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계의 변형, 그리고 화해”: 조이 하조의 시와 북미 원주민 신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이 하조(Joy Harjo, 1951 ― )는 “미국 원주민 문예부흥”(Native American Renaissance)의 제 2 세대 작가 군에 속하는 시인이고 음악가이자 공연 예술가이다. 하조는 프랑스와 아일랜드계 혈통인 어...

      조이 하조(Joy Harjo, 1951 ― )는 “미국 원주민 문예부흥”(Native American Renaissance)의 제 2 세대 작가 군에 속하는 시인이고 음악가이자 공연 예술가이다. 하조는 프랑스와 아일랜드계 혈통인 어머니와 무스코기 크릭 (Muscogee Creek)부족 출신인 아버지를 둔 혼혈 원주민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무스코기 크릭 부족이라는 데 두었으며, 조상의 전통과 믿음을 시 속에 표현하고자 시도하였다. 하조가 시의 소재로 끌어들이는 원주민의 신화와 설화, 정령 신앙, 제의과 제식, 정령 신앙 등은 북미 인디언의 삶과 접촉하는 가운데 시인이 발견한 문화이다. 이는 서구 기독교에 기반을 둔 침입자 백인 문명으로부터 상처 입은 원주민 시인이 자존감을 회복하고 생명과 구원의 길을 모색하려는 도상에서 발견한 기제들이라 할 수 있다.
      하조는 서구 기독교의 위계적인 피라미드 형 경계를 대신하는 구조로 나선형의 경계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미친 사랑과 전쟁 속에서』(In Mad Love and War),『하늘에서 떨어진 여인』(The Woman Who Fell From the Sky), 『우리는 어떻게 인간이 되었는가』(How We Became Human) 등의 시집에 수록된 시편을 중심으로 시인이 그려내는 나선형의 세계와, 변형 및 화해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하조의 시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나선형은 고대의 유산을 재확인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하조의 작품 속에는 불가사의한 요소: 즉, 사슴이 여인이 되기도 하고, 인간이 바람이 되기도 하며, 새가 태양이 되기도 한다. 하조는 세계는 평평하거나 둥그렇지 않고 나선형이라고 하나님의 마음의 모양이라고 말한다. 나선형의 세계는 여러 편의 세계에 등장한다. 「비의 분노」에서의 회오리치며 내리는 폭우 속에서, 「자서전」에서의 크릭 족의 옥수수 수확을 기리는 그린 콘 춤(Green Corn dance) 속에서, 「아홉 목숨」에서 매미와 왕나비의 변형을 촉진하는 나선형의 바람 「독수리 시」 하늘을 선회하는 독수리 속에서도 그러한 나선형을 발견한다. 이러한 나선형의 세계에서 모든 존재들은 거대한 생명의 고리 속에서 변형을 거듭하며 다른 모습으로 태어나게 된다. 하조에게 변형이란 타자의 형태와 조건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곧 우리가 타자의 형태로 변형될 때, 타자가 처한 신체적 환경적 심리적인 조건을 체험하게 되고, 이는 바로 타자에 대한 이해와 사랑(compassion)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그 결과 궁극적으로는 화해에 이르게 한다. 「화해」(“Reconciliation”)는 하조의 신앙관이 북미 인디언 신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how the spiral structure transforms the dualistic and hierarchical boundary and contributes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reconciliation in Joy Harjo(1951- )’s poetry. Spiral structure is a concept that shows the influence of the ...

      This paper explores how the spiral structure transforms the dualistic and hierarchical boundary and contributes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reconciliation in Joy Harjo(1951- )’s poetry. Spiral structure is a concept that shows the influence of the indigenous American belief in the inherent spirituality within all life forms. Unlike the hierarchical structure, a pyramid where God, human beings and other life forms are clearly classified, the spiral structure is an image where all beings resonate.
      In “Autobiography” Green Corn dance evokes forgiveness in the speaker's mind. In “Fury of Rain” and “Nine Lives” the whirling circle of storm energizes the poet with aspiration to transform into a perfect being. In “Eagle Poem” the circle of an eagle's motion brings the viewer into the elevated state of being sacred. Through the spiral structure Harjo seeks to diminish barriers that separate humans from the natural world, thereby to return to a non-dualistic world and eventually to reconcile the alienated beings. “Transformations” expresses the indigenous American belief about interconnectedness of this world into next by mentioning a story about the dying old man. “Reconciliation,” is about a radical redefinition of a god, who extends into a mother, a father, and a love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