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동물 名物詞 구조에 대한 小考 = 중국 동물 名物詞와의 비교를 통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10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어의 기원과 체계가 다른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고대부터 인류 주변에서 생활하면서 함께 했던 동물에 대한 命名法에는 공통점이 존재 한다. 한중 양국 선민들 모두 주변 동물에 대한 인상...

      언어의 기원과 체계가 다른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고대부터 인류 주변에서 생활하면서 함께 했던 동물에 대한 命名法에는 공통점이 존재 한다. 한중 양국 선민들 모두 주변 동물에 대한 인상을 근거로 하여 동물 名物詞를 구성하였다. 양국 동물 名物詞의 근거는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동물의 소리와 색·형태·속성·생활환경이다. 이 5가지 이외에 한중교류와 한국어의 漢字語 사용 특색으로 인해 한국어에는 순수 한국어 외에도 일부 漢字를 활용한 동물 名物詞가 나타난다.
      한중 양국의 동물 名物詞의 구조를 분석하면 동물 이름의 근거가 되는 동물특성 내용이 일치하는 것도 있고 차이를 나타내는 것도 있다. 차이는 언어체계와 환경이 다른 양국 선인들의 동물에 대한 인식과 동물과의 생활방식 및 언어의 표현방식의 차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그 속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命名의 근거는 양국의 문화교류뿐만 아니라 인류의 사물에 대한 심미관적 공통점을 나타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and Chinese share common nomenclature of animals that are in close relation with human since ancient times. Both Korean and Chinese animal nouns based on the impression of those animals. There are four parts in animal nouns in both languages: S...

      Korean and Chinese share common nomenclature of animals that are in close relation with human since ancient times. Both Korean and Chinese animal nouns based on the impression of those animals. There are four parts in animal nouns in both languages: Sound, Shape, Attribute and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to four parts, Korean use both pure Korean based animal nouns and Chinese character based animal nouns as Korean uses Sino-Korean words and also due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n and Chinese language structure analysis in animal nouns shows that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rernces in description of animal characteristics used in naming animal nouns. The differences are miniature of Korean and Chinese different life style, different environment, different language system and similarities are due to the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More importantly similarities also reflect the common aesthetic standard human beings hold for things around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한국 동물 名物詞에 나타난 어음 및 의미관계
      • Ⅲ.나오는 말
      • 【參考文獻】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한국 동물 名物詞에 나타난 어음 및 의미관계
      • Ⅲ.나오는 말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戴侗, "六書故" 驪江出版社 1988

      2 박창원, "훈민정음・訓民正音 영인본" 신구문화사 1968

      3 하정룡, "교감 역주 삼국유사" ㈜시공사 2003

      4 진류, "韓國 漢字語 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2012

      5 愼以行, "譯語類解" 서울대학교 奎章閣 2005

      6 許愼, "說文解字注" 黎明文化事業公司 1974

      7 王寧, "訓詁學原理" 中國國際廣播出版社 1996

      8 崔世珍, "訓蒙字會" 弘文閣 1985

      9 王先謙, "荀子集解" 上海書店 1986

      10 上海古籍出版社, "爾雅、廣雅、方言、釋名 清疏四種" 上海古籍出版社 1989

      1 戴侗, "六書故" 驪江出版社 1988

      2 박창원, "훈민정음・訓民正音 영인본" 신구문화사 1968

      3 하정룡, "교감 역주 삼국유사" ㈜시공사 2003

      4 진류, "韓國 漢字語 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2012

      5 愼以行, "譯語類解" 서울대학교 奎章閣 2005

      6 許愼, "說文解字注" 黎明文化事業公司 1974

      7 王寧, "訓詁學原理" 中國國際廣播出版社 1996

      8 崔世珍, "訓蒙字會" 弘文閣 1985

      9 王先謙, "荀子集解" 上海書店 1986

      10 上海古籍出版社, "爾雅、廣雅、方言、釋名 清疏四種" 上海古籍出版社 1989

      11 王力, "漢語語音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5

      12 王力, "漢語史稿" 中華書局 1980

      13 劉興均, "漢語、壯語和韓語動物類名物詞音義關係初探" 2007

      14 刘丽燕, "漢英名物詞基義釋義比較" (06) : 2009

      15 李時珍, "本草綱目" 中國書店 1998

      16 國史編纂委員會, "朝鮮王朝實錄" 國史編纂委員會 1955

      17 北京大學東語系朝鮮語敎硏室, "朝漢詞典" 商務印書館 1978

      18 尹五榮, "新譯荀子" 玄岩社 1976

      19 章太炎, "國故論衡" 上海古籍出版社 2003

      20 林慶勳, "古音學入門" 臺灣學生書局 1989

      21 裵大溫, "古代韓國語槪說" 螢雪出版社 2005

      22 藝文印書館印行, "十三經注疏3・周禮" 藝文印書館 1997

      23 朱文俊, "人類語言論題研究" 北京語言大學出版社 2000

      24 何九盈, "中國漢字文化大觀" 北京大學出版社 1995

      25 劉興均, "“名物”的定義與名物詞的確定" 1998

      26 劉興均, "'周禮'名物詞研究" 巴蜀書社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4 0.507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