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첩 하이라이트를 활용한 컨셉 중심 요약 시스템의 UI/UX 디자인 = UI/UX Design for Concept-based Summarization System Using Overlapping Highli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4196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강대학교 대학원 , 아트&테크놀로지학과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02.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62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용순
        참고문헌: 61-62

      • UCI식별코드

        I804:11029-000000065829

      • 소장기관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들어 우리가 접하게 되는 텍스트 데이터는 다 읽어낼 수 없을 정도로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텍스트 요약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텍스트 요약에는 큰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요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
      우리가 텍스트를 요약할 때, 어떤 기준으로 텍스트를 요약하느냐에 따라 요약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약 결과의 차이를 불러일으키는 기준 요소를 통틀어 ‘컨셉’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요약 컨셉은 무수히 많기 때문에 자동 요약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없다.
      위와 같은 배경을 토대로 사람이 직접 수행하는 컨셉 중심 요약을 도와주는 시스템을 새로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중첩 하이라이트를 활용하여 새롭게 설계되었으며, 요약 결과는 일반적인 줄글 요약문의 형태가 아니라 원문과 요약 내용이 함께 어우러져 있는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사용자 70명을 대상으로 본 시스템의 UX 평가를 진행한 결과, 조작 편의성, 컨셉 전달성, 요약 효율성, 요약 가독성, 매력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다양한 컨셉 중심 요약 상황에서 활용 가치가 충분한 시스템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들어 우리가 접하게 되는 텍스트 데이터는 다 읽어낼 수 없을 정도로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텍스트 요약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텍스트 요약에는 ...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들어 우리가 접하게 되는 텍스트 데이터는 다 읽어낼 수 없을 정도로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텍스트 요약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텍스트 요약에는 큰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요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
      우리가 텍스트를 요약할 때, 어떤 기준으로 텍스트를 요약하느냐에 따라 요약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약 결과의 차이를 불러일으키는 기준 요소를 통틀어 ‘컨셉’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요약 컨셉은 무수히 많기 때문에 자동 요약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없다.
      위와 같은 배경을 토대로 사람이 직접 수행하는 컨셉 중심 요약을 도와주는 시스템을 새로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중첩 하이라이트를 활용하여 새롭게 설계되었으며, 요약 결과는 일반적인 줄글 요약문의 형태가 아니라 원문과 요약 내용이 함께 어우러져 있는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사용자 70명을 대상으로 본 시스템의 UX 평가를 진행한 결과, 조작 편의성, 컨셉 전달성, 요약 효율성, 요약 가독성, 매력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다양한 컨셉 중심 요약 상황에서 활용 가치가 충분한 시스템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he number of text data we encounter is increasing beyond reading, and the importance of text summarization is increasing. However, since text summarization is costly and time consuming, new measur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ummarization.
      When summarizing text, the summary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text summary criteria. In this study, the reference elements that cause differences in summary results are called ‘concepts’. Automatic summarization algorithms cannot be applied because there are countless summary concepts that we can take.
      Based on the above, I implement a new system that helps people perform concept-based summarization by themselves. The system is redesigned using overlapping highlights, and the summary results are presented in a new form that blends the original text and the summary together, not in the form of a general summary.
      The UX evaluation of the system was conducted on 70 users and found to have received positive reviews for ease of operation, concept delivery, summarization efficiency, summary readability, and attractiveness. Therefore, this system can be said to have sufficient utilization value in various concept-based summarization situations.
      번역하기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he number of text data we encounter is increasing beyond reading, and the importance of text summarization is increasing. However, since text summarization is costly and time consuming, new measures are needed to increase...

      In the age of digital media, the number of text data we encounter is increasing beyond reading, and the importance of text summarization is increasing. However, since text summarization is costly and time consuming, new measur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ummarization.
      When summarizing text, the summary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text summary criteria. In this study, the reference elements that cause differences in summary results are called ‘concepts’. Automatic summarization algorithms cannot be applied because there are countless summary concepts that we can take.
      Based on the above, I implement a new system that helps people perform concept-based summarization by themselves. The system is redesigned using overlapping highlights, and the summary results are presented in a new form that blends the original text and the summary together, not in the form of a general summary.
      The UX evaluation of the system was conducted on 70 users and found to have received positive reviews for ease of operation, concept delivery, summarization efficiency, summary readability, and attractiveness. Therefore, this system can be said to have sufficient utilization value in various concept-based summarization situ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제2장 관련 연구 3
      • 2.1 요약에 관한 연구 3
      • 2.1.1 텍스트 중심 요약 3
      • 제1장 서론 1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제2장 관련 연구 3
      • 2.1 요약에 관한 연구 3
      • 2.1.1 텍스트 중심 요약 3
      • 2.1.2 독자의 목적 중심 요약 4
      • 2.1.3 컨셉 중심 요약 6
      • 2.1.4 텍스트 종류에 따른 요약 6
      • 2.2 하이라이트에 관한 연구 8
      • 2.2.1 하이라이트의 정의 8
      • 2.2.2 하이라이트의 효과 8
      • 2.2.3 하이라이트의 활용 11
      • 제3장 시스템 디자인 12
      • 3.1 시스템 개요 12
      • 3.1.1 컨셉구조 13
      • 3.1.2 요약 1단계 13
      • 3.1.3 요약 2단계 14
      • 3.2 시스템 구성 14
      • 3.2.1 어절 스코어링 기능 14
      • 3.2.2 요약률 설정 기능 17
      • 3.2.3 중첩 단계별 보기 기능 18
      • 3.2.4 요약 히스토그램 기능 20
      • 3.3 시스템 UI 21
      • 제4장 시스템 UX 평가 22
      • 4.1 실험 목적 22
      • 4.2 실험 방법 22
      • 4.2.1 실험 대상 22
      • 4.2.2 실험 절차 22
      • 4.2.3 실험 데이터 23
      • 4.3 평가 원칙 도출 23
      • 4.4 연구 문제 및 가설 27
      • 4.4.1 연구문제 1 27
      • 4.4.2 연구문제 2 28
      • 4.5 변수의 조작적 정의 29
      • 제5장 실험 결과 31
      • 5.1 기초조사 및 분석 31
      • 5.2 동질성 검정 33
      • 5.3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35
      • 5.4 가설검증 36
      • 5.4.1 가설 1에 대한 분석결과 36
      • 5.4.2 가설 2에 대한 분석결과 37
      • 5.4.3 가설 3에 대한 분석결과 38
      • 5.4.4 가설 4에 대한 분석결과 38
      • 5.4.5 가설 5에 대한 분석결과 39
      • 5.4.6 종합 40
      • 5.5 설문 응답 분석 41
      • 5.5.1 조작 편의성 41
      • 5.5.2 컨셉 전달성 43
      • 5.5.3 요약 효율성 45
      • 5.5.4 요약 가독성 45
      • 5.5.5 매력성 48
      • 5.5.6 종합 50
      • 5.6 인터뷰 결과 52
      • 제6장 결론 57
      • 6.1 결론 및 의의 57
      • 6.2 본 연구의 한계점 58
      • 6.3 향후 연구 방향 59
      • 참고문헌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