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OVID-19 팬더믹으로 인한 대학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원과 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를 통하여, 뉴-노멀시대의 고등교육 체제 구축에의 기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582558
2021
Korean
비대면 교육 ; 온라인 교육 ; 코로나-19 ; 인식조사 ; 만족도 조사 ; Non-face-to-faceeducation ; onlineeducation ; COVID-19 ; perspectives ; satisfaction survey
KCI등재
학술저널
121-141(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 팬더믹으로 인한 대학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원과 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를 통하여, 뉴-노멀시대의 고등교육 체제 구축에의 기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본 연구는 COVID-19 팬더믹으로 인한 대학에서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원과 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를 통하여, 뉴-노멀시대의 고등교육 체제 구축에의 기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대학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만족도 및 인식조사를 시행하였고, 응답 자료를 토대로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교원과 학생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고, 개선의견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영상품질, 실시간 강의, 온라인 학습플랫폼에 대해서는 교원의 만족도가 더 높았고 녹화영상 강의, 교원과 학생의 소통, 수업방식에 대해서는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둘째, 비대면 수업에 대한 녹화영상 강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교원과 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영상품질, 실시간 온라인 강의, 온라인 학습플랫폼, 교원과 학생의 소통, 수업방식에 대해서는 교원과 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비대면 수업을 위한 개선의견으로는 교원과 학생 공통적으로 비대면 수업을 위해 효율적인 프로그램 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다. 교원은 학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나 학생들은 수업 간 일관성과 비대면 수업으로 늘어난 과제량 조절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한편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더 선호할 것이라는 교원들의 생각과 달리 학생들은 시공간 초월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고 반복 수강할 수 있는 녹화영상 강의를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교원과 쉬운 소통 수단이 마련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를 통해 포스트 COVID-19 시대를 준비하며 단기적이고 임시방편 차원의 비대면 교육 운영이 아닌, 비대면 교육을 효율적으로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학교 차원의 장기적인 지원과 대책 마련 그리고 교수자 차원의 강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 및 워크샵 수강 등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faculty and students’ perspectives on non-face-to-face education during COVID-19 pandemic. Surveys of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education for student and faculty were administere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
This study examined faculty and students’ perspectives on non-face-to-face education during COVID-19 pandemic. Surveys of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education for student and faculty were administere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by using inferential statistics and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aculty’s satisfactions with video quality, online live lecture, and online platfor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satisfactions, while faculty’s satisfactions with interactions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tudents’ satisfactions.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recorded video lecture between faculty and student. Third, both faculty and students requested to effective technical support for non-face-to-face education. Most faculty requested support for communica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while students asked for consistency among classes and adjust the amount of task. Surprisingly, constrary to the faculty thoughts that students would prefer online live lecture, students preferred recorded video lec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영, "혼합현실 기반의 가상 세계 온라인 강의 시스템" 3 (3): 97-102, 2011
2 교육부, "포스트 코로나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
3 홍성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57-989, 2020
4 BBC Korea, "코로나19: 등록금 반환 요구 거세지는 대학가...건대 등록금 감액키로"
5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코로나19 관련 대학 개강 이후 학사운영 현황"
6 이성주, "오프라인 교육서비스와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대체성 및 보완성에 대한 실증분석 : 성인 외국어 교육" 경제연구소 25 (25): 45-60, 2018
7 황욱선, "빅데이터를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 이슈 분석"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40 (40): 617-636, 2020
8 유지은,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강좌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7) : 277-298, 2020
9 안효례,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몰입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광분야 전공학생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2 (32): 363-384, 2020
10 한국대학신문, "봄비 속 등록금 반환 시위,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 삼보일배"
1 권오영, "혼합현실 기반의 가상 세계 온라인 강의 시스템" 3 (3): 97-102, 2011
2 교육부, "포스트 코로나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
3 홍성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57-989, 2020
4 BBC Korea, "코로나19: 등록금 반환 요구 거세지는 대학가...건대 등록금 감액키로"
5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코로나19 관련 대학 개강 이후 학사운영 현황"
6 이성주, "오프라인 교육서비스와 온라인 교육서비스의 대체성 및 보완성에 대한 실증분석 : 성인 외국어 교육" 경제연구소 25 (25): 45-60, 2018
7 황욱선, "빅데이터를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 이슈 분석"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40 (40): 617-636, 2020
8 유지은,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강좌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7) : 277-298, 2020
9 안효례,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몰입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광분야 전공학생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2 (32): 363-384, 2020
10 한국대학신문, "봄비 속 등록금 반환 시위,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 삼보일배"
11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12 이시철, "대학의 코로나-19 초기 대응과 수업 만족도 평가: 경북대학교의 비대면 학기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93-1019, 2020
13 한송이,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수역량 요인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129-1149, 2020
14 임이랑,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운영을 위한 교수전략 탐색: 학습자 경험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23-54, 2020
15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대면수업 예정일 안내"
16 교육부, "교육분야 코로나19 대응 현황 자료(3.2.)"
17 Maor, D., "The teacher's role in developing interaction and reflection in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40 (40): 127-138, 2003
18 Wall Street Journal, "Student-Loan Debt Relief Offers Support to an Economy Battered by Coronavirus"
19 Allen, I. E., "Online Nation: Five Years of Growth in Online Learning" Sloan Consortium 2007
20 Song, L., "Improving online learning: Student perceptions of useful and challenging characteristics" 7 (7): 59-70, 2004
21 Garrison, D. R., "Facilitating cognitive presence in online learning: Interaction is not enough" 19 (19): 133-148, 2005
코로나19와 전면적인 온라인 학습이 대학생의 협력학습 및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교육학적 수용: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69 | 2.047 | 0.47 |