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진보정권의 사회투자전략은 왜 보수정권에서 확대되었는가? -한국 정치제도의 정책환류 기능과 정책 가시성- = Why did the Progressive governments’ social investment strategy expand in the conservative governments? -Welfare Politics of Korean Social Investment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1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사회투자전략의 복지정치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질문에 주목하였다. 첫째, 압축성장 시기의 제도적 유산은 한국 선성장 후분배의 사회정책 패러다임에 어떠한 영향...

      본 연구는 한국 사회투자전략의 복지정치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질문에 주목하였다. 첫째, 압축성장 시기의 제도적 유산은 한국 선성장 후분배의 사회정책 패러다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둘째, 이러한 제도적 유산이 형성시킨 정책담론에도 불구하고, 진보정권 시기에 보육정책 중심의 사회투자정책은 왜 그리고 어떻게 단기간 내 발전하였는가? 셋째, 도입 이후 확대되기 시작한 사회투자적 정책들은 왜 보수정권으로 교체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확대되고, 특히 선별적 사회투자 프로그램에서 보편적인 정책으로 확대되었는가? 이에 대해 본 연구는, 보육정책 중심의 사회투자정책이 한국 정치제도와 정책의 가시성(salience)에 어떻게 영향을 받으며, 선거 전후에 어떠한 유형으로 변화되는지 제도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급변하는 인구구조 변화와 노동시장 불평등 확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진보정권 시기에 제안된 ‘사회투자전략’은 정책 타협안으로서 정치적 우파 및 좌파 양측 모두에게 설득력을 가지며 도입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보육 관련 정책들은 한국의 소선거구 및 승자독식의 선거제도와 대통령중심의 정치제도가 가지는 제도조합에 영향을 받으며, 보수정권으로 교체 된 후에 더욱 보편성을 가지며 확대되었다. 사회투자정책의 유형으로 구분해보자면, 한국보육정책은 불과 10여년 사이에 선별적이면서 인적자원 동원 기능이 강했던 사회투자전략 유형에서 이후, 포괄적이고 보다 중장기적인 (아동의)인적자원형성 기능을 보이는 사회투자전략 유형으로 변하였다. 또한, 한국은 가시성이 높은 복지정책은 긍정적 정책환류(policy feedback)를 거치게 되는 정치제도를 가지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understand the welfare politics of Korea’s social investment strategy. First, how did the institutional legacy of compressed growth affect the social policy paradigm so-called ‘Economic gro...

      This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understand the welfare politics of Korea’s social investment strategy. First, how did the institutional legacy of compressed growth affect the social policy paradigm so-called ‘Economic growth first, distribution second’? Second, despite the growth-first ideology, why and how the social investment policies under the center-left governments develop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ird, why did the social investment policies begin to expand from selective social investment programs to universal ones, even after being replaced by conservative governments? In response, this study focused on child care policy and analyzed how these policie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Korean political system and the policy salience, and how social investment policy types are changed around the election period. In conclusion, the proposed ‘social investment strategy’ under the center-left regime was introduced as a policy compromise between the political right and the left to cope with the problem of increasing social inequality and rapid population movement. Also child care-related policies have been expanded to become more universal after being replaced by conservative governments, affected by the winner-take-all election system based on the single member district and the strong presidential system. The “policy feedback”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discussion of expanding child care poli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무권, "한국행정학 50년사" 한국행정학회 2006

      2 이승윤, "한국 이중노동시장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이중화: 공적연금개혁안 시뮬레이션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3) : 193-232, 2019

      3 이승윤, "한국 양육수당의 확대는 어떠한 정책형성과정을 거쳤는가?: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195-232, 2013

      4 김영범, "한국 복지국가의 유형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제도의 미성숙과 그에 따른 한계를 중심으로" 11 : 85-108, 2002

      5 파이낸셜뉴스, "준연동비례 선거법, 우여곡절 끝에 통과..공수처법 본회의 상정"

      6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11

      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각 정당의 10대 주요정책"

      8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각 정당의 10대 주요정책"

      9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5-2065년)"

      10 정효정, "이명박 정부의 보육정책 쟁점과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7) : 327-352, 2011

      1 정무권, "한국행정학 50년사" 한국행정학회 2006

      2 이승윤, "한국 이중노동시장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이중화: 공적연금개혁안 시뮬레이션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63) : 193-232, 2019

      3 이승윤, "한국 양육수당의 확대는 어떠한 정책형성과정을 거쳤는가?: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195-232, 2013

      4 김영범, "한국 복지국가의 유형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제도의 미성숙과 그에 따른 한계를 중심으로" 11 : 85-108, 2002

      5 파이낸셜뉴스, "준연동비례 선거법, 우여곡절 끝에 통과..공수처법 본회의 상정"

      6 대한민국정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11

      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각 정당의 10대 주요정책"

      8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각 정당의 10대 주요정책"

      9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5-2065년)"

      10 정효정, "이명박 정부의 보육정책 쟁점과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7) : 327-352, 2011

      11 강양구, "유아교육법 찬반 갈등 최고조 달해"

      12 이원영, "유아교육법 제정과정과 그 의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5-32, 2004

      13 조영훈, "유교주의, 보수주의, 또는 자유주의? 한국의 복지유형 검토" 35 (35): 169-191, 2001

      14 박경자,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513-538, 2013

      15 김연명, "우리나라에서 사회투자론 논의의 쟁점" 비판사회학회 (75) : 307-318, 2007

      16 양재진, "우리나라 사회투자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정책조합 연구" 세종연구소 15 (15): 153-182, 2009

      17 이승윤, "여성은 왜 외부자로 남아 있는가?: 한국과 일본의 여성노동시장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3 (23): 201-237, 2016

      18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소득주도성장 바로알기"

      19 홍장표, "소득주도성장 2년, 평가와 과제" 참여연대 (34) : 291-307, 2019

      20 정무권, "세계화, 민주화, 한국의 발전주의 생산레짐과 복지체제의 재편" 한국사회정책학회 14 (14): 6-79, 2008

      21 선대식, "새해 예산안 해 넘겨통과... 헌정사상 최초"

      22 이재원, "사회투자정책과 국가재정운영 과제"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91-121, 2007

      23 김연명, "사회투자와 한국 사회정책의 미래 : 사회투자론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논쟁" 나눔의 집 2009

      24 김영순, "사회투자국가가 우리의 대안인가?" 비판사회학회 (74) : 84-113, 2007

      25 양재진, "사회투자국가가 우리의 대안이다" 비판사회학회 (75) : 319-335, 2007

      26 김유선,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9

      27 김유선,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6

      28 보건복지부, "비전 2030: 함께 가는 희망한국"

      29 민연경, "보육정책의 이슈네트워크 분석: 무상보육정책과 양육수당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4 (24): 97-138, 2015

      30 지주형, "발전국가: 과거, 현재, 미래" 한울아카데미 2017

      31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대통령 선거 공약"

      32 남찬섭, "민주정부 10년 복지개혁의 회고와 전망: 최근의 복지국가논쟁에 비추어"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32) : 133-180, 2011

      33 김연명, "문재인정부 복지정책의 전망과 과제: 한국 복지국가의 경로를 바꿀 것인가?" 343-361, 2018

      34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대통령 선거 공약"

      35 좌혜경, "무상보육 후퇴 논란, 해법은?"

      36 정도원, "당정청, 당정청, 아동수당법⋅기초연금법 예산부수법안 지정 암시"

      37 김보협, "누가 복지를 두려워하는가"

      38 백선희, "김대중⋅노무현 정부 10년의 보육정책 평가: 국가계획을 중심으로" 28 : 95-141, 2009

      39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40 김연명, "‘시장의 복지화’가 필요하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에서 시장화의 쟁점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4) : 277-304, 2008

      41 Esping-Andersen. G.,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2 Baek, S., "Why Social Investment Approach is Not Enough: Female Labor Market and Family Policy in the Republic of Korea" 48 (48): 686-703, 2014

      43 Goodman, R., "Welfare States in Transition: National Adaptations in Global Economies" Sage 1996

      44 Kwon, H., "Transforming the Developmental Welfare State in East Asia" 36 : 477-497, 2005

      45 Morel, N., "Towards a social investment welfare state" Policy Press 353-376, 2012

      46 Kim, P. H., "The East Asian Welfare State Debate and Surrogate Social Policy: An Exploratory Study on Japan and South Korea" 8 : 411-435, 2010

      47 Emmenegger, P., "The Age of Dua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48 Garritzmann, J. L., "The 6 questions" 2018

      49 European Commission, "The 2015 Ageing Report: Economic and budgetary projections for the 28 EU Member States (2013-2060)"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5

      50 OECD, "Social Expenditure Update - Social spending is falling in some countries, but in many others it remains at historically high levels"

      51 Culpepper, D., "Quiet Politics and Business Power: Corporate Control in Europe and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52 Estévez‐Abe, M., "Presidents, Prime Ministers and Politics of Care–Why Korea Expanded Childcare Much More than Japan" 48 (48): 666-685, 2014

      53 OECD, "OECD Factbook 2015-2016: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 OECD Publishing 2016

      54 OECD, "OECD Expenditure Database"

      55 Lee, Sophia Seung-Yoon, "Institutional legacy of state corporatism in de-industrial labour markets: a comparative study of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14 (14): 73-95, 2016

      56 Holliday, I., "East Asian social policy in the wake of the financial crisis: farewell to productivism?" 33 (33): 145-162, 2005

      57 Whittaker, D. H., "Compressed Development in East Asia" Institute for Technology, Enterprise and Competitiveness, Doshisha University 2007

      58 기획재정부, "2060년 장기재정전망" 기획재정부 2016

      59 한국은행, "2014년 경제통계연보"

      60 서문희, "2012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2

      61 서문희,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2009

      62 손지아, "17대 대통령 선거 복지공약 살펴보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