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필사본 고소설 〈왕현전〉연구 = A Study on〈WanghyunJun〉, copying version ancient no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7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왕현전>은 한글 필사본 고소설로서 현재 2종의 이본이 전한다. <왕현전>은 주인공의 만득자 출생, 간신의 참소로 인한 가족 간의 분리와 시련, 도사로부터의 수학 및 대결력 획득, ...

      <왕현전>은 한글 필사본 고소설로서 현재 2종의 이본이 전한다. <왕현전>은 주인공의 만득자 출생, 간신의 참소로 인한 가족 간의 분리와 시련, 도사로부터의 수학 및 대결력 획득, 양병한 군사들의 출전, 외적과의 대격전 및 무공, 조국의 재건과 가족 회복 등 서사 전개양상이 <유충렬전> 유형의 영웅 소설과 비슷하다. 그러나 충신과 간신의 갈등이나 가족의 시련 등은 약화된 반면, 明과 金으로 설정된 국가 간의 쟁투가 매우 강화되어 있다. 작품에는 두 차례의 대규모 전쟁이 설정되어 있는데, 제1차 대전에서 호적들은 明을 멸망시키고 金을 세운다. 그때 명황제는 신하들과 도피생활을 하고 왕현을 비롯한 일련의 영웅들은 해중 고도에서 양병을 한다. 그런 다음 제2차 전쟁에서 왕현 등은 장기간의 격전 끝에 金을 패망시키고 明을 회복?재건한다. 이와 같이 <왕현전>은 국가 간의 쟁투를 골격으로 하는데, 그 국가 간의 쟁투가 明·金간에 이루어지고, 그 과정에서 작가는 大明회복의식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17 · 18세기 조선조 사회에서 팽배했던 대명의리론, 중화회복의식 등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왕현전>의 작품 속 주인공들은 아군, 적군 관계없이 모두 역사적 실존인물이 재생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도 주요한 특징이다. 명나라 측의 왕현, 왕충, 울진필, 진옥 등은 각각 관평, 관흥, 장비, 조자룡의 재생인물이고, 호적 장수들인 호천통, 철통골, 벽역 등은 각각 항우,조조, 손권의 재생인물이다. 작품은 이들의 대결에서 최종적으로 왕현 측이 승리하여 明을 재건하는 것으로 전개한다. 이처럼 대결 주축들을 역사영웅의 재생으로 설정한 것은 국가 간의 쟁투를 강화하기 위한 장치로 여겨진다. 또한 전쟁에서 蜀漢인물의 재생인 왕현 측이 승리를 거두고 明을 재건하는 것은 明이 촉한의 정통성을 계승한 나라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왕현전>에는 17?18세기 조선조 사회의 주류 이념이었던 明나라 중심의 정통론이 일정하게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왕현전>은 인물형상이나 서사구조, 모티프 등에서 조선후기에 유통된 유명 작품들, 즉 <사씨남정기>, <구운몽>, <창선감의록>, <숙향전>, <조웅전> 등의 전대 작품의 영향을 많이 받아 형성되었다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anghyunJun〉 is Hangul copying novel of Josun latter period. Now it is two versions. In content and style, 〈WanghyunJun〉 belong to hero novel style of Josun latter period. It is proved through next facts. Namely, protagonist is born begetting...

      〈WanghyunJun〉 is Hangul copying novel of Josun latter period. Now it is two versions. In content and style, 〈WanghyunJun〉 belong to hero novel style of Josun latter period. It is proved through next facts. Namely, protagonist is born begetting a child in parent later years, loyalist is chased border areas because of condemnation on villainous retainer, family of protagonist is faced suffering, protagonist correct villainous retainer by confrontation power and recovers national rights, the betrothal and betrothal obstacle of protagonist appear in work, family of protagonist meet again and they come to happiness. Especially 〈WanghyunJun〉 belong to 〈YoochungnyulJun〉 style. But conflict of loyalist and villainous retainer has weakened, suffering of families has weakened. En revanche, racial battle, that is battle between Ming(明) and Jin(金) is emphasized. Twice large scale battle is set in work. The foreign enemy have the overthrow Ming on the first battle. And the foreign enemy found Jin. After that, emperor of Ming escaped in deep mountains with vassals. And heroes, including Wanghyun, trained military forces on isolated island in the sea. And then in the second battle, heroes, including Wanghyun, had the overthrow Jin through fighting of long terms. And they restored Ming. Like this, 〈WanghyunJun〉is based on racial battle, that battle happened between Ming and Jin. Writer of 〈WanghyunJun〉 expressed Sinocentrism in battle story structure. In this writer consciousness, it is reflected thought and ideal of Josun latter period.
      The character of〈WanghyunJun〉is all recycling reclamation of historic existent persons. In Ming nation, Wanghyun is recycling reclamation of Gwanpyung, Wangchung is recycling reclamation of Gwanheung, Uljinphil is recycling reclamation Jangbi, Jinok is recycling reclamation Jojaryong. Also in Jin, Hochuntong is recycling reclamation of Hangwoo, Chultonggol is recycling reclamation of Jojo, Byukyuk is recycling reclamation of Songwon. From among these, Gwanpyung, Gwanheung, Jangbi, Jojaryong was ShuHan (蜀漢) persons. In work, writer composed of work with battle of this both parties, and finally Ming gain the battle Jin. Therefore victory of heroes, including Wanghyun, equals victory of ShuHan persons. In the composition of these, writer emphasized Sinocentrism of ShuHan legitimacy.
      In character figure, narrative structure, motif, 〈WanghyunJun〉 was created on influence of previous generation works in the Josun period. That is, 〈WanghyunJun〉 was effected 〈Sassinamjunggi〉, 〈Guunmong〉, 〈Changsungamuirok〉,〈SukhyangJun〉, 〈JoungJun〉 et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왕현전〉의 경개와 이본
      • Ⅲ.〈왕현전〉의 작품 세계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왕현전〉의 경개와 이본
      • Ⅲ.〈왕현전〉의 작품 세계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월촌문헌연구소, "한글필사본 고소설 자료 총서 37권" 오성사, 1986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6권" 웅진출판사, 1991

      3 이래종, "창선감의록"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3

      4 이헌홍, "조웅전 적성의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6

      5 이지영, "장풍운전 최현전 소대성전을 통해 본 초기 영웅소설 전승의 행방" 고소설연구 10 : 5 ~ 42, 2000

      6 김희영, "이야기중국사 3" 청아출판사, 2006

      7 姜祥淳, "영웅소설의 形成과 變貌 樣相 연구 : 敍事構造와 人物 形象化의 樣相을 中心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8 박일용, "영웅소설 하위 유형의 이념 지향과 미학적 특징" 국문학연구 (7) : 125 ~ 152, 2002

      9 김기동, "안락국전 유충렬전 음양삼태성" 서문당, 1994

      10 조용호, "숙향전의 구조와 의미" 고전문학연구 7 : 242 ~ 278, 1992

      1 월촌문헌연구소, "한글필사본 고소설 자료 총서 37권" 오성사, 1986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6권" 웅진출판사, 1991

      3 이래종, "창선감의록"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3

      4 이헌홍, "조웅전 적성의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6

      5 이지영, "장풍운전 최현전 소대성전을 통해 본 초기 영웅소설 전승의 행방" 고소설연구 10 : 5 ~ 42, 2000

      6 김희영, "이야기중국사 3" 청아출판사, 2006

      7 姜祥淳, "영웅소설의 形成과 變貌 樣相 연구 : 敍事構造와 人物 形象化의 樣相을 中心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8 박일용, "영웅소설 하위 유형의 이념 지향과 미학적 특징" 국문학연구 (7) : 125 ~ 152, 2002

      9 김기동, "안락국전 유충렬전 음양삼태성" 서문당, 1994

      10 조용호, "숙향전의 구조와 의미" 고전문학연구 7 : 242 ~ 278, 1992

      11 차충환, "숙향전의 구조와 세계관" 고전문학연구 15 : 242 ~ 278, 1992

      12 이래종, "사씨남정기" 태학사, 1999

      13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대출판부, 1985

      14 허태용, "17세기 중?후반 중화회복의식의 전개와 역사인식의 변화" 한국사연구 (134) : 75 ~ 109, 2006

      15 허태용, "17세기 말∼18세기 초 中華繼承意識의 형성과 正統論의 강화" 진단학보 (103) : 59 ~ 85,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