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반아동 어머니와 놀이치료 내담 아동 어머니의 놀이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아동의 주문제와 어머니 놀이성의 관계를 밝히고자한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놀이성을 이해하고, 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220294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전공 , 2008. 2
2007
한국어
일반아동 어머니 ;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 ; 놀이성
서울
ⅴ, 62 p. ; 26 cm
지도교수: 유미숙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일반아동 어머니와 놀이치료 내담 아동 어머니의 놀이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아동의 주문제와 어머니 놀이성의 관계를 밝히고자한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놀이성을 이해하고, 부...
본 연구는 일반아동 어머니와 놀이치료 내담 아동 어머니의 놀이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아동의 주문제와 어머니 놀이성의 관계를 밝히고자한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놀이성을 이해하고, 부모 상담 및 부모 교육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 4곳과 초등학교 3곳의 만 3~8세 아동의 어머니 249명과 놀이치료 상담소 13곳에서 놀이치료를 받고 있는 만3~8세 아동의 어머니 118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Schaefer와 Greenberg(1997)가 개발한 ‘성인용 놀이성 척도(Playfulness Scale for Adults; PSA)’로 본 연구자가 번안하고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해 t 검증과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아동 어머니와 놀이치료 내담 아동 어머니의 놀이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아동 어머니가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유머감각과 익살스러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 내담아동의 주문제와 어머니의 놀이성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 어머니와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놀이성은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놀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of mother's playfulness between general children and child patients under Play Therapy, and to understand mother’s playfulness by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major problem and mother's playfulness....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of mother's playfulness between general children and child patients under Play Therapy, and to understand mother’s playfulness by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major problem and mother's playful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mother's playfulness and to provide basic research results for parents counseling an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9 mothers of pr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ages three to eight) and 118 mothers whose children(ages three to eight) were under treatment at Play Therapy organization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o measure mother's playfulness, the evaluation tool for this study was the modified Sheafer & Greenberg's Playfulness Scale For Adults(PS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also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Cronbach's α was calculated,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ther's playfulness between general children and child patients under Play Therapy showed distinct difference. Playfulness of general children's mothers was higher, especially much higher in fun-loving and sense of humor.
Second, data indicates no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major problems and mother's playfulness.
Accordingly, this study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providing efficient plans for improving mother's playfulnes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