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Ⅲ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써, 이론적 고찰을 통해 노인 주거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한 공간 구성 프로젝트 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10706
2018
Korean
학술저널
-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Ⅲ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써, 이론적 고찰을 통해 노인 주거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한 공간 구성 프로젝트 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Ⅲ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써, 이론적 고찰을 통해 노인 주거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한 공간 구성 프로젝트 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뉘며, 먼저 주거 공간을 거주자의 육체적, 정신적 조건에 맞추어 탐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거주자를 위한 맞춤형 공간으로 발전시켰다. 두 번째로 거주자를 노인으로 한정지어 비 노인층과 다른 노인만의 신체 특성, 정신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공간의 기능과, 색, 재질 등을 형태에 적용시켰다. 이에 따른 도면 및 다이어그램, 동선 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었고 mock-up 스터디를 통해 형태를 발전시켰다. 이는 전체 15주 수업기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15주가 소요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비 노인층 가구에 맞추어진 기존의 주거 공간에서 벗어나 노인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그에 맞는 주거 공간을 제안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데미안 코렐의 개인 전시 공간 계획 - 리듬과 강조를 중심으로 -
브랜드‘HERMES’의 시계제품 전시 공간 제안 연구 - 자연물을 모티브로 한 형태적 특징의 조합을 중점으로 -
패션디자이너의 주택을 주제로 한 도메니코 돌체의 주택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폴라 셰어의 작품을 모티브로 한 전시 공간 디자인프로세스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