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ocess of Promoting School Media Education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36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유네스코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책과 전략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주요 준거에 따라 시도교육청의 미디어교육 정책 실행 과정을 분석하고, 학교 미디어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

      이 연구는 유네스코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책과 전략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주요 준거에 따라 시도교육청의 미디어교육 정책 실행 과정을 분석하고, 학교 미디어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안정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시도교육청별 미디어교육 관련 조례와 주요 정책을 분석하고,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초점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은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를 아우르는 융복합적인 성격을 갖고 추진되어야 하나, 현재 정책 문서에서는 학교 미디어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비전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중앙 부처와 시도교육청 간 협력 체계가 불명료하며 시도교육청 간 인적 및 물적 자원의 격차, 정보 교류 부족 등으로 인해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KLAB, "핼러윈 때 '오징어 게임' 코스튬이 교칙위반이라고요?"

      2 강은영, "학교서 ‘오징어게임’ 하면 벌 준다고?... 세계 곳곳서 ‘시청 금지령’까지"

      3 배상률, "학교미디어교육센터 설치 유형별 지역 안착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4 교육부, "학교 미디어 교육 내실화 지원 계획. “학교미디어 교육 내실화 지원 계획 발표”(2019.7.29.) 붙임자료"

      5 교육부, "학교 매체 교육을 위한 기관건립 사업 공모 결과 발표"

      6 정현선, "초⋅중등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단원 개발 연구" 교육부 2016

      7 배상률,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대상별 정책대응방안연구 1 : 초등학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8 김성희, "인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실태 분석 및 지원 방안"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2022

      9 강민수 ; 최지혜 ; 신창호, "인성교육의 정책 실천에서 드러난 교육적 역설" 교육연구소 41 (41): 37-62, 2020

      10 교육부,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2016-2020)" 교육부 2016

      1 KLAB, "핼러윈 때 '오징어 게임' 코스튬이 교칙위반이라고요?"

      2 강은영, "학교서 ‘오징어게임’ 하면 벌 준다고?... 세계 곳곳서 ‘시청 금지령’까지"

      3 배상률, "학교미디어교육센터 설치 유형별 지역 안착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4 교육부, "학교 미디어 교육 내실화 지원 계획. “학교미디어 교육 내실화 지원 계획 발표”(2019.7.29.) 붙임자료"

      5 교육부, "학교 매체 교육을 위한 기관건립 사업 공모 결과 발표"

      6 정현선, "초⋅중등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단원 개발 연구" 교육부 2016

      7 배상률,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대상별 정책대응방안연구 1 : 초등학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8 김성희, "인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실태 분석 및 지원 방안"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2022

      9 강민수 ; 최지혜 ; 신창호, "인성교육의 정책 실천에서 드러난 교육적 역설" 교육연구소 41 (41): 37-62, 2020

      10 교육부,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2016-2020)" 교육부 2016

      11 유니세프한국위원회, "유엔아동권리위원회 일반논평 제25호 디지털 환경에서의 아동권리" 유니세프한국위원회

      12 김아미, "세계시민을 위한 미디어정보리터러시 교안 개발 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22

      13 김해성, "성장단계별 인천 디지털 문해력 교수학습자료, 초등 기본5-6학년"

      14 김해성, "성장단계별 인천 디지털 문해력 교수학습자료, 초등 기본1-4학년"

      15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최종본). “포용적 민주주의를 실현할 성숙한 민주시민 양성” 붙임자료"

      16 박주현 ; 김지현 ; 이명규 ; 이지수 ; Jonathan Michael Hollister ; 이지원,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 제도 및 정책 분석 -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53 (53): 315-341, 2022

      17 양정애, "미디어교육의 재구조화: 21세기 한국의 미디어교육 영역 및 구성"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18 Buckingham, D., "미디어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제이앤북 2004

      19 정현선, "미디어 문해력(literacy)향상을 위한 교실 수업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5

      20 김아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21 강진숙,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시민역량 제고 방안 연구" 교육부 2019

      22 배상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교육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23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회 28 : 77-110, 2005

      24 오정훈, "디지털 리터러시" 부산광역시교육청 2021

      25 오영범, "교육지원청 초임 장학사의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혼란에서 마주한 성찰과 성장"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125-144, 2021

      26 허병기, "교육정책" 한국학중앙연구원

      27 Sharma, R., "Squid Game: Why you should not panic about reports children are copying the games from the Netflix series"

      28 Jones, N, "Policy Briefs as a Communication Tool for Development Research"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29 Salomaa, S., "Media literacy in Finland: National media education policy"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2019

      30 Grizzle, A.,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Policay and Strategy Guidelines"

      31 Grizzle, A.,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Teachers" UNESCO 2011

      32 정완규, "EU 28개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현황 보고서,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33 OECD, "21st-Century Readers: DEVELOPING LITERACY SKILLS IN A DIGITAL WORLD"

      34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발표” 붙임자료"

      35 김영주, "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36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20 Global Media &Information Literacy Week Feature Conference"

      37 김영주,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이용 조사 보고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