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유학 선택과정과 초국적 연결망: 한국 지방 대학으로의 유학생 이동을 중심으로 = The Choice Procedure of Study Aboard in South Korea and Transnational Network: Educational Migration to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546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Korean government began its ‘Study Korea Project’ in 2005 to pull more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n institutions. This article gives attention to the fact that students from post–socialist countries in Asia including Vietnam, Mongolia, Kazakhstan, and Kyrgyzstan have tendency to choose to study in provicial universities.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A and B provincial universities where these students are relatively concentrated, we aim to show why and how international students choose particular (provincial) universities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strategy of korean universities to recruit international students, the social network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home countries have been combined to create student mobility from particular Asian countries to particular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Previous studies on the process of making student mobility to English speaking countries viewed the choice procedure of study abroad as three— phase process—ⓛ decision to study abroad, ② decision on the country of destination, ③ decision on the particular institution. Through the study on the ways in which student mobility from post–socialist Asian countries to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has been created and strengthened, this study reveals that the three–phase model of study aborad choice procedure does not fully explain the student mobility to South Korea.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taken–for–granted important factors such as the ranking system within South Korea, reputation of a university, the quality of program, and the location of a university are not crucial in the choice of institutions for study abroad, in the case of students from post–socialist Asian countries to provincial universities in Korea. Instead, we argue that the transnational network which Korean universities and students from Asian countries have made spur student mobility from particular Asian countries to particular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번역하기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Korean government began its ‘Study Korea Project’ in 2005 to pull more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n institutions. This article gives attention to...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Korean government began its ‘Study Korea Project’ in 2005 to pull more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n institutions. This article gives attention to the fact that students from post–socialist countries in Asia including Vietnam, Mongolia, Kazakhstan, and Kyrgyzstan have tendency to choose to study in provicial universities.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A and B provincial universities where these students are relatively concentrated, we aim to show why and how international students choose particular (provincial) universities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strategy of korean universities to recruit international students, the social network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home countries have been combined to create student mobility from particular Asian countries to particular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Previous studies on the process of making student mobility to English speaking countries viewed the choice procedure of study abroad as three— phase process—ⓛ decision to study abroad, ② decision on the country of destination, ③ decision on the particular institution. Through the study on the ways in which student mobility from post–socialist Asian countries to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has been created and strengthened, this study reveals that the three–phase model of study aborad choice procedure does not fully explain the student mobility to South Korea.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taken–for–granted important factors such as the ranking system within South Korea, reputation of a university, the quality of program, and the location of a university are not crucial in the choice of institutions for study abroad, in the case of students from post–socialist Asian countries to provincial universities in Korea. Instead, we argue that the transnational network which Korean universities and students from Asian countries have made spur student mobility from particular Asian countries to particular Korean provincial univers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정부가 2005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Study Korea Project)를 시작한 이래로 유학생 인구는 해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그 규모를 확장해 가고 있는 베트남,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구 공산권 국가 출신 유학생들이 미국, 지방 대학을 많이 선택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 지방 대학을 선택한 특정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의 사례 연구를 통해 개별 대학이 선택되는 이유와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 전체 유학생 통계에 비해 이들 국가 출신 유학생들이 현저히 많은 지방 대학 두 곳을 선택하여 유학생 본국의 사회경제적 맥락, 한국 대학의 유학생 유치 전략,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어떻게 결합하여 특정 국가에서 특정 대학으로 대량 유입이 가능하게 되는지 살핀다. 영미권 서구대학으로 학생 이동성이 구성되는 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는 유학 결정 과정이 주로 ⓛ 유학 결정, ② 유학 국가 선택, ③ 학교선택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아시아 중저소득 국가에서 한국 지방 대학으로 학생 이동성이 구성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단계적 접근이 한국의 경우 유용하지 않다는 점을 밝힌다. 아시아 중저소득 국가 출신 유학생의 경우 한국 대학의 위계 구조나 대학의 명성, 프로그램의 질, 서울(글로벌 대도시) 소재 여부 등 대학 선택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조건들이 결정적인 선택 계기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한국 대학과 유학생 주체가 형성한 ‘초국적 연결망’이 특정 대학으로의 유입을 추동하는 주요한 동력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밝혀 한국으로의 국제 학생 이동성이 가진 특징을 살핀다.
      번역하기

      한국 정부가 2005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Study Korea Project)를 시작한 이래로 유학생 인구는 해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그 규모를 확장해 가...

      한국 정부가 2005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Study Korea Project)를 시작한 이래로 유학생 인구는 해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그 규모를 확장해 가고 있는 베트남,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구 공산권 국가 출신 유학생들이 미국, 지방 대학을 많이 선택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국 지방 대학을 선택한 특정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의 사례 연구를 통해 개별 대학이 선택되는 이유와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 전체 유학생 통계에 비해 이들 국가 출신 유학생들이 현저히 많은 지방 대학 두 곳을 선택하여 유학생 본국의 사회경제적 맥락, 한국 대학의 유학생 유치 전략, 유학생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어떻게 결합하여 특정 국가에서 특정 대학으로 대량 유입이 가능하게 되는지 살핀다. 영미권 서구대학으로 학생 이동성이 구성되는 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는 유학 결정 과정이 주로 ⓛ 유학 결정, ② 유학 국가 선택, ③ 학교선택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아시아 중저소득 국가에서 한국 지방 대학으로 학생 이동성이 구성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단계적 접근이 한국의 경우 유용하지 않다는 점을 밝힌다. 아시아 중저소득 국가 출신 유학생의 경우 한국 대학의 위계 구조나 대학의 명성, 프로그램의 질, 서울(글로벌 대도시) 소재 여부 등 대학 선택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조건들이 결정적인 선택 계기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한국 대학과 유학생 주체가 형성한 ‘초국적 연결망’이 특정 대학으로의 유입을 추동하는 주요한 동력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밝혀 한국으로의 국제 학생 이동성이 가진 특징을 살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경제"

      2 정건섭, "한국 지방대학의 중국유학생 유치·관리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27-340, 2010

      3 박소진, "한국 대학과 중국인 유학생의 동상이몽: 서울과 지방 소재 사립대학 비교" 한국문화인류학회 46 (46): 191-234, 2013

      4 대외정책경제연구원, "한.중앙아시아 인적자원의 교류현황과 활성화 방안"

      5 김기환,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별 대입지원자감소에 대한 예측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1175-1188, 2015

      6 이민경, "지방대학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동기 : A대학 아시아 유학생들의 한국유학 선택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18 (18): 177-201, 2012

      7 조혁수,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0 (20): 193-219, 2009

      8 안영진,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현황과 특성 : 이론적 논의와 실태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11 (11): 476-491, 2008

      9 김지훈,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유학 동기와 경험 연구: 서울 A 대학 석사과정 학생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동아연구소 30 (30): 73-101, 2011

      10 민귀식, "외국인 유학생 유치·지원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부 2014

      1 "한국경제"

      2 정건섭, "한국 지방대학의 중국유학생 유치·관리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27-340, 2010

      3 박소진, "한국 대학과 중국인 유학생의 동상이몽: 서울과 지방 소재 사립대학 비교" 한국문화인류학회 46 (46): 191-234, 2013

      4 대외정책경제연구원, "한.중앙아시아 인적자원의 교류현황과 활성화 방안"

      5 김기환,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별 대입지원자감소에 대한 예측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1175-1188, 2015

      6 이민경, "지방대학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동기 : A대학 아시아 유학생들의 한국유학 선택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18 (18): 177-201, 2012

      7 조혁수,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0 (20): 193-219, 2009

      8 안영진,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현황과 특성 : 이론적 논의와 실태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11 (11): 476-491, 2008

      9 김지훈,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유학 동기와 경험 연구: 서울 A 대학 석사과정 학생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동아연구소 30 (30): 73-101, 2011

      10 민귀식, "외국인 유학생 유치·지원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부 2014

      11 "연합뉴스"

      12 윤새은임, "수도권대학 베트남유학생의 유학동기—경기도 P대학을 중심으로" 4 (4): 1-40, 2019

      13 Jiani, Ma, "Why and How International Students Choose Mainland China as a Higher Education Study Abroad Destination" 74 (74): 563-579, 2016

      14 Quy, My Linh Thi, "Vietnamese Students’ Transitions in Study Abroad Programs" 21 (21): 12-22, 2018

      15 Nguyen, Chi Hong,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Past and Current Trends" 2 (2): 127-148, 2013

      16 "The World Bank Data"

      17 Jon, Jae Eun, "The Emergence of a Regional Hub : Comparing International Student Choices and Experiences in South Korea" 67 (67): 691-710, 2014

      18 World Bank, "Tertiary education in Mongolia: Meeting the Challenges of the Global Economy: Policy Note" World Bank 2010

      19 Kondakci, Yasar, "Student Mobility Reviewed : Attraction and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urkey" 62 : 573-592, 2011

      20 Brooks, Rachel, "Social Networks and Educational Mobility: The Experiences of UK Students" 8 (8): 143-157, 2010

      21 Mazzarol, Tim, "Push–Pull Factors Influencing International Student Destination Choice" Centre for Entrepreneurial Management and Innovation 2002

      22 Loo, Bryce, "Mongolia : Higher Education and Mobility" 89 : 19-21, 2017

      23 Lindquist, Johan, "Introduction : Opening the Black Box of Migration : Brokers, the Organization of Transnational Mobility and the Changing Political Economy in Asia" 85 (85): 7-19, 2012

      24 Beech, Suzanne,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The Role of Social Networks" 16 (16): 332-350, 2015

      25 Ishikawa, Mayumi,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and Bottom–up Regionalism in East Asia: A Case Study of Minority Ethnic Korean–Chinese Students" 18-24, 2019

      26 Collins, Francis, "Globalising Higher Education in and through Urban Spaces : Higher Education Projects,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ies and Trans–Local Connections in Seoul" 55 (55): 242-257, 2014

      27 Cantwell, Brendan, "Exploring the Orientation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Mexico : Differences by Region of Origin" 57 : 335-354, 2009

      28 Chankseliani, Maia, "Escaping Homelands with Limited Employment and Tertiary Education Opportunities : Outbound Student Mobility from Post–Soviet Countries, "Population" 22 (22): 301-316, 2016

      29 Thieme, Susan, "Educational Consultants in Nepal : Professionalization of Services for Students Who Want to Study Abroad" 12 (12): 243-258, 2017

      30 Collins, Fleo, "Bridges to Learning :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ies, Education Agencies and Inter–Personal Networks" 8 (8): 398-417, 2008

      31 교육부, "2018년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

      32 교육부, "2014년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6 1.4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