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계 김장생의 예학과 사회정치사상 = Sa-gye Kim Jang-saeng`s the Rye-hak or a study of Rites and his socio-political thou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92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장생은 이이의 학맥을 이어서 기호학파 또는 율곡학파의 문호를 연 인물이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특히 예학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김장생은 이이의 성리학과 송익필의 예학을 계승...

      김장생은 이이의 학맥을 이어서 기호학파 또는 율곡학파의 문호를 연 인물이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특히 예학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김장생은 이이의 성리학과 송익필의 예학을 계승하여 자신의 예학체계를 완성하였다. 김장생의 예학이론은 『상례비요』, 『가례집람』, 『의례문해』, 『전례문답』의 사부작에 들어 있다. 김장생은 이들 예서에서 자신의 실용적, 합리적, 주체적 예학 이론을 피력하였다. 김장생은 인조반정 뒤 집권한 서인의 정신적 지주로서 새로운 조선의 기틀을 예로써 확립하려고 노력하였다. 당시 점점 심각해지던 사회경제적인 모순에 대해서도 개혁을 시도하였다. 김장생 예학의 특성은 예의 보편성과 현실성의 조화를 이루고 국가전례에서도 종통을 확립함으로써 사적 예와 공적 예를 일관된 정신으로 묶으려고 한 것이다. 김장생은 종법의 확립을 통한 예제질서를 구축하여 인의와 예가 지배하는 사회를 꿈꾸었다. 그런 점에서 김장생의 예학은 조선사회를 새로이 구성하는 기획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Jang-saeng was the most famous scholar who succeeded in following Yi-i(李珥)`s studies and established the Ki-ho Schools or Yul-gok Schools in Cho-seon dynasty. In the Rye-hak(禮學 or a study of Rites), his academic achievements were distincti...

      Kim Jang-saeng was the most famous scholar who succeeded in following Yi-i(李珥)`s studies and established the Ki-ho Schools or Yul-gok Schools in Cho-seon dynasty. In the Rye-hak(禮學 or a study of Rites), his academic achievements were distinctively demonstrated. He explored Yi-i`s Neo-confucian theory and Song Ik-pil(宋翼弼)`s Rye-hak and accomplished his own system of Rye-hak. His theories of Rye-hak were appeared in Sang-rye bi-yo(喪禮備要), Ka-rye jip-ram(家禮輯覽), Ui-rye mun-hae(疑禮問解) and Jeon-rye mun-dap(典禮問答) of a tetralogy. In the tetralogy, Kim demonstrated his practical, rational, and subjective theories of the Rye-hak. As an ideologue of Seo-in party, which held the political power of Cho-seon after the revolution of the King In-jo, Kim aspired to set up a new political system of Cho-seon in the pursuit of the Rye. He also tried to reform the severe socio-economic problems issues and matters that the Cho-seon was facing in those years. Kim particularly tried to harmonize th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Rye and in so doing it, he attempted to combine unify the individual or private with the public sides of Ryes. He also made developed a comprehensively full-fledge theory of Rye for the royal. He dreamt of a society which could had been possibly governed by the In-ui(仁義 or Humanity and Justice) and the Rye. What Kim`s Rye-hak envisioned, therefore, a master-plan of new society of Cho-se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