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자체 농촌마을 공동급식의 실태와 과제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5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농촌마을의 과소 · 고령화의 심화로 인해 마을 공동급식(공동식사)의 필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더욱이 이 사업의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일부 지자체는 2012년부터 농번기에 한해 농촌마을 공...

      농촌마을의 과소 · 고령화의 심화로 인해 마을 공동급식(공동식사)의 필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더욱이 이 사업의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일부 지자체는 2012년부터 농번기에 한해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지역주민의 호응으로 전남도, 충남도 등 타 지자체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농촌마을 공동급식은 급식지원 인력, 운영 자금의 부족, 식사 관리 등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마을의 과소 · 고령화로 점점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농촌마을 공동급식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특히 농사일과 가사 노동이라는 이중의 부담을 앉고 있는 여성농민의 가사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고령농가의 고립과 음식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현재 실시되고 있는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 사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해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결론적으로 농촌마을 공동급식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자체가 농촌마을 공동급식 사업을 주민의 복지 증진 차원에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기간도 농번기에서 다른 시기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지자체가 농촌마을 공동급식을 공공급식의 영역으로 확대하고 이를 꾸준히 지원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population reduction and aging of rural villages, the need for community meals is increasing. In addition, due to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project, some local governments began the community meal support project in rural village in 2012...

      Due to the population reduction and aging of rural villages, the need for community meals is increasing. In addition, due to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project, some local governments began the community meal support project in rural village in 2012. Since then, it has been spreading to other local governments such as Jeonnam-do and Chungnam-do due to the response of local residents. However, village meals (community meals) suffer from various problems such as lack of meal management manpower, lack of operating funds, lack of meal meal management skill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mmunity meals in rural village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in the situation of losing vitality due to the aging and reduction of population in rural villages of Chungchengnam-do. In particular, the community meal support programs in rural villages by man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mplementing to alleviate the double burden of women farmers who are burdened with farming and household work, to solve the problems of isolation and food imbalances of older farmers, and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activities. In this background, we identified the problem and found ways to activate it.
      In conclusion, in order to revitalize community meals in the rural village,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expand the rural village common meal project in order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 residents, and the period needs to be expanded from the agricultural season to another period. Above all, it i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to expand the rural village community meals to the area of public meals and continue to support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지자체 정책 동향
      • Ⅲ. 연구 방법 및 분석틀
      • Ⅳ. 마을 공동급식(식사) 사례 분석: 청양, 홍성의 3개 마을
      • Ⅴ. 결론 및 과제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지자체 정책 동향
      • Ⅲ. 연구 방법 및 분석틀
      • Ⅳ. 마을 공동급식(식사) 사례 분석: 청양, 홍성의 3개 마을
      • Ⅴ. 결론 및 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급식신문, "횡성군, 농번기 마을 공동급식 시범 운영"

      2 경남도민신문, "합천군 마을급식 주방소독기구 지원사업 ‘인기’"

      3 경남일보, "함양군 농번기 마을 공동급식 확대 지원"

      4 김흥주, "학교급식과 로컬 푸드 : 한일 비교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87-139, 2013

      5 박경철, "충남도 농민인권 실태 및 정책과제" 충남연구원 2017

      6 박태신, "청양군 로컬푸드-학교급식(공공급식)-마을 공공급식 연계 방안"

      7 대한급식신문, "진주시. ‘마을 공동급식’ 부식비 지원 확대"

      8 이계임, "정부의 취약계층 농식품 지원체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9 김혜영B, "전남, 경북지역의 농한기 농촌 노인정 노인급식 적용과 기호도 조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319-330, 2009

      10 전북일보, "완주군, 농촌 공동급식지원사업 확대"

      1 대한급식신문, "횡성군, 농번기 마을 공동급식 시범 운영"

      2 경남도민신문, "합천군 마을급식 주방소독기구 지원사업 ‘인기’"

      3 경남일보, "함양군 농번기 마을 공동급식 확대 지원"

      4 김흥주, "학교급식과 로컬 푸드 : 한일 비교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87-139, 2013

      5 박경철, "충남도 농민인권 실태 및 정책과제" 충남연구원 2017

      6 박태신, "청양군 로컬푸드-학교급식(공공급식)-마을 공공급식 연계 방안"

      7 대한급식신문, "진주시. ‘마을 공동급식’ 부식비 지원 확대"

      8 이계임, "정부의 취약계층 농식품 지원체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9 김혜영B, "전남, 경북지역의 농한기 농촌 노인정 노인급식 적용과 기호도 조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319-330, 2009

      10 전북일보, "완주군, 농촌 공동급식지원사업 확대"

      11 김경미, "여성농업인에 대한 정책적 지원 강화 방안: 여성농업인 육성 5개년계획 평가와 제언을 중심으로" 12 (12): 29-44, 2005

      12 최윤지, "여성농업인 생산활동 지원정책으로서의 농가도우미제도 평가" 12 (12): 219-230, 2005

      13 서천군, "서천군 노인복지 향상을 위한 5개년 종합발전계획 수립" 2018

      14 최정화, "복지관 급식 이용 노인의 삶의 질과 급식만족도" 215-215, 2018

      15 농민신문, "마을 공동급식"

      16 이해진, "로컬푸드운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로 확장하기 - 농식품시티즌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6 (26): 7-48, 2016

      17 김동원, "농촌지역 마을회관 이용 실태 조사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18 임상봉, "농촌지역 독거노인 급식제공 방안 연구" 한국농어촌공사 2014

      19 윤정미,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충남연구원 2014

      20 강평년, "농촌 지역 공동급식 이용 노인의 요구도 및 만족도 조사" (사)한국조리학회 25 (25): 181-189, 2019

      21 최윤지, "농업인 부부의 생활시간 조사 분석" 14 (14): 231-247, 2007

      22 이수미, "농번기 마을 공동급식 사업 현황과 개선방안" 농업농민정책연구소 2017

      23 이영미, "노인을 위한 무료급식 제도에 대한 지역 주민의 의식조사: 성남시를중심으로" 2 (2): 246-255, 1997

      24 최다은, "노인급식을 통한 한국 노인의 점심식사의 질 평가" 152-153, 2018

      25 새전북신문, "남원시, 농번기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신청 소극적"

      26 "국가법령정보센터"

      27 광주매일신문, "곡성 110개 마을 농번기 공동급식 지원"

      28 정현영, "경로식당 급식서비스 운영관리 실태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 (8): 919-926, 2003

      29 전남일보, "道 농번기 마을 공동급식 만족도 86%… 내년 확대"

      30 동아일보, "“식사 준비 없이 영농에 집중” 농번기 마을공동급식 인기"

      31 Caroline Walker Trust, "Community Meals Service Review" RBKC 2009

      32 김종덕, "(서평)'학교급식 혁명' : 지속가능한 급식을 위한 안내서" 한국농촌사회학회 20 (20): 311-31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17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