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민참여정책평가의 개념적 특성과 실행조건 = Citizen-Participatory Policy 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erequisites for its implem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3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why is participation usually restricted to experts in the policy evaluation process? What are the rationales of participation in the policy evaluation?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Participator...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why is participation usually restricted to experts in the policy evaluation process? What are the rationales of participation in the policy evaluation?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Participatory Policy Evaluation(C-PPE) and the prerequisites for its implementati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C-PPE include: citizen-initiated policy evalua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and the support of experts, with dialogue as the key evaluation method. To implement C-PPE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lecting the participants, supporting them with qualified experts in C-PPE, and organizing and effectuating a dialog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정책평가과정을 시민이 주도하는 시민참여정책평가가 개념적으로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실행을 위한 고려 조건은 무엇인지를 다루었다. 정책평가에서 전문가를 제외한 다른 ...

      이 연구는 정책평가과정을 시민이 주도하는 시민참여정책평가가 개념적으로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실행을 위한 고려 조건은 무엇인지를 다루었다. 정책평가에서 전문가를 제외한 다른 사람이나 잡단의 참여가 배제되어 온 배경을 살펴보고, 다른 정책과정과 마찬가지로 정책평가과정에서도 일반시민이나 이해관계자의 참여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정책평가과정에서 참여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학자들 마다 참여정책평가의 개념과 본질에 대한 이해가 달라지고, 참여평가의 목적, 참여자, 참여 단계와 수준 등에 따라 참여정책평가의 유형을 나눌 수 있음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시민참여정책평가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특성을 논의한 후, 시민참여정책평가가 시민의 주도적 평가과정 지배, 평가의 대화와 토론 의존성 등의 특징을 갖고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시민참여정책평가의 실행에 앞서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행정관리와 서비스: 서비스 질 구성차원의 관리 우선순위: 민원 행정 서비스를 중심으로" 225-244, 1997

      2 "지방행정에 대한 평가: 지방행정에 대한 성과 평가" 20-28, 2002

      3 "지방행정에 대한 시민평가제 도입의 형태와 방법론: 포틀랜드시와 서울시의 교훈" 8 (8): 105-122, 1999

      4 "지방정부 행정서비스에 대한 시민의 의식과 평가 : 울산시를 중심으로" 4 (4): 2133-2154, 1995

      5 "정책학원론(개정판)" 대명출판사 1997

      6 "시민행정론: 시민활동의 전개와 행정" 법문사 2001

      7 "시민평가제에 관한 연구" 14 (14): 153-169, 2000

      8 "서울특별시 시민평가제도의 성과와 개선방안" 391-407, 2001

      9 "서울시 시민평가제의 조사모형과 방법에 관한 비판적 검토" 11 (11): 47-66, 2001

      10 "대통령선거공약토론의 유권자 참여 지향적 조직과 운영" 11 (11): 485-555,

      1 "행정관리와 서비스: 서비스 질 구성차원의 관리 우선순위: 민원 행정 서비스를 중심으로" 225-244, 1997

      2 "지방행정에 대한 평가: 지방행정에 대한 성과 평가" 20-28, 2002

      3 "지방행정에 대한 시민평가제 도입의 형태와 방법론: 포틀랜드시와 서울시의 교훈" 8 (8): 105-122, 1999

      4 "지방정부 행정서비스에 대한 시민의 의식과 평가 : 울산시를 중심으로" 4 (4): 2133-2154, 1995

      5 "정책학원론(개정판)" 대명출판사 1997

      6 "시민행정론: 시민활동의 전개와 행정" 법문사 2001

      7 "시민평가제에 관한 연구" 14 (14): 153-169, 2000

      8 "서울특별시 시민평가제도의 성과와 개선방안" 391-407, 2001

      9 "서울시 시민평가제의 조사모형과 방법에 관한 비판적 검토" 11 (11): 47-66, 2001

      10 "대통령선거공약토론의 유권자 참여 지향적 조직과 운영" 11 (11): 485-555,

      11 "공공정책평가론" 박영사 2000

      12 "공공서비스정책의 주민만족을 위한 행정대응성 연구" 281-300, 1997

      13 "공공기관의 고객만족도 평가지표 개발" 한국행정연구원 1996

      14 "고객 지향적 행정의 구현전략에 관한 연구: 공무원들의 심리구조 개발을 중심으로" 11 (11): 71-92, 2000

      15 "Utilization-Focused Evaluation checklist" 2002

      16 "The case for participatory evaluation" 397-418, 1992

      17 "The Inclusion of Stakeholders in Evaluation: Benefits and Drawbacks" 17 (17): 49-58, 2002

      18 "The Contribution of Evaluation to Soci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Tacit Knowledge" 10 (10): 263-283, 2004

      19 "Stakeholder-based evaluation:New directions for program ecaluation 17" Jossey-Bass 1983

      20 "Stakeholder Participation for the Purpose of Helping Ensure Evaluation Validity" 19 (19): 325-337, 1998

      21 "Policy and Program Evaluation, Civil Society, and Democracy" 22 (22): 2001

      22 "Personalizing Evaluation" Sage 2000

      23 "Participatory evaluation in education: Studies in evaluation use and organizational learning" Falmer Press 1995

      24 "Participatory Evauation" 21 (21): 85-102, 1995

      25 "Participatory Evaluation of Development Assistance: Dealing with Power and Facilitative Learning" 2 (2): 151-171, 1996

      26 "Involving program stakeholders in reviews of evaluators recommendations for program revisions" 22 : 363-372, 1999

      27 "Inclusive Evaluation: Implications of Transformative Theory for Evaluation" 20 (20): 1-14, 1999

      28 "Framing Participatory Evaluation" 80 : 5-24, 1998

      29 "Foundations of empowerment evaluation" Sage 2000

      30 "Evaluation for a change: Reflections on participatory methodology" Jossey-Bass 1998

      31 "Evaluation and Control of Education Issues and Methods in Evaluation" 1987

      32 "Empowerment evalu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practice" 1996

      33 "Deliberative Deocratic Evaluation Cheklist" 2000

      34 "Consequences of Researcher Involvement in Participatory Evaluation" 22 (22): 3-27, 1996

      35 "Community Participation in Evaluation Innovative Approaches to Mental Health Evaluation" Academic Press & zi (& zi): 1982

      36 "Communication of Results and Utilization in Participatory Program Evaluation" 341-351, 1988

      37 "Citizens' Control of Evaluations: Formulating and Assessing Alternatives" 8 (8): 81-100, 2002

      38 "Challenges in Practising Deliberative Democratic Evaluation" Jossey-Bass 2000

      39 "A tool to assess projects and empower people International innovations in evaluation methodology" Jossey-Bass 1989

      40 "A Vision of Evaluation that Strengthens Democracy" 8 (8): 125-139, 2002

      41 "A Participatory evaluation of an inner-city science enrichment program" 25 : 15-22,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