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책임보험에서의 가불금청구권에 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66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손해배상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막기 위하여 상법(제724조 제2항) 및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제10조)에서 피해자가 보험자에게 직접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손해배상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막기 위하여 상법(제724조 제2항) 및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제10조)에서 피해자가 보험자에게 직접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이외에도 교통사고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보험가입자등의 손해배상책임 또는 손해배상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피해자로 하여금 가해자가 가입하고 있는 보험회사등에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가불금청구권(자배법 제11조)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불금청구권이 피해자 보호를 위한 유익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제도를 제대로 알지 못하여 그 효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설사 가불금제도를 알고 있다 하더라도 가불금청구권과 관련하여 보험가입자등의 손해배상책임이 없는 경우 보험자의 가불금 지급책임, 자동차보험진료수가와 그 외 보험금등의 지급범위 및 정부보장사업에서의 가불금청구권의 행사여부 등 관련 쟁점으로 인한 다툼이 많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직접청구권에 근거하여 부여된 가불금청구권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먼저 직접청구권에 대하여 살펴보고 가불금청구권의 인정근거, 지급범위, 법적성질 및 직접청구권과의 관계 등을 검토하고 가불금청구와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선방안으로 가불금액의 지급방법을 현행 책임보험금 한도금액 범위에서의 정률제에서 한도금액 구간별 정액제로 변경할 필요성과 보험가입자등의 손해배상책임이 없는 경우에 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침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protect traffic accident victims who couldn"t have appropriate compensation from the inflictor, the direct right of action in liability insurance was established by Commercial Law(Article 724) and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To protect traffic accident victims who couldn"t have appropriate compensation from the inflictor, the direct right of action in liability insurance was established by Commercial Law(Article 724) and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Article 10). Besides,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was established by Act on Guarantee of Compensation for Loss Caused by Automobile(Article 11) to tighten up on the victim’s right when liability of compensation or amount of indemnity aren"t exactly decided from car accident immediately.
      However, the people are not familiar with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in spite of it’s usefulness as a key element of compensation system, so this is ineffective to the victim of traffic accident. Even if the people knew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they couldn"t exert this right because of several disputes such as payment obligation of insurers who don"t have liability of compensation for traffic accident, range of payment about medical expenses and other indemnities, possibility of exerting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in case of the gover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so on.
      Therefore, this article looked through the direct right of action to understand the temporary payments right, and then this paper centrically examined background, basis of acknowledge, range of payment and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and analyzed points in dispute related with the right of action for temporary payments. Furthermore, this article intended to focus on the need for change of the method of payment for the temporary payments right from a fixed rate system to a fixed sum system and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amendment of definite and detailed guidelines for the insurer"s liability of compens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지
      • Ⅰ. 서언
      • Ⅱ. 가불금청구권과 직접청구권
      • Ⅲ. 가불금청구권과 관련한 쟁점 검토
      • Ⅳ. 결어
      • 논문요지
      • Ⅰ. 서언
      • Ⅱ. 가불금청구권과 직접청구권
      • Ⅲ. 가불금청구권과 관련한 쟁점 검토
      • Ⅳ. 결어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신판" 법문사 1999

      2 강재철, "해상․보험법에 관한 제문제(하)" 법원행정처 1991

      3 황경학,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에 관한 소고" 2 : 1995

      4 양승규, "피해자의 보험금 직접청구권의 성질" 손해보험협회 (325) : 1995

      5 장덕조, "피해자 직접청구권과 피보험자 보험금청구권과의 관계 - 상법 제724조 제1항 해석에 관한 판례 법리의 비판 -" 한국상사법학회 26 (26): 337-359, 2008

      6 정진옥, "책임보험에서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의 소멸시효"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4) : 1995

      7 김동훈, "책임보험에 있어서 피해자의 직접청구권"

      8 박세민, "책임보험상의 직접청구권을 둘러싼 법적논점에 관한 고찰" 안암법학회 (27) : 497-540, 2008

      9 임충희, "자동차책임보험에서의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에 관한 고찰" 37 : 1991

      10 김문재, "자동차손해보상책임보험에서의 피해자의 직접청구권" (1) : 1986

      1 권영성, "헌법학원론 신판" 법문사 1999

      2 강재철, "해상․보험법에 관한 제문제(하)" 법원행정처 1991

      3 황경학,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에 관한 소고" 2 : 1995

      4 양승규, "피해자의 보험금 직접청구권의 성질" 손해보험협회 (325) : 1995

      5 장덕조, "피해자 직접청구권과 피보험자 보험금청구권과의 관계 - 상법 제724조 제1항 해석에 관한 판례 법리의 비판 -" 한국상사법학회 26 (26): 337-359, 2008

      6 정진옥, "책임보험에서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의 소멸시효"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4) : 1995

      7 김동훈, "책임보험에 있어서 피해자의 직접청구권"

      8 박세민, "책임보험상의 직접청구권을 둘러싼 법적논점에 관한 고찰" 안암법학회 (27) : 497-540, 2008

      9 임충희, "자동차책임보험에서의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에 관한 고찰" 37 : 1991

      10 김문재, "자동차손해보상책임보험에서의 피해자의 직접청구권" (1) : 1986

      11 김태주, "자동차손해배상책임보험에서의 피해자의 직접청구권" 23 : 1985

      12 장경환, "자동차손해배상책임보험에서의 직접청구권의 성질과 손해배상청구권의 혼동" 38 (38): 2003

      13 장경환,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의 가불금 규정의 해석, 손해보험협회 자문건"

      14 이인영,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 가불금 지급제도 개선방안" 2006

      15 손해보험협회, "자동차보험표준약관집(개인용자동차보험)" 2011

      16 김성태, "상사판례연구Ⅱ" 1996

      17 정찬형, "상법강의(하)제10판" 박영사 2008

      18 문병일,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 - P&I 보험을 중심으로 -" 한국해법학회 32 (32): 231-267, 2010

      19 장경환, "보험법연구" 삼지원 2002

      20 김성태, "보험법강론" 법문사 2001

      21 최기원, "보험법(신정판)" 박영사 1998

      22 양승규, "보험법 제5판" 삼지원 2005

      23 정경영, "공동불법행위 피해자의 직접청구권" 한국상사판례학회 4 : 2000

      24 "경찰청 통계자료"

      25 국토교통부, "가불금 지급 관련 업무지침 통보, 자동차생활과-642(2009. 6)"

      26 鈴木潔, "註解 交通損害賠償法" 青林書院新社 1982

      27 武田昌之, "自動車損害賠償責任保險契約における直接請求權再考" 1995

      28 "e-나라지표, 자동차 등록 현황"

      29 이필규, "2009년 독일 보험계약법(VVG)" 세창출판사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저스티스
      외국어명 : The Justi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356 0.6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