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드론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서, 도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교통량 중 통행방향별 차량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의 교통량 측정을 위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90001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컴퓨터학과 컴퓨터공학 전공 , 2021. 2
2021
한국어
621.39 판사항(23)
경기도
Drone Image Analysis Based On Deep Learning For Traffic Measurement
v, 24 장 : 천연색삽화 ; 30 cm.
지도교수:최상일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장 21-22
I804:11017-0000001965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논문에서는 드론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서, 도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교통량 중 통행방향별 차량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의 교통량 측정을 위한 ...
본 논문에서는 드론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아서, 도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교통량 중 통행방향별 차량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의 교통량 측정을 위한 구조들은 영상의 축척정보를 구할 때, 실제 도로의 크기 정보를 이용해서 드론의 행동반경이 제한되거나 차량의 평균크기를 이용해 정확도의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상에 차선을 이용했다. 제안한 방법은 세 가지 단계를 걸치게 되는데 먼저, 추적기법을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거리를 구하고, 이와 함께 차선검출을 통해 영상의 축척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픽셀 단위의 차량의 이동거리와 영상의 축적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차량의 이동속도를 계산하는 구조를 구성했다. 차량속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 단계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야 한다. 결과는 객체 검출 모델은 영상내 차량검출결과가 누락되지 않도록 검출율(Recall)이 95%이상 유지되면서도 정밀도(Precision)는 94.7%, 95.9%의 성능을 보였다. 또한 차선 검출을 통해 구한 축척값과 해당 프레임 영상과 비교하여 축척값이 유의미하게 측정된 것을 보였고, 속도 측정결과와 영상을 비교하여 속도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