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스포츠생리학 : 유도선수에 있어 탈진운동이 항산화효소 활성도와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All-out Exercise on Antioxidant Enzymes Activity and MDA level in Judo Athlet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실험군)과 일반인들(비교군)의 운동 전 60분, 운동 직후, 회복기 60분의 채혈 시점에서 혈장 항산화 효소활동과 MDA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12명(실험군: 6명, 비교군: ...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실험군)과 일반인들(비교군)의 운동 전 60분, 운동 직후, 회복기 60분의 채혈 시점에서 혈장 항산화 효소활동과 MDA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12명(실험군: 6명, 비교군: 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Bruc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더 이상 운동을 할 수 없는 최대시점의 운동강도까지 트레드밀에서 점증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탈진운동 전·직후·회복기에 나타나는 혈장 항산화 효소(SOD, CAT, GPX)수준과 MDA수준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SOD는 탈진운동 직후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p< .01)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운동 전과 회복기에는 유의한(p >.05)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2) CAT는 탈진운동 직후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p< .05)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운동 전과 회복기에는 유의한(p >.05)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3) GPX는 탈진운동 직후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p< .05)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운동 전과 회복기에는 유의한(p >.05)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4) MDA는 탈진운동 직후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p< .05)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운동 전과 회복기에는 유의한(p >.05)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본 연구 결과에서 탈진운동 후 유도선수들과 일반인의 항산화 효소(SOD, CAT, GPX)수준과 과산화지질의 일종인 MDA는 영향을 받는데, 특히 탈진운동 직후에 유도선수집단의 항산화 효소 및 MDA수준은 일반인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탈진운동이 산화적 손상을 크게 하지만 규칙적인 훈련으로 인하여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nzymes(SOD, CAT, GPX)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s level(MDA) of Judo athletes who training regularly. To achieve the purpose, Twelve healthy young males(Judo: 6, Control: 6) were rec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nzymes(SOD, CAT, GPX)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s level(MDA) of Judo athletes who training regularly. To achieve the purpose, Twelve healthy young males(Judo: 6, Control: 6)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pre-exercise 60 minutes, post-exercise and recovery 60 minutes in which all subjects carried on maximal all-out exercise in treadmill.The analysis of data revealed as following: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1) in the SOD level between two groups in post-exerci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exercise and recovery 60 minutes.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the CAT level between two groups in post-exerci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exercise and recovery 60 minutes.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the GPX level between two groups in post-exerci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exercise and recovery 60 minutes.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the MDA level between two groups in post-exerci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exercise and recovery 60 minutes.In conclusion, antioxidant enzymes` level(SOD, CAT, GPX)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s level(MDA) of Judo athletes and control groups were affected by maximal all-out exercise. Especially, After maximal all-out exercise the antioxidant enzyme level and MDA level of Judo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t was revealed that Judo athletes were prone to injure by oxidative stress than control group. But we think they have stronger preventive system than that of control group.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