분쟁 조정 > 한국저작권위원회 업무포털"

      9 남형두,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조정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법조협회 53 (53): 119-195, 2004

      10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작권 통계"

      11 조재신, "저작권 분쟁조정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소 37 (37): 343-369, 2017

      12 이동기, "저작권 분쟁의 중재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30 (30): 63-93, 2017

      13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 분쟁조정 결정 추이 및 동향 분석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

      14 김상찬, "우리나라의 스포츠 분쟁 해결에 있어 ADR의 활성화 방안" 법과정책연구원 25 (25): 1-24, 2019

      15 김상수, "우리나라 대체적분쟁해결제도(ADR)의 성과와 발전방향" 언론중재위원회 (겨울) : 2009

      16 사법정책연구원, "온라인 분쟁해결(ODR)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18

      17 조용순, "산업보안 ADR 제도 개선방안 연구- 산업보안 관련 법률 및 주요국등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10 (10): 111-146, 2020

      18 한국저작권위원회, "분쟁 조정 신청 > 분쟁 조정 신청 > 신청 > 문의·신청 > 한국저작권위원회 업무포털"

      19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민사소액재판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2017

      20 유병현, "미국의 소송대체분쟁해결제도(ADR)의 현황과 그 도입방안" 한국민사소송법학회 13 (13): 490-524, 2009

      21 서순복, "미국의 법원부속형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니 재판(Mini Trial)과 조기중립평가(Early Neutral Evaluation)를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26 (26): 163-198, 2015

      22 캐슬린 김, "미국, 저작권 소액 손해배상 청구에 대한 대체적분쟁해결제도 도입" 한국저작권위원회 (305) : 2020

      23 법률저널, "문강분의 미국 대안적 분쟁해결(ADR) 제도 (4) - 법률저널"

      24 "대법원 2017. 11. 9. 선고 2014다49180판결"

      25 이주연, "국제 지식재산권 분쟁해결을 위한 중재의 활성화 방안 - 국내 ADR 기관의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중재학회 23 (23): 165-190, 2013

      26 이상정, "국내외 ADR제도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2010

      27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내외 ADR제도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2010

      28 서울Pn, "[서울Pn] 미등록 유명상표 도용·아이디어 탈취도 산업재산권 분쟁 조정"

      29 U.S. Copyright Office, "U.S. Copyright Office"

      30 황정훈, "ADR의 헌법적 수용을 위한 담론 - 중남미 법제를 중심으로 -" 유럽헌법학회 (31) : 401-426, 2019

      31 조홍준, "ADR의 社會統合的 機能" 한국법학원 134 (134): 187-224, 2013

      32 정미영, "ADR을 통한 지적재산권 분쟁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33 신군재, "ADR을 통한 지식재산권분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29 (29): 383-403, 2014

      34 김선정, "ADR을 통한 저작권분쟁 해결에 관한 검토" 한국중재학회 21 (21): 85-112, 2011

      35 법무부, "ADR기본법 제정방향 및 현행 ADR기구의 합리적 운영방안" 법무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2015

      36 박철규, "ADR(대체적 분쟁해결)의 정착을 위한 중립인(neutrals)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70) : 409-438, 2016

      37 대한상사중재원, "2019년 클레임 통계"

      38 한국인터넷진흥원, "2019년 온라인광고 분쟁조정 사례집"

      39 한국저작권위원회, "2019 한국저작권위원회 통계집"

      4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전자거래분쟁조정 사례집"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8-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저작권위원회 -> 한국저작권위원회
      영문명 : Copyright Commission -> Korea Copyright Commiss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4 0.63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