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 영토의 축소과정과 왜곡된 국경선 문제 연구 = A Study on the Territorial Diminution and Distorted Border Line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1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is not an original boundary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a distorted border line from the Amnok River to the Duman River under Article 1 of the 1909 Gando Convention that was illegally entered into by Japan and the Qing. Thereafter, the Korea-China border has been drawn as such in maps showing Korea. At the time, Japan illegally assigned the sovereignty over Gando to the Qing in order to acquire railroad extension/construction concessions and coal mining concessions needed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Those who are unaware of the afore-said execution process of the Gando Convention understand that the Amnok River·Duman River border line was demarcated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is border line decided at Japan’s discretion was an illegal act committed by the country for its own interests, ignoring historical facts that the Joseon Dynasty dispatched gwanrisas to East and West Gando and put the opposite area from the Amnok River under jurisdiction of Pyongan Province. Furthermore, the Amnok River·Duman River border line disregarded the Korea-China demarcation shown in numerous Western ancient maps.
      After Japan annexed Korea, Japan started to compile History of Joseon Peninsula from the Japanes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 represented by shared Japan-Joseon origins, stagnancy and heteronomy, for its colonial rule in Korea. And then Japan set up the “Joseon History Compilation Association” in 1925 and started to publish Joseon History in 37 volumes from 1932. Naturally, Joseon History, with many distortions and inaccuracies to justify Japanese colonial rule, put a huge influence on Korean historical developments thereafter.
      Japanese colonial historians claimed that all of Korean historical facts occurr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y decided that Wanggeom-seong, i.e. the capital city of Gojoseon, and Lelang Commandery were located in Pyeongyang near the Daedong River and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were establish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y even claimed that the 9 fortresses built by General Yun Gwan to the northeast of the Goryeo-Jurchen border were located around currently Hamgyeong Province in North Korea, misrepresenting Gongheomjin in Seonchunryeong about 700 li north of the Duman River. Furthermore, they diminished the territory of Goguryeo by asserting that Goguryeo’s new capital established by King Jansgu was Pyeongya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y even curtailed the territory of Goryeo within the Korean Peninsula although Goryeo’s border reached the Liao-ho River to the West and Gongheomjin to the North.
      These distorted historical claims based on Japanese colonial historiography started from Lee Byeong-do, a successor to Japanese colonial historians, and then have been ceaselessly advocated by his disciples in accord with his views. Eventually, the maps based on such distorted historical theory misrepresent the territory of Korea, thereby causing huge damage to the country in the future.
      Above all, historical circles should reflect on the past in order to rectify the incorrect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on maps as well as Korea’s history that was largely distorted by the colonial historians. Moreover, such rectification should be made through cri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with mutual candor for the self-purification of historical circles.
      번역하기

      The current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is not an original boundary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a distorted border line from the Amnok River to the Duman River under Article 1 of the 1909 Gando Convention that was illegally entered into b...

      The current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is not an original boundary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a distorted border line from the Amnok River to the Duman River under Article 1 of the 1909 Gando Convention that was illegally entered into by Japan and the Qing. Thereafter, the Korea-China border has been drawn as such in maps showing Korea. At the time, Japan illegally assigned the sovereignty over Gando to the Qing in order to acquire railroad extension/construction concessions and coal mining concessions needed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Those who are unaware of the afore-said execution process of the Gando Convention understand that the Amnok River·Duman River border line was demarcated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is border line decided at Japan’s discretion was an illegal act committed by the country for its own interests, ignoring historical facts that the Joseon Dynasty dispatched gwanrisas to East and West Gando and put the opposite area from the Amnok River under jurisdiction of Pyongan Province. Furthermore, the Amnok River·Duman River border line disregarded the Korea-China demarcation shown in numerous Western ancient maps.
      After Japan annexed Korea, Japan started to compile History of Joseon Peninsula from the Japanes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 represented by shared Japan-Joseon origins, stagnancy and heteronomy, for its colonial rule in Korea. And then Japan set up the “Joseon History Compilation Association” in 1925 and started to publish Joseon History in 37 volumes from 1932. Naturally, Joseon History, with many distortions and inaccuracies to justify Japanese colonial rule, put a huge influence on Korean historical developments thereafter.
      Japanese colonial historians claimed that all of Korean historical facts occurr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y decided that Wanggeom-seong, i.e. the capital city of Gojoseon, and Lelang Commandery were located in Pyeongyang near the Daedong River and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were establish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y even claimed that the 9 fortresses built by General Yun Gwan to the northeast of the Goryeo-Jurchen border were located around currently Hamgyeong Province in North Korea, misrepresenting Gongheomjin in Seonchunryeong about 700 li north of the Duman River. Furthermore, they diminished the territory of Goguryeo by asserting that Goguryeo’s new capital established by King Jansgu was Pyeongya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y even curtailed the territory of Goryeo within the Korean Peninsula although Goryeo’s border reached the Liao-ho River to the West and Gongheomjin to the North.
      These distorted historical claims based on Japanese colonial historiography started from Lee Byeong-do, a successor to Japanese colonial historians, and then have been ceaselessly advocated by his disciples in accord with his views. Eventually, the maps based on such distorted historical theory misrepresent the territory of Korea, thereby causing huge damage to the country in the future.
      Above all, historical circles should reflect on the past in order to rectify the incorrect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on maps as well as Korea’s history that was largely distorted by the colonial historians. Moreover, such rectification should be made through cri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with mutual candor for the self-purification of historical circ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지도의 국경선은 본래 형성된 국경선이 아니다. 즉, 일본이 청과 불법 체결한 1909년 ‘간도협약’ 제1조에 근거하여 압록강ㆍ두만강선으로 왜곡된 국경선이다. 이후 제작된 모든 한국지도의 한ㆍ중국경선은 이와 같이 그려졌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간도협약의 체결과정을 모르는 대부분은 압록강ㆍ두만강선이 한말(韓末)에 획정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일본이 임의대로 정한 압록강ㆍ두만강선은, 그동안 조선정부가 행한 동ㆍ서 간도지역의 관리사 파견이나 압록강 대안지역을 평안도에 배속시킨 역사적 사실을 무시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한 불법적인 행위였다. 이와 같은 식민사관에 젖은 우리 학자들도 이를 계승하여 간도에 대한 한말의 역사적 통치행위와 무수한 서양고지도의 표기마저 무시 하였다. 이후 일본은 구한국을 병합한 후 그들이 식민지 통치상 필요에 의거하여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정체성론(停滯性論), 타율성론(他律性論)의 식민사관에 입각한 ‘조선반도사’의 편찬에 착수하였으며, 1925년 ‘조선사편수회’로 확대 개편하여 1932년부터 ‘조선사’ 37권을 간행하였다. 식민지 통치를 위해 왜곡 간행된 ‘조선사’가 이후한국사 전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은 당연하였다. 이들 일본식민사학자들은 모든 한국의 역사를 반도 내에 비정하였다.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과 낙랑군의 위치를 대동강 부근 평양으로, 한사군의 위치를 한반도 북부에, 윤관의 동북 9성은 함경도 일대에 비정하였다. 장수왕이 천도한 도읍지조차 평양에 왜곡 비정하였으며, 국경선이 요하(遼河)에서 공험진에 이르렀던 고려의 영토마저 반도 내로 축소시켰다. 또한 일본은 긴도협약으로 서간도지역을 제외시키고 동간도 동부로 축소시켰다.
      이와 같이 우리의 역사와 영토를 축소시킨 일제식민사관을 계승한 이병도 일파에 의해 이들의 이론이 더 극성을 부리고 있다. 결국 이들의 왜곡된 역사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된 지도 역시 잘못된 우리 영토의 강역을 표시하고 있으며 장래 국가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줄 것이다. 이제 이들 일제식민사학에 의해 크게 왜곡된 우리 역사와 잘못 표시된 지도상의 국경선과 실상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또한 스스로 자정(自淨)할 수 있도록 상호 기탄없는 학문적인 비판적 토론의 장을 거쳐 바로잡아야 한다.
      번역하기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지도의 국경선은 본래 형성된 국경선이 아니다. 즉, 일본이 청과 불법 체결한 1909년 ‘간도협약’ 제1조에 근거하여 압록강ㆍ두만강선으로 왜곡된 국경선이다. 이후 ...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지도의 국경선은 본래 형성된 국경선이 아니다. 즉, 일본이 청과 불법 체결한 1909년 ‘간도협약’ 제1조에 근거하여 압록강ㆍ두만강선으로 왜곡된 국경선이다. 이후 제작된 모든 한국지도의 한ㆍ중국경선은 이와 같이 그려졌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간도협약의 체결과정을 모르는 대부분은 압록강ㆍ두만강선이 한말(韓末)에 획정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일본이 임의대로 정한 압록강ㆍ두만강선은, 그동안 조선정부가 행한 동ㆍ서 간도지역의 관리사 파견이나 압록강 대안지역을 평안도에 배속시킨 역사적 사실을 무시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한 불법적인 행위였다. 이와 같은 식민사관에 젖은 우리 학자들도 이를 계승하여 간도에 대한 한말의 역사적 통치행위와 무수한 서양고지도의 표기마저 무시 하였다. 이후 일본은 구한국을 병합한 후 그들이 식민지 통치상 필요에 의거하여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정체성론(停滯性論), 타율성론(他律性論)의 식민사관에 입각한 ‘조선반도사’의 편찬에 착수하였으며, 1925년 ‘조선사편수회’로 확대 개편하여 1932년부터 ‘조선사’ 37권을 간행하였다. 식민지 통치를 위해 왜곡 간행된 ‘조선사’가 이후한국사 전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은 당연하였다. 이들 일본식민사학자들은 모든 한국의 역사를 반도 내에 비정하였다.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과 낙랑군의 위치를 대동강 부근 평양으로, 한사군의 위치를 한반도 북부에, 윤관의 동북 9성은 함경도 일대에 비정하였다. 장수왕이 천도한 도읍지조차 평양에 왜곡 비정하였으며, 국경선이 요하(遼河)에서 공험진에 이르렀던 고려의 영토마저 반도 내로 축소시켰다. 또한 일본은 긴도협약으로 서간도지역을 제외시키고 동간도 동부로 축소시켰다.
      이와 같이 우리의 역사와 영토를 축소시킨 일제식민사관을 계승한 이병도 일파에 의해 이들의 이론이 더 극성을 부리고 있다. 결국 이들의 왜곡된 역사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된 지도 역시 잘못된 우리 영토의 강역을 표시하고 있으며 장래 국가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줄 것이다. 이제 이들 일제식민사학에 의해 크게 왜곡된 우리 역사와 잘못 표시된 지도상의 국경선과 실상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또한 스스로 자정(自淨)할 수 있도록 상호 기탄없는 학문적인 비판적 토론의 장을 거쳐 바로잡아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일제의 우리 역사 왜곡 및 추종학자
      • Ⅲ. 일제의 우리 영토 축소 작업
      • Ⅳ. 간도지역 축소화와 백두산정계비 효력의 문제
      • Ⅴ. 백두산정계비 설치 실상과 청의 지도변조
      • Ⅰ. 서 론
      • Ⅱ. 일제의 우리 역사 왜곡 및 추종학자
      • Ⅲ. 일제의 우리 영토 축소 작업
      • Ⅳ. 간도지역 축소화와 백두산정계비 효력의 문제
      • Ⅴ. 백두산정계비 설치 실상과 청의 지도변조
      • Ⅵ, 왜곡된 한ㆍ중국경선의 역사교과서와 지도의 표기 문제
      • Ⅶ. 결 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