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 The Relations among Nurtural Stress, and a Mother's Perception of a Father's Participation and nurturing 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6380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2012. 8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0.15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Relations among Nurtural Stress, and a Mother's Perception of a Father's Participation and nurturing efficacy

      • 형태사항

        iv, 60 장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41-46

      • 소장기관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논 문 개 요

      산업화와 여성의 사회진출로 자녀양육이 부모 공동의 관심사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가정에서는 어머니가 주 양육자의 몫을 하고 있다. 특히 유아기는 아동 발달의 결정적인 시기로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그러나 핵가족화로 양육에 대한 다른 가족원의 지지체계가 줄어들어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없다면 어머니는 양육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본 연구는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는 Abidin(1983)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를 김현미(2004)가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일상생활에서 아버지가 자녀의 양육에 얼마나 참여하는지를 조사하는 도구로서 최경순(1992)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양육효능감은 Floyd, Gilliom과 Costigan(1998)의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를 안지영(2001)이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녀의 성별이 남아일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는 어머니 교육수준, 자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 때, 자녀수가 적을 때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자녀의 성별, 아버지 교육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녀의 성별이 여아일 때,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 때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β=-.31, p<.01)과 어머니의 고통(β=-.25, p<.01)이,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 중 생활지도(β=.23, p<.05)와 인지적 성취지도(r=.16, p<.05)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자녀가 새로운 자극이나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낮고, 수면·식사·배설에 관련된 생리적 기능의 주기가 불규칙적일수록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자신감과 기대는 낮아질 것이라고 본다. 이에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의 우울, 역할 제한, 남편과의 문제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낮으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아버지가 자녀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을 지도해 주는 것으로 양육에 참여를 해주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논 문 개 요 산업화와 여성의 사회진출로 자녀양육이 부모 공동의 관심사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가정에서는 어머니가 주 양육자의 몫을 하고 있다. 특히 유아기는 아동 발달의 결정적...

      논 문 개 요

      산업화와 여성의 사회진출로 자녀양육이 부모 공동의 관심사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가정에서는 어머니가 주 양육자의 몫을 하고 있다. 특히 유아기는 아동 발달의 결정적인 시기로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그러나 핵가족화로 양육에 대한 다른 가족원의 지지체계가 줄어들어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없다면 어머니는 양육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진다.
      본 연구는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는 Abidin(1983)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를 김현미(2004)가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일상생활에서 아버지가 자녀의 양육에 얼마나 참여하는지를 조사하는 도구로서 최경순(1992)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양육효능감은 Floyd, Gilliom과 Costigan(1998)의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를 안지영(2001)이 번안,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녀의 성별이 남아일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는 어머니 교육수준, 자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 때, 자녀수가 적을 때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자녀의 성별, 아버지 교육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녀의 성별이 여아일 때,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 때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β=-.31, p<.01)과 어머니의 고통(β=-.25, p<.01)이,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 중 생활지도(β=.23, p<.05)와 인지적 성취지도(r=.16, p<.05)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자녀가 새로운 자극이나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낮고, 수면·식사·배설에 관련된 생리적 기능의 주기가 불규칙적일수록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자신감과 기대는 낮아질 것이라고 본다. 이에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의 우울, 역할 제한, 남편과의 문제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낮으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아버지가 자녀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을 지도해 주는 것으로 양육에 참여를 해주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Relations among Nurtural Stress,
      and a Mother's Perception of a Father's Participation
      and nurturing efficacy

      Pyo, Yoon-Kyung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Major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Woman's University

      Although the nurturing of children is a mutual interest for both parents in the world of industrialization and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the main nurturer in the family still remains to be the mother; especially in the early childhood phase where the mother's influence sets in deep within the child. Due to the era of nuclear family, the support system within the family has diminished. So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in the nurturing process, it is predictable that mothers are expected to show difficulties in the nurturing of their chi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 series of questions asked to mothers who are currently nurturing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erception of the father's nurture participation as well as nurtural stress and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The 'nurtural stres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modified index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 developed by Abidin(1983), adapted by Kim Hyun Mi (2004), an experiment for the nurtural participation of the father under the awareness of the mother was conducted with the index created by Choi Kyung Soon (1992), to find out how much the father helps out in the family during daily life, and the measurement of the final nurturing efficacy was conducted with Floyd, Gilliom, and Costigan's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1998), adapted by An Ji Young (2001).
      The summary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hild. To be more specific, the mother's stress seemed to be more intense when the child that she nurtures is a male.
      Secondly,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the number of children nurture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mother's percep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nurturing. Specifically, if the mother has received a higher form of education and if the number of children nurtured is smaller, the father seems to be more active in the participation of nurturing.
      Thirdly,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and the father's educational level. To elaborate,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was high when the child's gender was female and the father's educational level was high.
      Fourthly, nurturing stress and the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a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the mothers nurtural stress and mother's nurturing efficacy a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Fifthly, in order to find out the variable elements that influence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mother's nurturing stress and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turned out,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that effected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were the child's specific temperament (β=-.31, p<.01) and the mother's suffering (β=-.25, p<.01), guidance from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nurturing participation (β=.23, p<.05) and sense of cognitive achievement (r=.16, p<.05). In other words, mother's confidence and expectation will decrease in nurturing if the child have low adaptability to fresh impetus and change, irregular physiological period like sleeping, eating, and excretion. On this, the child's specific temperament was the variable that effects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and the mother's efficacy will increase if the mother's depression, role limitation, and stress from issues with the husband were lower. Then if the father participate in nurturing such as guiding fundamental habits, it is predicted that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will increase.
      번역하기

      ABSTRACT The Relations among Nurtural Stress, and a Mother's Perception of a Father's Participation and nurturing efficacy Pyo, Yoon-Kyung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Major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W...

      ABSTRACT

      The Relations among Nurtural Stress,
      and a Mother's Perception of a Father's Participation
      and nurturing efficacy

      Pyo, Yoon-Kyung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Major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Woman's University

      Although the nurturing of children is a mutual interest for both parents in the world of industrialization and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the main nurturer in the family still remains to be the mother; especially in the early childhood phase where the mother's influence sets in deep within the child. Due to the era of nuclear family, the support system within the family has diminished. So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in the nurturing process, it is predictable that mothers are expected to show difficulties in the nurturing of their chil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 series of questions asked to mothers who are currently nurturing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erception of the father's nurture participation as well as nurtural stress and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The 'nurtural stres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modified index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 developed by Abidin(1983), adapted by Kim Hyun Mi (2004), an experiment for the nurtural participation of the father under the awareness of the mother was conducted with the index created by Choi Kyung Soon (1992), to find out how much the father helps out in the family during daily life, and the measurement of the final nurturing efficacy was conducted with Floyd, Gilliom, and Costigan's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1998), adapted by An Ji Young (2001).
      The summary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hild. To be more specific, the mother's stress seemed to be more intense when the child that she nurtures is a male.
      Secondly,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the number of children nurture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mother's percep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nurturing. Specifically, if the mother has received a higher form of education and if the number of children nurtured is smaller, the father seems to be more active in the participation of nurturing.
      Thirdly,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and the father's educational level. To elaborate,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was high when the child's gender was female and the father's educational level was high.
      Fourthly, nurturing stress and the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a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the mothers nurtural stress and mother's nurturing efficacy a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Fifthly, in order to find out the variable elements that influence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mother's nurturing stress and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participation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turned out,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that effected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were the child's specific temperament (β=-.31, p<.01) and the mother's suffering (β=-.25, p<.01), guidance from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nurturing participation (β=.23, p<.05) and sense of cognitive achievement (r=.16, p<.05). In other words, mother's confidence and expectation will decrease in nurturing if the child have low adaptability to fresh impetus and change, irregular physiological period like sleeping, eating, and excretion. On this, the child's specific temperament was the variable that effects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and the mother's efficacy will increase if the mother's depression, role limitation, and stress from issues with the husband were lower. Then if the father participate in nurturing such as guiding fundamental habits, it is predicted that the mother's nurturing efficacy will increa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 2. 연구문제--------------------------------------------5
      • 목 차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 2. 연구문제--------------------------------------------5
      • 3. 용어정리--------------------------------------------6
      • Ⅱ. 이론적 배경
      • 1. 양육스트레스----------------------------------------7
      • 1. 아버지 양육참여-------------------------------------9
      • 3. 양육효능감 -----------------------------------------11
      • 4. 양육스트레스,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 의 관계----------------------------------------------12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16
      • 2. 측정도구-------------------------------------------18
      • 3. 연구절차-------------------------------------------21
      • 4. 자료분석-------------------------------------------21
      • 5. 연구모형-------------------------------------------22
      • Ⅳ. 연구결과
      • 1.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차이--23
      • 2.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른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
      • 여의 차이------------------------------------------25
      • 3.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른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차이----28
      • 4.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
      • 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30
      • 5.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가 어머
      • 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32
      • Ⅴ. 논의 및 결론
      • 1. 논의-----------------------------------------------35
      • 2. 결론 및 제언---------------------------------------39
      • 참고문헌---------------------------------------------41
      • 부록-------------------------------------------------47
      • ABSTRACT------------------------------------------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