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한국어 모음의 조음적 제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ticulatory Controls of the Korean Vow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92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crete nature of linguistic information is reflected on the articulatory processes which convert linguistic information into speech signal.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objective description of characteristics of articulatory control, s...

      The discrete nature of linguistic information is reflected on the articulatory processes which convert linguistic information into speech signal.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objective description of characteristics of articulatory control, simultaneous observation was made of jaw, tonque and lips in the articulation of isolated Korean vowels using both X-ray and ordinary photographs. Analysis of results confirmed the discrete nature of controls along each articulatory dimension. The ternary character of jaw control was confirmed using artificial gums as aids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of jaw opening angles.
      The position and the shape of tongue relative to mandible was quantified by approximating the tongue contour in the X-ray photograph by an ellipse, and the results indicated the ternary character of tongue control. The dependency of lip opening area on jaw opening was found to be almost linear but clearly indicated binary character of lip control, namely presence/absence of lip constr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언어정보로부터 음성신호로의 변환을 행하는 조음의 과정은 언어정보의 이산성을 반영하는데, 이것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부의 X선 사진과 안면의 ...

      언어정보로부터 음성신호로의 변환을 행하는 조음의 과정은 언어정보의 이산성을 반영하는데, 이것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부의 X선 사진과 안면의 정면, 측면사진의 촬영으로 한국어 단모음의 조음에 따른 턱, 혀, 입술의 동시 관측을 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므로서 각각 조음차원에서의 제어의 이산성을 명확히 하였다. 즉 턱의 열림각에 대해서는 그 제어가 3단계인 것을 확인하였고, 혀의 변위, 변형에 대해서는 턱을 고정한 좌표를 기준으로 혀의 윤곽의 주요부분을 근사하는 타원을 구하는 그의 위치와 기울기로부터 혀의 제어가 3단계인 것을 보였다. 또 입술에 관하여는 그 개구면적과 턱의 열림각의 관계로부터 입술의 적극적인 오므림의 유무의 2단계의 제어가 행하여 짐을 밝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두부(頭部) X선 사진 및 안면 사진의 동시 촬영에 의한 턱, 혀, 입술 제어의 관측
      • 3. 턱의 열림각의 측정[7, 8]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두부(頭部) X선 사진 및 안면 사진의 동시 촬영에 의한 턱, 혀, 입술 제어의 관측
      • 3. 턱의 열림각의 측정[7, 8]
      • 4. 혀의 위치와 형상의 측정
      • 5. 입술의 개구(開口) 면적의 측정.
      • 6. 한국어 모음체계의 조음적기술
      • 7.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