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활성탄을 이용한 낙동강 상수원수의 수처리 효과 = Efficiency of Activated Carbon Treatment Processing on Raw Water Purification for Nakdong Ri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232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상수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낙동강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활성탄처리에 의한 공탐체류시간 및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

      상수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낙동강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활성탄처리에 의한 공탐체류시간 및 활성탄 여층 깊이에 따른 수처리 효율과 생물활성탄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탑체류시간(EBCT)에 따른 수처리 효율은 EBCT가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나 운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활성탄 흡착능력은 감소되어 처리효율도 서서히 감소하였다. 활성탄 여층깊이에 따른 pH 변화는 활성탄 층 깊이에 따라 거의 없었으며, D0는 활성탄 층 깊이가 깊을수록 서서히 감소하였다. KMnO^4 소비량, UV254 흡광물질 DOC 및 THMFP 처리효율은 활성만 표층으로부터 하부로 내려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운전시간이 경과할수록 활성탄 상층부에 형성되어 있던 흡착대파 하부로 이동하였다. DOC의 상당 부분이 활성탄여과지에 서식하는 미생물 작용에 의해 분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전개시 126일 후의 BAC에서 활성탄 표층으로 부터깊이 20 cm 부근에 미생물이 1.1*10^7 cell/cm^3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생물활성탄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of the advanced drinking water treatment using mated carbon process. For raw water, Nakdong river was used. From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of the advanced drinking water treatment using mated carbon process. For raw water, Nakdong river was used. From the activated carbon adsorption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efficiency of water treatment enhanced with increase in empty bed contact time. Variation of pH was not detected to the bed depth, but DO content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bed depth, Removal efficiency of KMnO₄ consumption, UV254 absorption, DOC and THMFP also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in the bed depth. Transition of adsorption zone from upper parts of the bed to the lower parts were detected as treatment periods increased. Large portion of DOCs were degraded and removed by the microbes growing on the surface of activated carbons. Cell numbers of microbes were estimated over 1.1 × 10 exp(7) cell/㎤ at the depth of 20 ㎝ from the surface 126 days after starting operation. The results shown that the activated carbon filter was successfully acted as a biofilm filt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